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海行摠載. 조선 영조 대의 문신인 [[홍계희]]가 고려 말부터 조선 후기까지 사신이나 포로 및 표류 등의 이유로 일본 지역을 다녀온 사람들의 각종 기행문들을 모은 책. 총 28책이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비록 책에 빠져 있는 기행문도 적지 않으나[* 심지어 최근에도 가끔 가다 한두 권씩 발견되곤 한다.], 통신사 연구나 조일관계 연구에 대단히 중요한 자료로 인정되고 있다. == 내용 == 최초 홍계희가 고려 말부터 집필 당시까지 우리나라에 전해져 오던 각종 일본 관련 기록물들을 수집하여 만든 것으로, 이후 [[고사십이집]], [[대악후보]], 보만재총서 등으로 유명한 서명응이 61권으로 재정리한 것이다. 이후에도 해사일기(海槎日記) 등의 책들이 계속 추가되었다.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조선고서간행회 해행총재와 국역 해행총재를 추가한 본의 목록) || 번호 || 책명 || 저자 || || 1 || 정포은 봉사일본시작(鄭圃隱 奉使日本時作) || [[정몽주]] || || 2 || 봉사시작(奉事時作) [br]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 [[신숙주]] || || 3 || 해사록(海槎錄) || [[김성일(조선)|김성일]] || || 4 || 해유록(海游錄) 상·중·하권 || 신유한 || || 5 || [[간양록]](看羊錄) || [[강항]] || || 6 || 해사록(海槎錄) 상·하권 || 경섬 || || 7 || 동사상일록(東槎上日錄) || 오윤겸 || || 8 || 부상록(扶桑錄) || 이경직 || || 9 || 동사록(東槎錄) || 강홍중 || || 10 || 병자일본일기(丙子日本日記) || 임광 || || 11 || [[표주록]](漂舟錄) || 이지항 || || 12 || 해사록(海槎錄) 상·하권 || 김세렴 || || 13 || 사상록(槎上錄) || 김세렴 || || 14 || 동사록(東槎錄) || 황호 || || 15 || 동사록(東槎錄) || 조경 || || 16 || 해상록(海上錄) 상·하권 || 신유 || || 17 || 계미동사일기(癸未東槎日記) 상·중권 || 저자 미상 || || 18 || 부상록(扶桑錄) 상·중권 || 남용익 || || 19 || 문견별록(聞見別錄) || 남용익 || || 20 || 동사록(東槎錄) || 홍우재 || || 21 || 동사일록(東槎日錄) || 김지남 || || 22 || 조제곡일기(趙濟谷日記) || 조엄 || || 23 || 해사일기(海槎日記) || 조엄 || || 24 || 전후사행비고(前後使行備考) || 홍계희 || || 25 || 동사록(東槎錄) || 김철우 || || 26 || 동사록(東槎錄) || 김현문 || || 27 || 해사록(海槎錄) || 홍치중 || || 28 || 동사록(東槎錄) || 황선 || || 29 || 부상록(扶桑錄) || 정후교 || || 30 || 사상기(槎上記) || 남태기 || || 31 || 초본사상기(草本槎上記) || 저자미상의 역관 || || 32 || 노송당 [[일본행록]](老松堂日本行錄) || 송희경 || || 33 ||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 || 황신 || || 34 || [[월봉해상록]](月峰海上錄) || 정희득 || || 35 || [[금계일기]](錦溪日記) || 노인 || || 36 || 동사일기(東槎日記) || 임수간 || || 37 ||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 || 조명채 || || 38 || 동사록(東槎錄) || 유상필 || || 39 || 일동기유(日東記游) || 김기수 || || 40 || 일사집략(日槎集略) || 이헌영 || || 41 || 사화기략(使和記略) || 박영효 || || 42 || 동사만록(東槎漫錄) || 박대양 || == 세계기록유산 등재 == [[대한민국]]과 [[일본]]은 현재 공동으로 [[조선 통신사]] 관련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중이다. 일본 측 48건 209점, 한국 측 63건 124점으로 합계 111건 333점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조선국서(일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통신사등록]](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동사일기]](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조통 참착귀로 행렬도(일본 고려미술관 소장), [[변례집요]](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등이다. 이 외에도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동문휘고]], [[통문관지]], 해행총재(海行摠載), 해동기(海東記), 청산도유록(淸山島遊錄), 기타 각종 사행록 등의 자료들이 잠정 등재 리스트에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다. 2017년 10월 31일, 동문휘고, 통신사등록, 해행총재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확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7212&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해행총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2247&cid=40942&categoryId=32892|두산백과 : 해행총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23978&cid=49338&categoryId=49338|문화원형백과 : 해행총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17970&cid=55772&categoryId=55818|향토문화전자대전 : 해행총재]] [[분류:조선의 도서]][[분류:국립중앙도서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