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사령부 직할 전단)] ||<-2><#000080> '''{{{#fff {{{+1 해양정보단}}}}}}[br]{{{#ffffff 海洋情報團}}}[br]{{{#ffffff Maritime Intelligence Group}}}''' || ||<#ffffff><-2> [[파일:해군작전사령부.jpg|width=300]] || ||<-2><#000080> '''{{{#fff }}}''' || ||<#000080> '''{{{#fff 창설일}}}''' ||<(> [[1995년]] [[10월 1일]] || ||<#000080> '''{{{#fff 약칭}}}''' ||<(> '''해정단''' || ||<#000080> '''{{{#fff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000080> '''{{{#fff 상급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 ||<#000080> '''{{{#fff 역할}}}''' ||<(> 해양정보 수집·분석 || ||<#000080> '''[[단장|{{{#fff 단장}}}]]''' ||<(> [[준장]] 정건용 (해사 47기) || ||<#000080> '''{{{#fff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br] [[진해 해군기지]] || ||<-2> [include(틀:지도,장소=진해 해군기지,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해군]]의 '''해양정보단'''(해정단)은 해양정보 수집, 분석 및 전술자료화에 관한 업무와 해군 작전세력에 위한 해양환경예보 업무 등을 수행한다. [[공군항공정보단]]과 [[공군기상단]], [[해상자위대]] [[자위함대]]의 정보업무군(情報業務群)과 해양업무·[[대잠전|대잠]]지원군(海洋業務・対潜支援群)을 합쳐놓은 것과 유사한 조직으로, 각 함대 및 예하 작전부대, 함정은 해양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및 예보자료를 해양정보단에서 지원받는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060918/1/BBSMSTR_000000010024/view.do|#]] 해정단은 미 해군정보국([[ONI]]: Office of Naval Intelligence)과 같이 해군정보의 컨트롤타워 역할 수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역사 == 1995년 10월 1일 해양[[날씨|기상]], [[전자전]] 등을 담당하는,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해양전술정보단(Maritime Tactical Intelligence Group)으로 창설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949894|#]] 2012년 2월 1일 해양정보단으로 개편됐고, 2017년 2월 해군 정보병과 부활에 맞춰 해군정보단(Naval Intelligence Group)으로 개편됐으나,[[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70913/2/ATCE_CTGR_0010040000/view.do|#]] 2022년 8월 해양정보단으로 부대명이 다시 변경됐다. == 단장 == 단장의 계급은 [[대령]]이었으나, 2023년 [[준장]]으로 격상됐다.[* '23. 1. 1. 지휘관 편성 조정 : 대령 -> 준장] ||<-6> '''역대 해양정보단 단장''' || || '''대''' || '''이름''' || '''계급''' || '''임관''' || '''재임기간''' || '''비고''' || || - || 최봉재 || 대령 || 해사 44기 || - ||前 단장 || || - || 박재식 || 대령 || 해사 44기 || - ||前 단장 || || - || 전용규 || 준장 || 해사 47기 || - ||前 단장 || || - || 정건용 || 준장 || 해사 47기 || - ||現 단장 || == 조직 == 해양정보단은 해양정보처, 해양정보함(AGS)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 해양정보함 == '''해양정보단 예하 함정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red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됩니다.'''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전투지원함)] 수중음향정보·전파정보·해양환경정보 등 수집이 주임무인 해양정보함(해양조사함)은 해양정보단이 운용한다. 해군 함정은 해양정보단에서 제공하는 해양환경 정보와 음탐기로 획득한 음향정보를 바탕으로 대잠작전을 수행한다. 해양정보함은 신천지(新天地), 신세기(新世紀), 신기원(新紀元) 등 창조와 개척의 의미를 지닌 추상명사를 함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 신천지함 === 신천지함(AGS 11)은 대한민국 해군의 첫 국산 해양조사함으로, 1993년 취역한 1,000톤급 함정이다. 중령이 함장인 2급함으로 구형 장비, 부족한 정보분석 능력 등으로 비교적 일찍 도태되어 2013년 12월 퇴역했다.[[http://m.naeil.com/m_news_view.php?id_art=58307|#]][[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1101100011|#]] === 신세기함 === 신세기함(AGS 12)은 해군의 두 번째 해양조사함으로 2003년 취역하였고, [[쌍동선]] 형태의 2,800톤급 함정이다.[[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749|#]][[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pn=1&num=215288|#]] [[무인기]](UAV) 운용이 가능하다.[[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020109083833029|#]][* 국방부가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한 영상에서 쬐끄만하게 찍혔다. 총 두번인데 처음에 찍힌 영상은 현재는 삭제됐고 그 다음으로 찍힌건 아직도 삭제가 안됐다고 한다. 때문에 디시에서 관련 디시콘이 제작됐다.] === 신기원함 === 신기원함(AGS 13)은 '[[알바트로스|신천옹]](AGX-II) 사업'을 통해 건조된 해군의 세 번째 해양조사함이다. 2012년 인수한 신기원함은 길이 114m, 경하배수량 3,500톤급 함정이다.[[http://panzercho.egloos.com/10697096|#]][* 이 글에 따르면 신세기함과 마찬가지로 무인기(UAV) 운용이 가능하고 상선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한다.] === AGX-III === 해군은 2021년부터 [[국방개혁 2.0]]의 일환인 감시정찰 전력 강화를 위해 AGX-III(해양정보함-III)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25193|#]] 개념설계는 [[현대중공업]]이 수행했다. === 타국 해군의 유사 함정 === ==== 미국 ==== 빅토리어스급 해양감시함(ocean surveillance ship): USNS Victorious (T-AGOS-19), USNS Able (T-AGOS-20), USNS Effective (T-AGOS-21), USNS Loyal (T-AGOS-22) 임페커블급 해양감시함: USNS Impeccable (T-AGOS-23) 정보수집이라는 민감한 임무를 수행하면서도 무장은 빈약하다보니 해양조사함들은 늘 적국 해양세력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미 해군의 해양조사함 임페커블함이 2009년 3월 중국의 EEZ에서 해양 정보 수집 활동을 하다가 [[중국 해군]]과 [[중국 해경]]에게 곤욕을 치른 것이 대표적인 사례. 중국측은 임페커블이 해당 해역에 있는 것이 불법이며 이탈하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통신을 통해 협박했고, 이후 자국 함정들을 임페커블함에 충돌 직전까지 접근시키거나 군용 항공기를 근접 비행시키는 등 물리적 위협을 가했다. 견디다 못한 임페커블함은 중국의 요구대로 해역에서 이탈하려고 하였으나 중국 함정들은 임페커블의 진로를 가로막거나 장애물을 투척하여 항해를 방해하였고, [[어선]]으로 위장한 중국 해군 함정이 접근하여 수중에 전개되어 있는 임페커블의 예인소나를 파손시키려 시도하였다. 사건 당시 임페커블함은 단독으로 작전 중이라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작전부턴 호위 함정이 동행하였다고 한다. 미국은 외교 라인으로 [[EEZ]]에서 중국의 주권은 자원 관리, 해양 개발 등 경제적인 분야에 한정되기에 미 해군의 함정을 위협한 것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항의하였으나, 중국은 '왜 이상한 소리를 지어내서 우리한테 불평하냐?' 정도의 반응만 보였다. ==== 일본 ==== 후타미형 해양관측함: 와카사(AGS-5104) 니치난형 해양관측함: 니치난(AGS-5105), 쇼난(AGS-5106) 히비키형 음향측정함: 히비키(AOS-5201), 하리마(AOS-5202), 아키(AOS-5203)[[https://ja.wikipedia.org/wiki/ひびき型音響測定艦|#]] ==== 중국 ==== 814A형 정찰선(814A型偵察船): 1척 취역[[https://zh.wikipedia.org/wiki/814A型侦察船|#]] 815형 전자정찰선(815型電子偵察船): 9척 취역[[https://zh.wikipedia.org/wiki/815型電子偵察艦|#]] 927형 소나탐측선(927型声纳探测船): 3척 취역[[https://zh.wikipedia.org/wiki/927型海洋水声监视船|#]] ==== 러시아 ==== 비시냐급 정보함(Project 864 reconnaissance ship): 7척 취역[[https://ru.wikipedia.org/wiki/Разведывательные_корабли_проекта_864|#]] == 논란 == * 해양정보단이 운용하는 해양조사함 탑재 무인기(UAV) 획득 사업이 논란이 되었다.[[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508959.html|#]][[https://news.joins.com/article/18683122|#]] == 기타 == * 전 신천지함 함장이 쓴 해양조사함에 대한 참고기사: [[https://m.blog.naver.com/china_lab/221308700676|[윤석준의 차·밀] 중국의 수중통제권 장악이 시작됐다!]] == 관련문서 == * [[지상정보단]] * [[항공정보단]] [[분류:대한민국 해군]][[분류:해군작전사령부]][[분류: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