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HexeTrude-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핵사 트루데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ヘクサ・トルーデ, 영어판명칭=Hexe Trude,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1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이 카드의 공격력은 400 포인트 올린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KC그랑프리 편]]의 [[KC 그랑프리]] 결승 듀얼에서 [[레온 윌슨]]이 사용한 최상급 몬스터.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 파괴 직후 [[신데렐라(유희왕)|신데렐라와 호박마차]]를 릴리스해 어드밴스 소환하였다. [[어둠의 유우기]]의 [[트럼프의 삼총사#로얄 스트레이트 슬래셔|로얄 스트레이트 슬래셔]]를 전투로 파괴해 공격력을 3000까지 올린다. 하지만 마지막 턴, 어둠의 유우기는 죽은 자의 소생으로 블랙 매지션을 부활시킨 다음, [[네크로맨시]]와 [[확산하는 파동]]의 콤보로 공격력을 600까지 깎아 듀얼을 끝냈다. 공격명은 '데스티니 크러시(デスティニー・クラッシュ / Destiny Crush)'. 직역하면 '마녀 트루데'로, 모티브는 [[그림 동화]] 시리즈 중 하나인 '트루데 부인'. 소녀가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트루데라는 여성을 만나러가는 이야기로, 결국 소녀를 나무토막으로 만들어서 태워버린다. 극히 짧은 내용이면서도 의미심장한 묘사가 많고 트루데의 정체가 마녀(헥사)인지도 애매하게 묘사된 채 이야기가 끝난다. === OCG === ||
<:>[[파일:ヘクサ・トルーデ.jpg|width=100%]]||<:>[[파일:HexeTrude-CP18-KR-C-UE.png|width=100%]]||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핵사 트루데, 일어판명칭=ヘクサ・トルーデ, 영어판명칭=Hexe Trude,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600, 수비력=2100, 종족=마법사족, 효과1=①: 필드 존에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이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필드 존에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이 존재할 경우\,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턴에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까지 몬스터에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400 올린다.)] 이 쪽도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이 있을 때 한정이긴 하지만, 원작보다 상향되었다. 능력치는 여전히 최상급치곤 조금 부족하지만 원작에 없는 ①의 효과로 릴리스 없이 통상 소환이 가능하며, ②의 효과는 노코스트로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고 [[더블어택]]까지 가능하게 해주는 우수한 효과. 부족한 타점 문제 역시 ③의 효과를 발동할 조건만 갖추면 최소 에이스급 몬스터의 공격력인 3000이 확보되며, 전투를 할 때마다 더 강해질 수도 있다. 효과가 심심했던 원작과 달리 동화 덱의 에이스로 충분히 활약 가능한 카드가 되었다. ①의 효과는 특정 조건하에 릴리스 없이 소환하게 해주는 소환 [[룰 효과]].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의 리크루트 효과와 통상 소환은 양립할 수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리크루트를 노리는 편이 낫다. 따라서 이 효과는 패에 와버렸을 경우에 사고 대책으로 생각해 두는 게 좋을 것이다. [[배너티 스페이스]] 등으로 특수 소환이 봉인된 경우에도 전개할 수 있으며, ②의 효과로 파괴할 수 있으니 돌파구가 되어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고 몬스터 한정으로 [[더블어택]]을 부여하는 [[기동효과]]. 컨트롤러나 카드의 종류를 불문하고 파괴할 수 있어 쓰기 편하다. 경우에 따라 대량의 유지 코스트를 요구하는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을 파괴해버려도 된다. [[무대회전]]으로 상대 필드에 [[기어 타운]] 등 파괴되었을 경우의 효과를 가진 카드를 세트하고, 자신은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을 세트, 리크루트 효과로 이 카드를 꺼낸 다음 그 카드를 파괴하고 효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③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했을 때 자신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올리는 [[유발효과]]. 원작 효과로 공격력을 올리는 대상이 자신이 아닌 다른 몬스터도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상승폭은 별로 크지 않지만, 이 카드에 적용하면 바로 3000이 되는데다 ②의 연속 공격과도 상성이 좋다. 강화 대상은 이 카드가 아니더라도 상관 없는데다, 강화된 능력치도 지속된다. 공격력 상승의 선택지가 늘어났기 때문에 원작보다 상향되었다고 볼 수 있다. 원작에서 블랙 매지션+확산하는 파동+네크로맨시 콤보에 의해 파괴당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확산하는 파동]]과의 콤보로 본인의 공격력을 크게 올리는 것도 생각해볼만 하다. 외수판에서는 노출이 줄어들어 가슴골을 없애기 위해 드레스 앞섶이 막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컬렉터즈 팩]] 2018 || CP18-JP009 ||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