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안순환도로의 교량)] [목차] == 개요 == [[파일:Circleway.jpg]] [[부산광역시]]의 만성적인 도심부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물류 이동 등을 [[바다]] 위로 계속 이어지는 대교를 통해 우회하기 위한 도로이자 부산 순환도로망의 핵심인[* 66,77,88번 부산 광역시도는 울숙도 대교(66호광장) 또는 광안대교(49호광장)이 시점이다.] 도로. 경로를 보면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도 그렇듯 딱히 순환하는 경로는 아니지만 순환 기능을 하므로 순환도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다만, 본 도로와 외곽순환고속도로,남해3지선,동해고속도로 기장JC까지를 이으면 거의 순환형태가 되어 부산시도 이를 밀고 있다. [[해운대구]]부터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나아가 [[경상남도]] [[거제시]]까지 이어진다. 부산 전체의 [[랜드마크]]가 된 광안대교를 비롯해 여러 [[크고 아름다운]] [[교량]]을 연달아 이으면서 대부분 구간이 [[동해]], [[남해]] 바다 위를 시원하게 가르기 때문에 관광객 유치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상세 == 서부산과 동부산 등 부산 외곽 지역이 활발하게 개발되며, 동시에 두 지역을 잇는 도로망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 [[동서고가로]]만으로는 감당하기가 버겁기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산성터널, [[승학터널]][* 남해안대로-장낙대교-엄궁대교-승학터널-충장대로-번영로를 이을 예정인 도로. 명칭확정 이전엔 일명 서부산터널이었다.] 등 다양한 동서축 도로망을 구상하였는데, 해상순환도로도 이에 계획된 도로망이다. 동해와 남해로 인해 두면이 바다인 부산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이름과 다르게 실제로 순환선은 아니지만,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진영JC~남해고속도로~진례JC~남해3지선~진해IC~용원터널~해안순환도로~동해고속도로~기장JC~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방식으로 순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남항대교]]를 제외하면 모두 유료 구간인 것이 특징이다. 부산광역시는 2022년 5월부터 [[하이패스]] 차량의 유료도로 환승할인제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112919401249209|#]] 광안대교·부산항대교·을숙도대교·백양터널·수정산터널·산성터널·천마터널 구간에서는 첫 구간을 제외한 2번째 구간부터 경차를 제외한[* 경차는 왜 할인을 안하냐 할 수 있는데 경차는 이미 소형차 금액에서 경차할인을 받은 상태이다. 유로도로법에서 도로의 할인액은 가장 높은 액수 하나만 받도록 되어있다.] 하이패스 부착, 하이패스 차로로 진출입 한 차량에 한하여 200원씩 할인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해안순환도로 완주시 차종에 관계없이 최대 6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광안대교 요금소 1,000원 지출 →︎ 부산항대교 1,200원(200원 감면) →︎ 천마터널 1,200원(200원 감면) →︎ 을숙도대교 1,200원(200원 감면)] '''통행료(승용차 1종 기준)''' ||'''구간'''||'''요금'''|| ||거가대교||10,000원, 주말 8,000원|| ||을숙도대교||1,400원[*RH1,000원]|| ||천마터널||1,400원|| ||남항대교||무료|| ||부산항대교||1,400원|| ||광안대교||1,000원[*RH500원]|| 거제도에서 동부산관광단지까지 본구간을 통해 운전한다면 장산~[[동부산IC]]까지의 동해고속도로 기본 요금 포함 승용차기준 16,200원이며 거제도에서 초정IC를 이용해 부산외곽고속도로 이용시 13,300원이다. 부산 시내구간만 따진다면 명지신도시~해운대신시가지간 요금은 5,200원인 셈. 대중교통 이용시 교통카드 기준으로 거제도 ~ 경제자유구역청 (1011번 환승) ~ 남항대교 ~ 동부산공영차고지 구간으로 5,900원이며[* 시외버스 ~ 사상역 ~ 도시철도 이용시 최대 9,300원.], 부산 시내 구간만 이용할 경우 1006번 혹은 1011번을 타게 되므로 어디서 타든 무조건 1,700원이다. 사실 1011번이 크게 성공한 요인 중 하나가 비싼 통행료 때문이었으며, 1006번도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에서 해운대 신시가지로 연장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요가 크게 늘었다. 그래서인지 부산 도시고속도로 중 시내버스 운행이 가장 활발한 곳이며, 적어도 첨두시에는 두 노선 모두 사이좋게 터져나간다.[* 영도 ~ [[장산역]] 구간의 평균배차간격이 10분 내외이다. 녹산 ~ 송도 구간은 1011번만 운행하므로 30분 가량 된다.] 이 문제 때문에 일부는 [[https://blog.naver.com/hdpeople/220992034061|도시철도 건설 계획이 취소]]된 것을 들어 해안순환도로 구간을 설계 당시부터 [[간선급행버스체계|신교통형 BRT나 Super BRT]][* [[브라질]] [[쿠리치바]]의 Rede Integrada de Transporte, [[콜롬비아]] [[보고타]]의 트란스밀레니오 (TransMilenio) 등 남미권 BRT 노선처럼 특정 노선만 전용차로 출입이 가능하고 다른 노선의 출입은 못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링크된 글을 쓴 사람이 주장한 것도 쿠리치바 등 남미권 BRT와 유사한 시스템이다. 이렇게 할 경우 굴절버스 투입이 BRT 차로에 한해 제한적으로 가능하여 1011번의 만차 문제를 해결했을 거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다만 이렇게 신교통형 BRT를 깔 경우 해운대로의 올림픽교차로 ~ 해운대역 구간의 일반 BRT를 백지화하거나 해운대로 쪽은 원안대로 설치하고 신교통형 BRT 노선을 해운대해변로 쪽으로 뚫어야 하는 맹점이 있다.]를 뚫도록 했어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신호대교]]에서 [[동해고속도로]]까지 두번의 신호만 거치면[* 설계상 을숙도대교 종점에서 신호를 한번 거칠수 밖에 없는데, 장평지하차도가 예산부족으로 더 길게 건설되지 못하면서 신호등이 하나 더 생겼다.] 전구간을 신호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대부분 도로가 유료도로인 특성상 동서고가로를 이용하는 것보다도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만, 신호대교 이후에는 거가대교나 남해3지선까지는 무수히 많은 신호등을 거쳐야하며, [[르노코리아자동차]]를 비롯한 공단지역이라 출퇴근시간 교통이 지옥인 상태이다. [YouTube(ABF0vnXVimM)] 2023년 2월 20일, 드디어 마지막 구간인 장평지하차도가 임시 개통[* 지하차도는 완공됐으나, 지하차도 공사를 위해 만든 복공판을 다시 아스팔트로 재포장하는 공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하면서 1998년 [[신호대교]] 개통을 시작으로 25년 만에 모든 구간이 개통되었다. == 구성 == ([[동해고속도로]]) => [[광안대교]] - 대연교 - 신선대지하차도 - [[부산항대교]] - [[남항·부산항대교 영도연결도로]] - [[남항대교]] - [[천마터널(부산)|천마터널]][* 감천지하차도와 중간출구없이 직결] - 장평지하차도[* 지하차도-터널(구평고개 구간)-지하차도 방식이 혼재되어 천마터널과 비슷한 시기에 착공했으나 본구간은 2023년 2월 20일 개통] - [[을숙도대교]] - [[신호대교]] - [[가덕대교]] - [[거가대교]] - ([[58번 지방도]]) 단, [[영도대교]]가 포함되지 않음에 주의. == [[대중교통]] == === 핵심 노선 === * '''[[부산 버스 1006]]''': 아래에 언급될 [[부산 버스 1011|1011번]]의 만차 문제로 인해 [[부산 버스 1011|1011번]]의 보조격으로 신설된 노선. 2018년 2월 3일에 정식 개통했다. [[태종대]]와 [[신해운대역]]을 연결한다. * '''[[부산 버스 1011]]''': 해안순환도로의 핵심 노선이며, '''대부분 구간을 이용하는 노선.''' 이 노선의 존재 가치가 바로 이 도로 때문이라고 봐도 좋다. 2015년 11월에 개통했다. 아래에서 설명할 나머지 노선들은 [[부산 버스 1011|1011번]]을 보조할 노선들. 본 노선과 [[부산 버스 520]],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부산·거제 버스 2000]]을 연계시키면 해안순환도로 전구간을 아우르는 노선이 완성된다. 다만 2000번은 환승할인 혜택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주의. === 부분적으로 경유하는 노선 === 부분적으로 경유하는 노선은 많이 있다. 그러나 시외버스와 부산시티투어를 제외하면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을 아예 지나지 않으며, 나머지 노선들도 일반도로 구간만 지나고 천마산터널 등이 개통된다고 해도 그쪽으로 가지 않을 예정.[* 이는 [[부산 버스 1011|1011번]]도 마찬가지. 교량 구간만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이며, 나머지는 승객 집객을 위해서 근처에 있는 일반도로로 다닌다.] 다만 [[부산 버스 1011|1011번]]이 개통되면 이들 노선은 [[부산 버스 1011|1011번]]을 보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해상순환도로 근처로 다니는 일반도로로 다니는 버스노선까지 기재한다. ==== 시외버스, 시티투어 ==== *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 ↔ 창원남산동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남마산]]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고성]] ↔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시외버스 해운대-마산남부]]): [[광안대교]] 경유. * [[시외버스 부산서부-고현·장승포|부산사상 ↔︎ 고현]]: [[을숙도대교]], [[녹산산업대로]], [[거가대로]] 경유. (단, [[김해국제공항]] 경유노선은 을숙도대교 미경유.) * [[시외버스 부산서부-고현·장승포|부산사상 ↔︎ 장승포]]: [[을숙도대교]], [[녹산산업대로]], [[거가대로]] 경유. (단, [[김해국제공항]] 경유노선은 을숙도대교 미경유.)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동부]] ↔ [[동래시외버스터미널|동래]] ↔ [[고현시외버스터미널|거제고현]] ↔ [[통영종합버스터미널|통영]]: [[을숙도대교]], [[녹산산업대로]], [[거가대로]] 경유 * [[고현시외버스터미널|거제고현]]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거가대로]] 경유. * [[시외버스 동대구-고현|거제고현 ↔︎ 동대구]]: [[거가대로]] 경유. * [[시외버스 동대구-고현|거제고현 ↔︎ 구미]]: [[거가대로]] 경유. * [[시외버스 진해-고현|거제고현 ↔︎ 진해]]: [[거가대로]] 경유. * [[시외버스 창원-고현|거제고현 ↔︎ 창원]]: [[거가대로]] 경유. * [[고현시외버스터미널|거제고현]] ↔ [[김해여객터미널|김해]]: [[거가대로]] 경유. * 부산관광공사 부산시티투어: [[부산항대교]]와 [[광안대교]]를 경유. * 태영버스 부산시티투어: [[남항대교]]와 [[부산항대교]]를 경유. ==== 강서 권역 ==== 녹산산업대로, [[르노삼성대로]] 전부 혹은 일부를 이용하는 노선이다. * [[부산 버스 강서9]] * [[부산 버스 강서9-2]] * [[부산 버스 강서17]] * [[부산 버스 강서21]] * [[부산 버스 3]] * [[부산 버스 55-2]] * [[부산 버스 58]] * [[부산 버스 58-1]] * [[부산 버스 58-2]] * [[부산 버스 61]] * [[부산 버스 124]] * [[부산 버스 128-1]] * [[부산 버스 168]] * [[부산 버스 520]] * [[부산 버스 1009]] *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부산·거제 버스 2000]] ==== 사하, 송도 권역 ==== [[을숙도대로]], [[감천로(부산)|감천로]], [[충무대로]] 일부 구간을 전부 혹은 일부를 이용하는 노선이다.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노선이 모두 이곳에서 만난다. * [[부산 버스 사하1-1]] * [[부산 버스 사하5]] * [[부산 버스 사하8]] * [[부산 버스 사하14]] * [[부산 버스 사하15]] * [[부산 버스 6]] * [[부산 버스 9]] * [[부산 버스 16]] * [[부산 버스 26]] * [[부산 버스 30]] * [[부산 버스 61]] * [[부산 버스 71]] * [[부산 버스 96]] * [[부산 버스 134]] * [[부산 버스 138]] * [[부산 버스 138-1]] * [[부산 버스 161]] * [[부산 버스 171]] * [[부산 버스 1000]] ==== 영도권역 ==== [[영선대로]] 전 구간, [[태종로(부산)|태종로]] 일부 구간의 전부 혹은 일부를 이용하는 노선. 해상순환도로를 1mm도 지나지 않더라도 영도로 들어오는 대부분 노선들이 1011번과 연계되며, [[부산 버스 영도7]]이 사실상 1011번과 연계되지 않는 노선이라 봐야 한다. * [[부산 버스 영도1]] * [[부산 버스 영도5]][* 해동병원 일대에서 통과만 하며, 정류장은 없다. 해안순환도로 일부분을 지나긴 하지만, [[부산 버스 1011]]과 직접적인 환승이 되지 않는다. 굳이 본 노선으로 환승하려면 영선2동주민센터에서 영선위로터리나 탑할인마트까지 올라가거나, 해동병원에서 영도소방서로 가야한다. ] * [[부산 버스 8]] * [[부산 버스 17]] * [[부산 버스 30]] * [[부산 버스 70]] * [[부산 버스 82]] * [[부산 버스 85]] * [[부산 버스 88]] * [[부산 버스 88-1]] * [[부산 버스 101]] * [[부산 버스 113]] * [[부산 버스 186]] * [[부산 버스 190]] ==== 남구권역 ==== 신선로 일부구간을 이용하는 노선이 여기에 해당된다. * [[부산 버스 남구8]] * [[부산 버스 68]] * [[부산 버스 134]] * [[부산 버스 138]] * [[부산 버스 155]] * [[부산 버스 168]] * [[부산 버스 583]] [[분류:해안순환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