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 철학사/고대 철학)] [include(틀:Skai TV 선정 위대한 그리스인)] |||| {{{#ff0101 {{{+1 '''헤라클레이토스'''}}}}}}[br]'''Ἡράκλειτος | Heraclitu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braham_Janssens_-_Heraclitus.jpg|width=100%]]}}} || || {{{#ff0101 '''이명'''}}} ||에페소스의 헤라클레이토스 {{{-1 Ἡράκλειτος ὁ Ἐφέσιος}}}|| ||<|2> {{{#ff0101 '''출생'''}}} ||기원전 535년경|| ||[[소아시아]] 서안 [[이오니아]] [[에페소스]]|| || {{{#ff0101 '''사망'''}}} ||기원전 475년경|| || {{{#ff0101 '''직업'''}}} ||철학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같은 강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 >---- >헤라클레이토스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p.243]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만물의 근원을 [[불]]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말하는 [[불]]은 '불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면서도,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모든 것은 이러한 변화 속에 있으며, 이 변화는 대립자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것. 이는 곧 '투쟁'을 상징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변하지 않는 하나의 법칙인 로고스[* 헤라클레이토스는 철학사에서 로고스(logos)를 최초로 언급한 사람이다.]에 따라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라고 헤라클레이토스는 주장했다.[* 군나르 시르베크, 『서양철학사 1』 2016. 이학사. p.32~33] == 출생 및 행적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에페소스]]의 귀족 출신이었다. 그냥 귀족이 아니라 구 왕족이라서 제법 영향력 있는 집안의 장남이었으며 그 누구보다도 오만방자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동생에게 가문의 지위를 그냥 넘겨줄 정도로 세속적인 명성에는 신경쓰지 않는 사람이었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진술에는 아테네의 그리스 철학자 안티스테네스(Ἀντισθένης)가 말하길, 헤라클레이토스가 동생에게 가문을 물려준 것을 들어 그를 매우 고매한 사람이라고 평가했기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어려서부터 영재였고, 누구에게도 가르침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소티온은 어떤 사람들이 그가 [[크세노파네스]]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자기 자신을 탐구했으며 모든 것을 자기 자신에게서 배웠다고 말했다. 장성한 뒤에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을 정도로 똑똑했다. 한편, 그는 에페소스 출신이었지만, 에페소스 사람들을 싫어했다. 자신의 친구인 헤르모도로스를 국외로 추방했다는 이유였다. 친구 헤르모도로스는 헤라클레이토스가 볼 때에, 에페소스에서 가장 '쓸모있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그 쓸모있는 사람을 추방했으니 "에페소스에서는 앞으로 쓸모 있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라며 에페소스 사람들을 비난한 것이었다. 기어코 헤르모도로스가 국외로 추방되었을 때, 그는 아르테미스 사원으로 물러가 아이들과 더불어 공기놀이를 하며 지냈다. 이를 본 에페소스 사람들이 그 이유가 궁금하여 그 주위에 모여들자, 그는 "더 없이 못된 자들이여, 왜 놀라는가? 당신들과 함께 시민의 삶을 사느니보다는 이것을 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은가?"라고 말했다고 한다. 결국 그는 에페소스 사람들을 피하여 산속에 은둔하면서 풀과 나뭇잎을 먹으며 살았다. 하지만 이로 인해 수종[* 몸에 물이 차는 병. 전신적인 수종은 보통 순환계 계통(심장, 폐)의 문제로 생긴다.]이 생기자 도시로 다시 내려왔고, 의사들에게 "폭우로부터 가뭄을 만들어낼 능력이 있냐"고 수수께기처럼 물어 보았다. 이 말은 '수종을 치료할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이었지만 의사들은 이해하지 못했다. 이에 헤라클레이토스는 외양간으로 가서 직접 자신에 쇠똥을 묻히곤 쇠똥의 열기로 몸의 물이 빠지기를 바랬다. 쇠똥을 묻히는 방법은 당시 알려진 민간요법이었지만 아무런 효험을 보지 못했고 향년 60세로 생을 마감했다. --만물의 근원이 불이라고 주장하던 사람이 물때문에 죽었다--[* 사실 이런 부분은 후대 사람들이 해당 철학자들을 비꼬기 위해 만들어낸 일화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학자들은 생각한다. 비슷한 예를 들자면,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이 물이라고 주장했던 사람이라 그것에 대해 가장 신경을 쓰는 사람이었을텐데도, 결국 죽을 때는 [[탈수]] 때문에 죽는다.] 그가 남긴 책은 《자연에 관하여》가 유명하다. 하지만 그는 능력 있는 사람만이 이 책에 접근할 수 있고 대중들은 쉽게 읽을 수 없도록, 책을 공들여 불분명하게 썼다고 한다. 당시 페르시아 왕 다레이오스는 헤라클레이토스에게 편지를 보내, 책이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기 힘든데 내용은 우주 전체에 대한 이야기를 해서 너무 궁금하니 자신의 왕궁으로 와서 강의해 달라고 부탁했을 정도였다. 얼마나 꼬아놨던지 철학자 티몬은 그를 두고 "수수께기를 말하는 자"라고 칭했다. == 사상 == === 만물은 불이다 === >모든 것은 불로 구성되어 있고 불로 다시 분해된다. (.. 중략..) 그리고 세부적인 그의 학설은 다음과 같다. '''불이 원소이고, 모든 것은 불의 교환물'''로서, 희박과 농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 그는 전혀 분명한 설명을 내놓지는 않는다. 또 '''모든 것은 대립에 따르고, 전체는 강처럼 흐르며, 모든 것은 한정되어 있고, 세계는 하나이다.''' 그리고 세계는 영원한 시간에 걸쳐서 일정한 주기에 따라 번갈아 불에서 태어나 또다시 불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것은 운명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한편 반대되는 것 중에서 생성에 이르는 것은 전쟁이나 다툼으로 불리고, 반면에 모든 것이 불이 되는 상태로 이끄는 것은 화평이나 평화로 불리며, 변화는 "오르막이자 내리막인 길"이며, 세계는 이 변화에 따라서 생겨난다.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1》 2021. 나남출판. p.233~234] [[플라톤]]이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을 '변화'라는 운동적 측면에서 살펴본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헤라클레이토스를 '만물의 근원을 불'이라고 말한 사람으로 평가하면서, 질료적인 측면에서 그의 사상을 살펴보았다.[* 운동적인 측면과 질료적인 측면 중, 헤라클레이토스가 의도한 바가 정확히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전해지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들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중요한 부분은 빠져 있는데다가 그는 쉽게 알아보기 힘들게 자신의 글을 일부로 꼬아서 썼기 때문이기도 하다.] [[플루타르코스]]도 그가 모든 것을 '불의 교환물'로 보았다고 지적을 하며, 그의 말을 인용한다. "불의 죽음이 공기에게는 생겨남이고, 공기의 죽음이 물에게는 생겨남이다."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p.248] === 대립과 변화 === >동일한 것, 살아 있는 것과 죽은 것, 깨어 있는 것과 잠든 것, 젊은 것과 늙은 것. 왜냐하면 이것들이 변화하면 저것들이고, 저것들이 변화하면 이것들이기 때문에. >---- >플루타르코스 DK22B88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p.238] >대립하는 것은 한곳에 모이고, 불화하는 것들로부터 가장 아름다운 조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든 것은 투쟁에 의해 생겨난다. >---- >『니코마코스 윤리학』 1155b4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p.238] [[플라톤]]은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을 '만물은 흐른다' 즉, '''판타 레이'''(panta rhei)[* 판타 레이는 '만물유전설'로 부르기도 한다.]로 요약한다. 그리고 그는 '판타 레이'를, 이후에 등장하는 [[파르메니데스]]의 '불변적 존재론'과 대립시키면서, '만물은 변화한다'는 운동적인 관점에서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변화하지 않는 것은 없다'는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은 말로 대변된다. "너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들어갈 수 없을 것이다." [* (플라톤 DK22A6)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p.243] 이러한 변화는 대립하는 것들의 '투쟁'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다. 이 '투쟁'과 '불화'를 통해 모든 변화가 발생한다. 하지만 또한 불화하는 것들로부터 가장 아름다운 조화가 이루어지는 법이기도 하다. 헤라클레이토스의 비유에 따르자면, 마치 [[활]]과 [[리라(악기)|리라]]의 경우처럼, 그것은 반대로 당기는 조화이다. === 변화 속의 공통된 하나, 로고스 === >그대는 가면서 모든 길을 다 밟아 보아도 영혼의 한계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게도 그것은 깊은 '''로고스'''를 가지고 있다. >----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1》 2021. 나남출판. p.233] >나에게 귀를 기울이지 말고 로고스에 귀를 기울여, '만물은 하나이다'라는 데 동의하는 것이 지혜롭다. >---- >『모든 이교적 학설들에 대한 논박』 Ⅸ.9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p.236] '사유하는 것'은 인간에게 가장 큰 덕이라 할 수 있다. 사유란, 참을 말하는 것과 본성에 귀기울여가며 그것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이며, 그것은 지혜로운 것이다. 무엇보다 '사유하는 것'은 모든 인간들에게 '공통'이며, 우리는 이를 사용하여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고 거기서 대립되는 사물들의 조화를 발견한다. 그 조화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하나의 법칙', 그것이 바로 '''로고스'''인 것이다. 이 '공통된 하나'를 알아야 미래의 일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모든 것을 조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성을 가지고 말하려는 사람들은 모든 것을 대함에 있어서 '공통된 하나'에 확고한 기반을 두어야만 한다. 마치 도시의 법이 그래야 되는 것처럼. 그러나 이는 보이지 않는 조화이기 때문에 소수의 깨어 있는 자들에게는 '하나이고 공통의 세계'가 있는 반면, 다수의 잠들어 있는 자들은 각각 자기만의 세계로 다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07헤라클레이토스 편의 로고스 부분 요약.] == 창작물에서 == * 단테의 [[신곡#s-2.1|신곡]]에 등장한다. 헤라클레이토스는 훌륭한 업적을 세웠지만 하나님을 믿지 않아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자들과 함께 [[림보]]에 있다. * [[라파엘로 산치오]]가 그린 [[아테네 학당]]에 등장한다. 라파엘로는 계단 아래에서 턱을 괴고 혼자 앉아있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얼굴에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얼굴을 넣음으로서 그들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고 한다. 그냥 둘이 성격이 똑같아 보여서 그의 얼굴을 거기에 그렸다는 얘기도 있다. 미켈란젤로는 오만한 천재인데다 주변을 신랄하게 비판했다는 점에서 헤라클레이토스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 소설 [[소피의 세계]]에 등장했다. * 네이버 웹툰 [[덴마]]의 등장 종족인 [[데바림|데바림족]]의 인사말 '판타레이'가 그의 [[철학]]을 관통하는 메시지인 판타레이(Πάντα ῥεῖ, panta rhei)에서 [[덴마/패러디|따왔다.]] * 게임 [[크라이스타]]에서 그의 이름을 딴 캐릭터인 [[헤라클레이토스(크라이스타)|헤라클레이토스]]가 등장한다. == 같이 보기 == * [[헤라클레이토스 호메리코스]][* 동명이인으로 약 1세기 후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했으며 헤라클레이토스의 '우리는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라는 말에 대한 해석도 남겼다.] == 여담 == * 세계를 대립과 통일의 조화로 이해한다는 점에서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헤겔]]의 [[변증법]]의 원형을 보여준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 [[안정복]]이 천주교를 비판하는 내용이 담겨진 천학문답에서 흑랍(黑臘)이라는 이름으로 [[데모크리토스]]와 함께 언급되었다. [[https://www.dogdrip.net/274005295|#]] [각주] [[분류: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분류:기원전 535년 출생]][[분류:기원전 47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