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원위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3 0%, #DC143C 20%, #DC143C 80%, #9C0013); color: #ece5b6" '''북위 제6대 황제[br]{{{+1 현조 헌문제 | 顯祖 獻文帝}}}'''}}} || ||<|2> '''출생''' ||[[454년]] [[8월 14일]] || ||[[북위]] [[산시성(산서성)|대군]] [[다퉁시|평성]] 음산 동쪽[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다퉁시]]) || ||<|2> '''즉위''' ||[[465년]] [[6월 21일]] || ||[[북위]] [[산시성(산서성)|대군]] [[다퉁시|평성]] 황궁[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다퉁시]]) || ||<|2> '''사망''' ||[[476년]] [[7월 20일]] (향년 22세) || ||[[북위]] [[산시성(산서성)|대군]] [[다퉁시|평성]] 황궁 영안전[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다퉁시]]) || || '''능묘''' ||운중금릉(雲中金陵) || ||<|6> '''재위기간''' ||'''{{{#ece5b6 북위 황태자}}}''' || ||[[456년]] [[2월 22일]] ~ [[465년]] [[6월 21일]] || ||'''{{{#ece5b6 제6대 황제}}}''' || ||[[465년]] [[6월 21일]] ~ [[471년]] [[9월 20일]] || ||'''{{{#ece5b6 북위 태상황}}}''' || ||[[471년]] [[9월 20일]] ~ [[476년]] [[7월 2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탁발부|탁발(拓跋)]] || || '''휘''' ||홍(弘) || || '''부모''' ||부황 [[문성제|고종]][br]친모 성원황후, 적모 문명황후 || || '''형제자매''' ||7남 1녀 중 장남 || || '''배우자''' ||문사황후 || || '''자녀''' ||7남 5녀 || || '''종교''' ||[[불교]] || || '''자''' ||제두윤(第豆胤) || || '''묘호''' ||'''[[현조]](顯祖)''' || || '''시호''' ||헌문황제(獻文皇帝) || || '''연호''' ||천안(天安, [[466년]] ~ [[467년]])[br]황흥(皇興, [[467년]] ~ [[471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북조시대]] 북조 [[북위]]의 제6대 황제. 묘호는 현조(顯祖), 시호는 헌문제(獻文帝)였으며, 휘는 홍(弘)으로 제5대 고종 [[문성제]]의 아들이었다. 탁발홍의 생모는 후궁인 이부인(문성원황후로 추존)이었는데, 그녀가 죽은 후 적모인 문성문명황후 풍씨가 탁발홍을 양육했다. 한국사와도 연관이 있는 황제인데, [[백제]] 제21대 [[개로왕]]이 472년[* 《[[위서(역사책)|위서]]》 <백제전>에는 472년,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474년으로 되어있다.] 북위에 표문을 올려 고구려를 공격해달라는 주청을 했을 때의 북위 황제가 바로 헌문제였다. 사실 당시 실제 황제는 다섯 살이었던 고조 [[효문제]]였고, 헌문제는 태상황으로 물러나 있었다. 하지만 이는 풍태후와의 권력 다툼 때문이었고, 헌문제는 태상황으로 물러난 후에도 완전히 실권을 놓진 않았다. 헌문제의 결정으로 북위와 고구려의 다툼은 없었고, 결국 백제의 수도 한성이 함락당하는 파장까지 일어났음을 생각하면 이 황제의 결정이 나름대로 한국사의 지각변동을 일으킨 것이었다. == 생애 == 456년, 정식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며, 465년에 황제로 즉위했다. 제위에 올랐지만 나이가 어렸기에 승상 을혼(乙渾)이 통치했지만, 문성문명황후 풍씨가 을혼을 죽이고 섭정을 단행했다. 3등 9품(三等九品)의 관직 정비를 실시하여, 다음 황제인 고조 [[효문제]] 때 북위의 전성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471년에 장남이자 황태자인 탁발굉(효문제)에게 양위하고 476년에 붕어했다. == 대중매체에서 == 2016년 드라마 <금수미앙> 마지막회에 등장한다. 2018년 드라마 <봉수황>에 등장했다. 불교에 심취해있으며, 의심병이 있어서 진심으로 충성하는 신하가 거의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분류:남북조시대/황제]] [[분류:탁발선비]] [[분류:퇴위한 군주]][[분류:역대제왕묘 배향자]][[분류:454년 출생]][[분류:476년 사망]][[분류:다퉁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