[[분류:유희왕/OCG/물족]][[분류:유희왕 GX/등장인물]]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citableAmbitiousGrosbeak-max-1mb.gif|width=100%]]}}}|| || 모델링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신의 무녀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海神(うながみ)巫女(みこ), 영어판명칭=Maiden of the Aqua, 속성=물, 종족=물족, 레벨=4, 공격력=700, 수비력=2000, 효과1=생태: 앞면 수비 표시인 동안\, 자신의 물족 몬스터는 500 포인트 파워업 보너스를 얻는다.)] 본 게임의 오리지널 카드로 처음 등장. 여기서는 앞면 수비 표시로 있는 동안 자신의 모든 물족 몬스터를 500 올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원작 코믹스에서 [[카지키 료타]]가 사용했던 [[리바이어던(유희왕)|리바이어던]]과 비슷한 효과. 공략본에 의하면 '난폭한 바다의 신을 섬기는 무녀이며, 바다의 의사를 사람들에게 전하고 바다를 더럽히지는 자를 벌한다고 한다'고 소개되어 있다. 3D 모델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체 디자인은 무려 망사 위에다 [[비키니]]라는 파격적인 조합을 선보인다. 놀랍게도 해외 발매판에서마저 어떠한 수정도 되어있지 않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海神の巫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신의 무녀, 일어판명칭=海神(うながみ)巫女(みこ), 영어판명칭=Maiden of the Aqua, 속성=물, 종족=물족, 레벨=4, 공격력=700, 수비력=2000, 효과1=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필드는 "바다"가 된다.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이 효과는 적용되지 않는다.)] 필드를 [[바다(유희왕)|바다]]로 변경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바다(유희왕)|바다]]가 있어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카드들을 서포트하기 위해 나온 카드. 몬스터 효과로서 필드를 변경하는 특수한 효과를 가진 카드로, 아종인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무녀|묘지기의 무녀]]가 나오기 전까지는 유일한 사례이기도 했다. ''''필드는 [[바다(유희왕)|바다]]가 된다''''라는 텍스트가 오해하기 쉽지만, 이 카드의 효과는 말 그대로 필드를 그냥 '바다'가 있는 것으로 취급할 뿐, 바다의 효과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다. 즉 능력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9기 이후 개정된 룰에 따라 상대 필드에만 필드 마법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 카드의 효과는 적용되지 않는다.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바다 테마 덱]]은 [[수륙양용 버그로스 MK-3]]나 [[인어 나이트]] 등 바다가 있어야 효과를 쓸 수 있는 카드를이 많으므로, 그 확보 수단을 늘리는 것이 주요 역할이 되겠다. [[바다(유희왕)|바다]]로 취급되는 효과를 가진 카드 중 유일한 몬스터이므로, 각종 특수 소환 수단을 통해 바다를 확보할 수가 있는 셈이다. 물론 필드에 무작정 꺼내기에는 필드 마법보다 제약이 따르므로, 바다보다 우선해서 넣기보다는 투입할 수 있는 바다의 대용품을 풀 투입한 후에 넣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이 카드 자체의 카드명을 '바다'로 취급하는 효과가 아니기에, [[해룡-다이달로스]]나 [[코다로스]] 등 바다를 묘지로 보내는 코스트를 통해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들과도 맞지 않는다는 점은 결점 요소. 또한 이 카드는 필드 마법이 아니기 때문에 이 카드의 효과가 발동되어있다고 해서 [[지박신]]이나 [[Sin(유희왕)|Sin]]과도 병용할 수 없다. 그밖에도 원래 레벨 5 이상인 몬스터를 지원하는 [[씨 스텔스 어택]]이나 [[리바이어던의 분노]]와도 상성이 나쁘며, [[일반 몬스터]] 이외가 존재하면 발동할 수 없는 [[환황룡]] 계열의 서포트도 받지 못한다. 자신은 물론 상대 필드에도 필드 마법이 있으면 적용이 안 되는 효과다 보니 안정성도 떨어진다. 그래도 [[듀얼리스트 팩/심연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출시된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바다 서포트 카드]]들 덕분에 활용할 구석이 더 생겨났다. [[피시 소나]]에 대응하며, [[씨 스텔스Ⅱ]]나 [[암암의 리바이어던]]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바다 카드라는 점이 최대 개성이 되었다. 바다를 코스트로 지불하고 이 카드와 함께 [[해룡신-리바이어던]]이나 [[전기해파리-피살리아-]], [[대요새 고래]], [[데스 크라켄]] 등 바다를 요구하는 견제몹을 같이 꺼내는 식으로 쓰인다.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로서 가치가 있기 때문에 소장용으로 모으는 경우도 있다. 일러스트를 자세히 보면 당시의 OCG에서는 독보적이라 할 수 있는 [[거유|어마어마한 크기의 풍만한 가슴]]이 특징이지만, 구별이 힘들어서인지 해외 수출판에서 흔히 당하는 일러스트 수정도 피해갔다. 이 사실이 의외였는지 [[https://yugipedia.com/wiki/Card_Trivia:Maiden_of_the_Aqua|유기피디아]]나 [[http://yugioh.wikia.com/wiki/Card_Trivia:Maiden_of_the_Aqua|미국판 유희왕 위키까지 이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그외에도 게임의 3D 모델링이 원본보다 작은 편이라는 점도 언급한다.] 또한 다른 아이돌 카드들에 비하면 동양적인 느낌의 마스크도 특징. 북미판 [[절대적인 힘]]에 이 카드의 [[묘지기(유희왕)|묘지기]]판 카드인 '묘지기의 무녀'가 등장하였다. 다만 그쪽은 능력치 상승 효과가 부가적으로 붙어있는 대신 수비력이 낮아졌다. ~~또한 이 카드만큼 가슴이 크지는 않다.~~ ||수록 시리즈 || ||<(> 2002-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08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Pharaonic Guardian - 王家の守護者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5-095 | DUELIST LEGACY Volume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211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171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7-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D-008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PHARAONIC GUARDIA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211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1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GD-KR008 | '''[[왕가의 수호자(부스터 팩)|왕가의 수호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211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 [[파일:daabbd17e0122b5c537bd2ee3c91593e.jp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41화에서 등장한다. 성우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아라키 카에]]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주희(성우)|이주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리자 잭퀄린(Liza Jacqueline). 정령계의 주민 중 하나로, [[패왕(유희왕)|패왕]]의 군세를 피해 [[춤추는 요정]]과 함께 피신하던 도중 패왕의 듀얼로 인해 [[짐 크로커다일 쿡|동료]]가 소멸한 것을 보고 공포에 떨어 도망치던 [[오스틴 오브라이언]]을 만나게 된다. 그런 그를 격려해주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설득해 주었으며, 본인 또한 오브라이언의 도움을 받아 필드를 바다로 바꾸는 효과를 실전에서 사용해 추격 중에던 패왕군의 화염 몬스터[* 불이 붙은 여우 형태의 몬스터지만 이전에 OCG로 나온 [[여우불(유희왕)|여우불]]과는 디자인이 상이하게 다르다.]를 처치하는 활약을 했다. 죽지 않고 생존한 건 덤. 이 활약만으로 카드도 안 나온 이 몬스터가 이 편의 '오늘의 카드'에 소개되기까지 했다.[* 해설을 담당한 건 오브라이언. 또한 이 인연 덕에 오스틴 오브라이언으로 듀얼링크스를 플레이할 때 대사가 뜬다.] 참고로 디자인이 위에서 서술한 디자인과 상이하게 다른데, 아무래도 심의 문제에 따라 바뀐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모도 애니메이션 특유의 그림체에 맞춰 조정되었는데, 방영 당시에는 이 바뀐 외모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또한 같은 작품 내에서 등장한 함정 카드 [[아스트랄 시프트]]의 일러스트에는 작중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해신의 무녀가 등장한다.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 >"듀얼? 좋아요. '''놀아 드 릴 게 요!'''"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는 태양의 세계의 NPC로 등장. 대홍수라는 이름의 물 속성 덱을 굴리며 붙임성이 좋은 성격이다. [[파일:MaidenoftheAquaVG-WC10-EN-NC.png|width=300]] 이후 [[닌텐도 DS]]로 발매된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9]]를 비롯한 후속 시리즈의 전신 일러스트에서는 [[스패츠]] 차림으로 수정되었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파일:MaidenoftheAqua-DULI-EN-VG-NC.png|width=200]] >'''"그래, 함께 싸우고 살아남는 거다. 해신의 무녀!"''' >---- >[[유희왕 듀얼링크스]], [[오스틴 오브라이언(유희왕 듀얼링크스)|오스틴 오브라이언]] 전용 대사 GX에서의 오브라이언과의 인연 덕분에 [[오스틴 오브라이언(유희왕 듀얼링크스)|오브라이언]]에게 전용 대사가 있다. == 관련 카드 == === [[바다(유희왕)|바다]] === === [[해신의 의대]] === ===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무녀|묘지기의 무녀]] === 해신의 무녀의 [[묘지기(유희왕)|묘지기]]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