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향문천 - 글과 울림의 샘)] [목차] == 영상 목록 == || 제목 || 바로가기 링크 || 업로드 날짜 || || 풍작을 기원하는 노래 - 붕붕 누에 테마 || [[https://www.youtube.com/watch?v=MeZVg4YSld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19년 5월 19일 || || 붕붕누에 채널에 어서오십시오 || [[https://www.youtube.com/watch?v=0HeQPb2n-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19년 6월 29일 || || 【[[제주어]] 배우기】문자 - 자음과 모음 || [[https://www.youtube.com/watch?v=hq2iouzvtX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19년 7월 6일 || || 【국가】한국 국가의 역사[* 여기서의 국가는 나라를 의미하는 국가(國家)가 아닌 나라를 대표하는 노래 국가(國歌)를 의미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NPDyFc4ZkE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19년 7월 29일 || || 【[[제주어]] 배우기】수사와 수관형사 || [[https://www.youtube.com/watch?v=bfdlJx2XDt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19년 8월 8일 || || 겨울왕국 「Let It Go」 25개 언어 자막 & 발음 [번역 있음] || [[https://www.youtube.com/watch?v=eDB0JCQsZ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19년 12월 30일 || || 한반도인의 옛 이름은 어땠을까? - 인명의 역사 || [[https://www.youtube.com/watch?v=zrE4SkUsQm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1일 || || 겨울왕국2 「Into the Unknown」 29개 언어 자막 & 발음 [번역 있음] || [[https://www.youtube.com/watch?v=j_yfHUgCf7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3일 || || 중세국어 중앙 악센트로 [[처용가|「처용가」]] 낭독 || [[https://www.youtube.com/watch?v=tnm-9Gsu_Y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6일 || || [[육진 방언|육진방언]]으로 말해보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SDUA1ctKP0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12일 || || 진라이부시 - [[협화어]] 음악 || [[https://www.youtube.com/watch?v=eJJhN36HLu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13일 || || 중세국어 중앙 악센트로 [[정읍사|「정읍사」]] 낭독 || [[https://www.youtube.com/watch?v=8dM54tJYZl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24일 || || 닭도리탕 명칭 논란 - [[통시 언어학|통시언어학적]] 해석 || [[https://www.youtube.com/watch?v=0XS8YgS0uA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월 25일 || ||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국어의 변화[* 조회수 "300만회"가 넘은 영상이다. 향문천의 떡상 영상인 것. ] || [[https://www.youtube.com/watch?v=uGDDyMWHJt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2월 7일 || || 언어 별 발음의 난이도를 통계적으로 알아내는 법 || [[https://www.youtube.com/watch?v=ITyKo2pjLQ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2월 25일 || || 조선족은 한국어를 어떻게 말할까? - [[중국 조선어]] || [[https://www.youtube.com/watch?v=moyk3GB9NP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3월 2일 || || [[만주어]]에서 유래한 지명 || [[https://www.youtube.com/watch?v=ZLZSvrfss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3월 11일 || || 【남도민요】(짧은) 물레타령 || [[https://www.youtube.com/watch?v=xQpAzXqiD1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3월 20일 || || [[중고한어|중고음]]에서 현대음으로「通攝・江攝」 || [[https://www.youtube.com/watch?v=suHsXIgHOT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3월 26일 || || 【신찬사뇌집】「해달」「이슬」「그믐」【1 - 3수】 || [[https://www.youtube.com/watch?v=0Yyx5nLV04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4월 4일 || || 3만 구독자 기념 Q&A || [[https://www.youtube.com/watch?v=iqUYfCnvxn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4월 21일 || || 음운변화로 보는 한국어 어원 10개 || [[https://www.youtube.com/watch?v=kFADXwrSGi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4월 27일 || || 「おばぁ」(할머니) - [[미야코어]] 음악 || [[https://www.youtube.com/watch?v=3HeTaSjabF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5월 12일 || || [[보이니치 문서|아무도 이 문장을 해석할 수 없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r01uXN-eZ0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5월 24일 || || [[This is a pen|This is a [pʰɛn].]] || [[https://www.youtube.com/watch?v=biR_Fr2Dkb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5월 31일 || || 중세국어 낭독 - 『[[훈민정음 언해본|훈민정음언해]]』『[[석보상절]]』『[[번역노걸대]]』 || [[https://www.youtube.com/watch?v=ald0dnV6Om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6월 7일 || || 사투리에 관한 모든것, 방언학 || [[https://www.youtube.com/watch?v=INLjj9_8Xh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6월 14일 || || [[한국어#s-3.6|인도 드라비다인이 우리말을 쓴다고?]] - 한국어와 [[타밀어]][* ~~다행히도~~ 해당 동영상의 내용은 타밀어와 한국어 사이의 관계는 정확한 증거가 없는 낭설일 뿐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타밀어는 한국어와 연관이 없다. 자세한 내용은 [[타밀어]] 문서 참조.] || [[https://www.youtube.com/watch?v=nQfDM36QEH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6월 28일 || || 조금 사악해진 누에. || [[https://www.youtube.com/watch?v=VYguZtPbMf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7월 4일 || ||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중일 언어의 변화 || [[https://www.youtube.com/watch?v=DXjsp5s2BS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7월 12일 || || 1930년대 조선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 [[https://www.youtube.com/watch?v=0QuZwId-4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7월 19일 || || 1890년대 프랑스 파리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 [[https://www.youtube.com/watch?v=AL3oLTxHNq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7월 20일 || || 일본의 가타카나는 한국의 구결에서 왔다 || [[https://www.youtube.com/watch?v=bt1Q1KbUO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7월 26일 || || Ar Soudarded (병사들) - [[브르타뉴어]] 민요 || [[https://www.youtube.com/watch?v=A38OSYyQdh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8월 2일 || || 몰라도 되는 [[통시 언어학|역사언어학]] TMI - 1편 || [[https://www.youtube.com/watch?v=fCqYhR925l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8월 9일 || || [[사흘]]은 왜 3일일까? || [[https://www.youtube.com/watch?v=6xvSIaIBKY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8월 16일 || || 이 세상 모든 발음을 정복하자! - [[국제음성기호|IPA(국제음성기호)]] || [[https://www.youtube.com/watch?v=tNFRz8qdTT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8월 23일 || || 켄툼 vs 사템 - [[인도유럽어족|인도유럽어]]의 출생의 비밀 || [[https://www.youtube.com/watch?v=2kcYndR37r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8월 30일 || || 한글이 소중한 진짜 이유는? || [[https://www.youtube.com/watch?v=rS3DFmjvTv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9월 6일 || || [[토키 포나|도기 보나]] - 단어 123개의 미니멀리즘 언어 || [[https://www.youtube.com/watch?v=bCLsoXbQoL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9월 13일 || || 극도의 [[언어순화 운동|순혈 컨셉충]] 언어 - [[앙글리시]] || [[https://www.youtube.com/watch?v=N2Ri1lS5re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9월 27일 || || [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 [[https://youtu.be/yiJkII84dy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0월 9일 || || [[언어학 올림피아드]] - 세계관 최강자들의 게임【※참가신청 접수중!】 || [[https://youtu.be/dKmU0AwGEf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1월 1일 || ||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는? - 언어별 최초문증 시기 비교 || [[https://youtu.be/TOWD0yGf96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1월 8일 || || 고구려어는 한국계 언어? - 만주어와 일본어 속의 옛 한국어 차용어 || [[https://youtu.be/ZMYSP7MPVE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1월 22일 || || 중국어가 만주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 현대 만주어의 음운 || [[https://youtu.be/JvFTnVSVZ3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2월 6일 || || 향문천은 누구인가? - 10만 구독자 기념 Q&A 1부 || [[https://youtu.be/q_u9Y5KcDD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2월 20일 || || 크리스마스, 2020년을 마치며 - 10만 구독자 기념 Q&A 2부 || [[https://youtu.be/s1L-2uYaw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2월 25일 || || 중세국어에서 찾은 잊힌 순우리말? - 고유어란 무엇인가 || [[https://youtu.be/QC9o43xszj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0년 12월 27일 || || 사라져 버린 순우리말 지명의 비밀 || [[https://youtu.be/qQV7Y55_M8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1월 3일 || ||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영어의 변화 || [[https://youtu.be/y6jrOfdXJb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1월 24일 || || 한자 같지만 한자가 아니다 || [[https://youtu.be/m2FS8c7QBi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2월 7일 || || 나는 왜 52.2%만 한국 인종인가 || [[https://youtu.be/21pFpQP_6M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2월 21일 || || --한반도에서 일본계 언어가 쓰였다 「반도일본어 가설」--[* 영상 비공개] || [[https://youtu.be/OWpfp1yq9-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2월 28일 || || 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 || [[https://youtu.be/Xwk5vEePDf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3월 14일 || || 중세국어 낭독 – 『월인천강지곡』 || [[https://youtu.be/6RBJQhYdkG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3월 28일 || || 요오드는 왜 아이오딘이 되었는가? – 한국어 화학 원소명의 유래와 변화 || [[https://youtu.be/taydBiQ39Z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4월 25일 || || 중국과 일본은 왜 아직도 한자를 사용할까? 「한자폐지론」 || [[https://youtu.be/XWS3FTs2l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5월 16일 || ||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 [[https://youtu.be/8VKdN9IxRm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6월 20일 || || 향문천 중세국어 낭독의 해결할 수 없는 오류 || [[https://www.youtube.com/watch?v=8fGDmM-mwL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8월 8일 || || 1945년 8월 15일 정오, 당시 조선인은 무엇을 들었는가 || [[https://youtu.be/pNcUnd19uq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8월 15일 || || 터키어 순화와 터키판 환빠(태양어 이론) || [[https://youtu.be/wiuH26VE3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9월 12일 || || 일본 궁중 음악속에 숨겨진 고대 한국어 || [[https://youtu.be/kh728OaflG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1년 10월 3일 || || 향문천 3.0 || [[https://www.youtube.com/watch?v=ojtYcP7m-5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3년 5월 4일 || || [시청자 통신] 이상하게를 [이상하케]라고 발음하세요? || [[https://youtu.be/4EvyZx9jeK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3년 5월 28일 || || 한국과 일본, 북한 발사체 관련 보도 비교 || [[https://youtu.be/xnmL1QSwx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3년 6월 1일 || || 신라는 왜 무슬림들의 이상향이 되었는가? || [[https://youtu.be/uNydMHwpAQ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3년 6월 27일 || || 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 문자#s-3|거란어 거울]]을 해독했습니다 || [[https://youtu.be/_qqsOZwhqn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2023년 7월 12일 || 영상의 업로드 날짜를 보면 실질적으로 영상을 주기적으로 올리게 된 것은 2020년 6월 즈음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향문천 - 글과 울림의 샘, version=84, paragraph=3)] == 영상 내용 == [include(틀:스포일러)] * 유튜버 [[향문천 - 글과 울림의 샘]]의 영상에 대한 설명 혹은 부가적인 점. * 유튜브 댓글 등을 옮겨 적을 때에는 문법이 틀린 것이 있더라도 그대로 기재한다. * 영상의 분류는 임의로 만든 것이 아니며 유튜버 스스로가 만든 [[https://www.youtube.com/c/lingfount/playlists|재생목록]]에 기반하여 작성하였다. === 격변하는 근대 === 2023년 8월 9일에 추가한 재생목록이다. 한국 군가에 숨겨진 일본의 문학전통 === 한반도와 고대 언어 === 2023년 7월 12일에 추가한 재생목록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어 거울을 해독했습니다 === 조우와 언어 접촉 === 2023. 6. 24. 신라는 왜 무슬림들의 이상향이 되었는가? === 시청자 통신 === 2023년 5월에 추가한 재생목록이다. 원격수업을 뜻하는 한자 [시청자 통신 001] 2023년 1월~5월 언어학 관련 소식, 일본제신한자 소개 한국과 일본, 북한 발사체 관련 보도 비교 향문천 최초공개 트레일러 (테스트 카드형) – 개정 회원전용영상 === 쇼츠 === Youtube Shorts 가장 쓰기 어려운 한글 조합은? 창작한자 대회 #1 - 킥보드 킥? === 붕붕누에 === [youtube(MeZVg4YSldo)] >아이러니하게도 언어의 장벽이 없는 음악을 담은 비디오가 이 채널의 정체성을 말하는 첫 영상이다 >---- >영상에 달린 댓글 향문천의 첫 게시물이다. 음악에 대한 평가는 기괴스럽고 음산하다는 평이 절반, 신비해서 좋다는 평이 절반이다.[* 음악 유튜버인 Hammubara Ankhana의 오케스트라 편곡 버전이 있다.[[https://youtu.be/6aTtf_zOD4I|#]]] ---- [youtube(0HeQPb2n-MA)] 위의 첫 동영상의 음악이 깔린 채로 [[누에]]의 모습이 나오다가 갑자기 노을이 나오고 (...) 마지막으로는 가문 문장까지 나오는 [[누가 이런 끔찍한 혼종을 만들어냈단 말인가!|끔찍한 혼종]]이다. 특히 마지막에 [[천리마체|빨간 어색한 글씨]]의 자막으로 '붕붕누에' 글자가 나오면서 혼란을 일으키는 건 덤. 참고로 영상 후반에 나오는 가문 문장은 일본 아사노 가문의 문장인 '매의 날개 문장'이다. [[https://blog.naver.com/kmkmhkmh/100201189046|출처]] ---- [youtube(VYguZtPbMfc)] 오너캐인 [[누에]]의 사악함과 그 이면의 불쌍함을 알리는 영상. (...) 영상 뒤의 내용을 확인하면 마이크를 새로 구입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끝날 때는 또다시 첫 동영상의 노래가 배경으로 깔렸다. === [[響]][[文]][[泉]] 시리즈 ===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국어의 변화 언어 별 발음의 난이도를 통계적으로 알아내는 법 [[만주어]]에서 유래한 지명 시각자료 [[중고한어|중고음]]에서 [[표준 중국어|현대음]]으로「[[通]][[攝]][[・]][[江]][[攝]]」 [[중고한어]]]( 추정음)에서 현대한어(중국어) 한자음으로 중국한자음이 변하는 과정, 시각자료 【신찬사뇌집】「해달」「이슬」「그믐」【1 - 3수】 음운변화로 보는 한국어 어원 10개 아무도 [[보이니치 문서|이 문장]]을 해석할 수 없습니다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중일 언어의 변화 20세기 초 조선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언어학과 무관한 영상 1 1890년대 프랑스 파리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언어학과 무관한 영상 2 몰라도 되는 역사언어학 TMI – 1편 이 세상 모든 발음을 정복하자! – [[국제음성기호|IPA(국제음성기호)]] [[언어학 올림피아드]] – 세계관 최강자들의 게임【※참가신청 접수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는? – 언어별 최초문증 시기 비교 [[고구려어]]는 한국계 언어? – [[만주어]]와 일본어 속의 옛 한국어 차용어 [[중국어]]가 [[만주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 현대 [[만주어]]의 음운 중세국어에서 찾은 잊힌 순우리말? – 고유어란 무엇인가 사라져 버린 [[순우리말/지명|순우리말 지명]]의 비밀 한국 지명 변천을 설명 한 뒤 고유어 지명으로 복원함을 반대하는 의견 제시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영어의 변화 영어 음운 변천 한자 같지만 한자가 아니다 한자 파생 문자를 소개 [8K]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요오드]]는 왜 [[아이오딘]]이 되었는가? – 한국어 화학 원소명의 유래와 변화 원소명 유래 및 변천 중국과 일본은 왜 아직도 한자를 사용할까? 「한자폐지론」 일본 궁중 음악 속에 숨겨진 고대 한국어 === 서양 나들이 === 사투리에 관한 모든것, 방언학 [[브르타뉴어]] 기준으로 설명 켄툼 vs 사템 – [[인도유럽어족|인도유럽어]]의 출생의 비밀 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 터키어 순화와 「태양어 이론」 === 천언만어 === >전세계 여러 언어를 소개하는 천언만어. 【[[제주어]] 배우기】문자 – 자음과 모음 【[[제주어]] 배우기】수사와 수관형사 조선족은 한국어를 어떻게 말할까? – [[중국 조선어]] [[도기 보나]] – 단어 123개의 미니멀리즘 언어 극도의 순혈 컨셉충 언어 – [[앙글리시]] 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와 [[고전 그리스어]] === 시사언어 === >언어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사건에 접근하는 시사언어. This is a [pʰɛn]. 사흘은 왜 3일일까?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1945년 8월 15일 정오, 당시 조선인은 무엇을 들었는가 [[옥음방송|광인(히로히토) 항복 선언(소위 옥음방송)]]만 재생 === 낭독 === [youtube(tnm-9Gsu_Yg)] [[처용가]]를 [[조선]] 초기 [[악학궤범]]에 한글로 기록된 [[중세 국어]] 버전으로 낭독한 영상. 전문은 다음과 같다. >東京 ᄇᆞᆯᄀᆞᆫ ᄃᆞ래 >새도록 노니다가 >드러 내 자리ᄅᆞᆯ 보니 >가ᄅᆞ리 네히로셔라 >아으 둘흔 내 해어니와 >둘흔 뉘 해어니오 원문에는 [[방점]]이 존재하지 않아 향문천이 직접 [[15세기]]의 중앙방언 악센트에 맞추어 읊었으며, 영상 내에도 방점이 찍혀 나온다. ---- [youtube(SDUA1ctKP00)] >[[육진 방언|육진방언]]은 동북방언에 속하며, 함경북도 일부 지역, 연해주, 중앙아시아(육진방언 기반의 고려말)에서 발화됩니다. >자료가 부족한 탓에 악센트는 중세국어 중앙방언의 것을 정규대응시켰으므로, 실제와는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세국어와의 악센트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세 H - 육진 H >중세 R - 육진 H >중세 L - 육진 L >중세 LH - 육진 R (축약된 경우) > >〈참고자료〉 >곽충구 「육진방언의 음운변화 - 20세기초로부터 1세기 동안의 변화」 >한진건 「륙진방언연구」 >---- >동영상 설명란 [[육진 방언]]을 자료가 있는 것은 그대로, 없는 것(성좃값)은 중세국어 중앙방언과 대응시켰다. 대응은 위의 설명란 참조. 댓글창에서 이 방언을 듣는 게 어려운지 [[제주어]]를 듣는 게 어려운지 각자가 의견을 표하고 있다. ---- [youtube(8dM54tJYZlI)] [[악학궤범]]에 기록된 [[정읍사]]를 낭독한 영상. 전문은 다음과 같다.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머리곰 비취오시라 >져재 녀러신고요 >즌ᄃᆡᄅᆞᆯ 드ᄃᆡ욜셰라 >어느ᅌᅵ다 노코시라 >내 가논 ᄃᆡ 졈그ᄅᆞᆯ셰라 처용가 낭독과 마찬가지로 원문에는 [[방점]] 표기가 존재하지 않아 직접 15세기의 중앙방언 악센트에 맞추어 읊었다. ---- [youtube(uGDDyMWHJtg)] 한국어의 변화를 시대로 나눠 각기 다른 문학자료를 낭독했다. 20세기 초, 즉 일제강점기에 녹음된 한국어는 현재와 거의 다르지 않다. 이후 언어가 과거로 갈수록 점점 난해해지며 마지막으로 8세기 신라어의 추정 발음을 들려줄 때는 거의 넋을 놓고 보게 된다. 위의 [[정읍사]] 녹음이 이 영상 안에 들어가 있다. 고대국어 낭독 부분에는 일본인 유튜버 [[https://www.youtube.com/channel/UClsyp848PT_kJ0VSR0zvWFg|Minerva Scientia]]의 [[제망매가]] [[https://www.youtube.com/watch?v=SpS4vmrhr00|낭독 영상]]을 사용했다.[* 다만 해당 유튜버의 경우 발음이 다소 부정확하다는 평이 많아, 이후 게시된 한중일 언어의 변화 영상에서는 향문천이 직접 고대 한국어 낭독을 담당했다.] ---- [youtube(DXjsp5s2BS0)] >※이 영상에 쓰인 녹음은 어디까지나 재구된 음성입니다. 따라서 실제 이렇게 발화되었다고 확신할 수 없습니다. 흥미 위주로만 시청해주세요! > >사용된 재구: >근대 한국어 - 전반적 합의. >근세 일본어 - 전반적 합의. >노국음 관화 - 노국음. >청대 월어 - 『分韻撮要』 기반 전반적 합의. >중세 한국어 - 諸학설의 선택적 취합. >중세 일본어 - 院政期 기준 악센트, 불명확한 악센트는 임의 적용; 전반적 합의. >고관화 - 『中原音韻』 기준 21성모설 채택; 성조 재구는 藤光曉(1984)를 따름. >고대 한국어 - 響文泉 임시 재구. >상대 일본어 - 자음은 전반적 합의; 모음 재구는 Miyake (2003)를 따름; 악센트는 임의 적용. >중고 중국어 - 편의상 潘悟雲(1943) 재구를 따름; 자동 변환기를 사용한 탓에 다음자 문제가 발생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상고 중국어 - Baxter-Sagart (2014) 재구를 따름; 미지의 자음 C는 낭독하지 않음. >---- >본인이 영상에 단 댓글 >장비: 꾸꾸럭 뀌라꿔꿔 >유비: 꿀룩 꽈라락 꼴록꼴록 >관우: 꾸끼 꽈꽈꽈 꼬꼬꼬 꼬욱 >---- >영상에 달린 댓글[* 사실 유머성 댓글이지만, 실제로 고대 중국인들은 저런 식으로 대화를 했을 것이라는 게 충격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다만 해당 재구음은 [[주나라|서주]] 시기의 문헌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 무려 천 년 가까이 되는 세월이 흐른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중국어는 [[중고한어]]에 보다 가까웠을 가능성이 높다. 어떤 방면으로든 고대의 언어 발음은 현대 화자들이 듣기에 무조건적으로 이상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저런 식이 아니더라도 실제 발음을 들으면 무조건 충격적일 거라는 셈. 댓글창에서는 삼국지 등장인물 이외에도 [[공자]]까지 나오는 중인데, 이쪽은 서주시대와 훨씬 가까운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라 드립이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이번에는 한국어 외에 중국어와 일본어, 홍콩 광동어 변화를 문헌자료가 있거나 구하기 쉬워질 시대까지 시대로 나눠 각기 다른 자료를 낭독했다. [[상고한어|상고 중국]]어까지 올라가 끝나게 되는데, 댓글창은 [[삼국지]] 등장인물들이 [[나의 아스카는 그러지 않아|이런 발음으로 대화를 했을 리 없다]]며 부정 중. (...) 《도연초(徒然草)》 낭독에서 한 줄을 빼 먹은 오류를 지적하는 댓글도 있다. ---- [youtube(y6jrOfdXJbc)] >정말 오랜만입니다. 이번 영상은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시리즈의 새로운 에피소드로, 영어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시청하실 때는 꼭>자막기능을 활성화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의사항※ >1) 본 영상에 포함된 옛 영어의 음성은 학술적 방법에 의해 재구된 것으로, 학자나 발화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어디까지나 재구된 음성이므로 실제 영어의 발음과는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언어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구해진 재구는 체계적인 이론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를 단순한 추측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2) 해당 영상에서는 당시의 영어를 기록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하므로 방언이나 발화집단과 같은 공시적인 요소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3) 본 영상에서 나타나는 음운표기의 경우는 영어의 통시음운론적 연구를 진행한 논문 따위에서의 서술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오나, 저의 실수 혹은 영어학에 대한 부족한 이해도로 인하여 미처 잡아내지 못하고 놓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너그러이 이해해주시고 미흡한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근대영어의 음소 /r/을 실수로 음성차원에서의 구분으로 음절초에서 치경 탄음, 음절말에서 치경 접근음으로 전사하였는데요, 이는 오류입니다. 음운 표기와 음성 표기를 합하다가 범한 실수입니다. 그리고 근대영어 시기에는 어떤 위치에서라도 치경 접근음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해보이므로 발화 상에서도 아쉬운 실수가 있었습니다. >4) 저는 영어 원어민 화자가 아니므로 현대영어 발화에 있어서 부자연스러운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동영상 설명란 영어는 과거와 현재 상관없이 어차피 못 알아듣는 거 아니냐는 자조적인 댓글도 있다. ---- [youtube(6RBJQhYdkGY)] >이전 중세국어 낭독 영상들과 마찬가지로, 낭독에 사용된 발음은 추정음에 불과하며, 당시에 존재했을 수 있는 변이음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다만 개인적인 발화 습관으로 /əj/를 [ㅔ]로 발음해버린 구절도 있긴 합니다. 당시에 존재했던 변이음을 반영해서 낭독한다면 실제로는 현대 국어의 발음과 조금 더 비슷해질지도 모릅니다. > >낭독에 사용된 억양을 미심쩍어 하시는 분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이건 제 마음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원본에 적혀 있는 방점 기술에 의거하여 읽은 것입니다. 평성은 짧고 낮은 저조, 거성은 높고 짧은 고조, 상성은 길게 올라가는 상승조입니다. 그리고 이 영상에는 방점 표기를 조금 특이하게 해보았는데요, 각 한글조합 위에 점이 없으면 평성, 일반적인 점이 있으면 거성, 가운데가 빈 고리점이 있으면 상성입니다. 한글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악센트 부호를 활용하여 나타내었습니다. >---- >본인이 영상에 단 댓글 [[1447년]]경 지어진 찬불가, [[월인천강지곡]]을 낭독했다. === 팩트체크 === >언어에 관한 오해를 바로잡는 팩트체크. [[닭도리탕]] 명칭 논란 – 통시언어학적 해석 3만 구독자 기념 Q&A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문답영상 인도 [[드라비다인]]이 우리말을 쓴다고? – 한국어와 [[타밀어]] 일본의 [[가타카나]]는 한국의 [[구결]]에서 왔다 [[가타카나#한국기원설|편가명(가타카나) 기원]]은 [[구결#구결 일본 전파설|자토구결이 일본에 전래되어 형성]]되었다는 설 한글이 소중한 진짜 이유는? [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향문천 - 글과 울림의 샘|향문천]]은 누구인가? – 10만 구독자 기념 Q&A 1부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문답영상 크리스마스, 2020년을 마치며 – 10만 구독자 기념 Q&A 2부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문답영상 나는 왜 52.2%만 한국 인종인가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하플로 그룹]] 관련 향문천 중세국어 낭독의 해결할 수 없는 오류 === 음악 === [youtube(eDB0JCQsZrU)] [youtube(j_yfHUgCf70)] 영상의 한국어 자막이 국한문혼용으로 적힌 것 때문에 조선족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났었다. 향문천은 이에 대해서 자신은 조선족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 [youtube(eJJhN36HLuQ)] >히구치 시즈오(樋口静男)의 노래. >이 음악의 가사는 만주국에서 사용된 중국 북방어와 일본어의 [[피진]]어인 [[협화어]]로 적혔습니다. >---- >동영상 설명란 협화어 음악. 센스 있게도 동영상의 자막은 한국인이 흉내낸 중국어처럼 쓰여져 있다. 이는 [[초월번역]]으로 볼 수도 있는데, 애초에 협화어가 [[피진]]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협화어 문서 참조 바람. ---- [youtube(xQpAzXqiD1o)] 노래방처럼 어느 위치를 부르고 있는지와 배경음악만 나온 영상이다. 직접 부를 줄 알아서 당황했다는 댓글도 있다. ---- [youtube(3HeTaSjabF4)] >[[미야코어]] 음악을 만드는 싱어송라이터 시모지 이사무(下地イサム) 씨의 곡입니다. >[[미야코어]]는 류큐어족에 속하는 일본의 언어입니다. 미야코어는 일본류큐조어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현재는 화자가 매우 줄어들어 사멸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 >동영상 설명란 미야코어 음악. 4분 16초 경에 가사 '今日も嬉しそうに微笑んでいる (오늘도 기쁜 듯이 미소짓고 계시네)' 부분이 누락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수정되었다. ---- [youtube(A38OSYyQdhM)] >푸를레텐의 고향 뷔브리(Bubry) 지역의 남쪽에 위치한 로리앙(Lorient) 지역의 민요입니다. >---- >동영상 설명란 [[브르타뉴어]] 민요. 1분 2초 경과 1분 23초 경의 가사가 동영상의 자막과 다르다. 1분 2초 때에는 “Oe ur soudard Ar Fur a oa”가 맞고, 23초 경에는 ”Ne gredan ket erbet e varvin ervat.”이 맞다고 국역한 사람이 직접 댓글을 달았다. === 문자와 문명 === [youtube(sgTCIhXdN-0&list)] >중국의 간화자, 일본의 신자체처럼, 한국에서도 공식적인 한자 약자를 제정하려고 한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20세기 어문정책은 국한문혼용과 한글전용의 첨예한 대립 속에서 다양한 담론과 시도를 낳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 번은 지금은 통폐합된 舊 문교부에 의해 진행된 1967년의 두 차례에 걸친 약자 제정, 한 번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통칭 한국어문회, 어문연)에 의한 민간 주도의 신문용 약자 제정은, 결과적으로 실패했지만 현대 한국어사의 대단히 흥미로운 일부입니다. 이 영상은 잘 알려지지 않은 대한민국의 약자 제정사를 역사적인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 >동영상 설명란 [[분류:영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