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요하네스 헨드릭 펠드메이어르}}}[br]Johannes Hendrik Feldmeijer''''[* Veldmeijer에서 Feldmeijer로 개명했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펠드메이어르1.jpg|width=100%]]}}} || ||<|2> '''출생''' ||[[1910년]] [[11월 30일]] || ||[[네덜란드]] 드렌터주 아선 || ||<|2> '''사망''' ||[[1945년]] [[2월 22일]] (향년 34세) ||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랄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 '''학력''' ||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슈츠슈타펠]] [[대령]][br][[무장친위대]] [[대위]] || || '''주요 서훈''' ||[[철십자 훈장]] || ||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펠드메이어르2.jpg|width=100%]] || || '''헹크 펠드메이어르 (Henk Feldmeijer)''' || [[네덜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초기 행적 == [[네덜란드]] 드렌터주 아선에서 육군상사의 아들로 태어난 펠드메이어르는 중간이름 "헹크"만을 사용하여 헹크 펠드메이어르를 이름으로 썼다. [[1928년]]에 고교졸업 후 [[흐로닝언 대학]]에 입학해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였다. == 정치 활동 == [[1931년]]에 병역의무로 휴학해 포병 장교가 되었다. 이 때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NSB) 돌격대(WA)와 접촉하여 [[나치즘]]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1932년]]에 펠드메이어르는 NSB당원이 되어 479번의 번호를 받았다. 최초의 1,000명 멤버 중 한명으로서 NSB의 리더인 [[안톤 무세르트]]와 직접적인 연줄이 있던 그는 [[흐로닝언]] 시내에서 연설하며 리더의 필요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반발을 역설했다. 펠드메이어르의 화술은 곧 먹혀들어, 선전부의 요직에 취임해 독일과 이탈리아도 방문하여 [[슈츠슈타펠|SS]]대원과 [[파시스트]] 당원과도 접촉했다. [[1935년]]에 대학에서 전공시험에 낙제하자 그대로 대학을 퇴학하여 이후 정규당원으로서 유트레히트의 본부에서 본격적인 나치즘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NSB에서 펠드메이어르는 네덜란드 역사속에서 독일적 요소를 계발하여 민족우월주의와 반유대주의적 역사관을 고무시켰다. 그는 독일의 슈츠슈타펠과 많은 극비라인을 가지고 있어, NSB내부에서 당의 견해의 과격화를 주도했다. 펠드메이어르는 [[네덜란드인]]의 선조인 게르만 민족혈통의 유지를 이상화하여 [[1937년]]에 [[안톤 무세르트]]와 마찰을 빚어 지방으로 좌천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 [[1940년]] [[5월 3일]]에 네덜란드 정부는 독일에게 기밀을 누설한 혐의로 펠드메이어르를 체포하여 벨기에를 경유해 프랑스로 호송했지만 [[5월 30일]]에 칼레를 침공한 독일군에 의해 풀려났다. [[6월 2일]]에 네덜란드 침공직후 독일의 수중에 떨어진 네덜란드로 돌아온 그는 친위대 국가지도자 [[하인리히 힘러]] 및 네덜란드 국가판무관인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와 만났다. || [[파일:펠드메이어르3.jpg|width=100%]] || || '''[[한스 라우터]]와 헹크 펠드메이어르''' || 며칠 후, 펠드메이어르는 네덜란드 친위대 및 경찰고급지도자였던 [[한스 라우터]]와 만났는데, 펠드메이어르의 열의와 카리스마에 감복한 라우터는 [[1940년]] [[9월 11일]]에 네덜란드 SS의 설립에 그를 도왔다. [[1942년]] [[1월]]에 게르만 SS로서 통합되기 전까지 네덜란드 SS는 최대 4,000명 규모의 조직으로 팽창해 있었다. 이 네덜란드 SS는 NSB의 하부조직이었지만 나치 친위대의 하부조직이기도 했다. 표면상 책임자는 NSB의 수장인 [[안톤 무세르트]]였지만 실질적인 지도자는 펠드메이어르와 그를 지지한 힘러, 그리고 라우터였다. 펠드메이어르는 독일의 유럽정복사업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자신도 최전선에 종군했다. || [[파일:펠드메이어르4.jpg|width=100%]] || || [[무장친위대]] [[소위]] (하급돌격지도자) 헹크 펠드메이어르 || [[1941년]] [[4월]]부터 [[5월]]까지 제1SS기갑사단의 포수로서 [[유고슬라비아 침공]] 및 발칸반도 전쟁에 참가했으며, [[1942년]] [[6월]]에는 제5SS기갑사단의 고사포 지휘관으로 독소전쟁에 참전했다. [[1943년]] [[3월]]에 알게마이네[* 일반친위대] [[슈츠슈타펠|SS]]에서 [[대령]]으로 승진 후, [[1944년]] [[3월]]에 [[무장친위대]] [[대위]]계급도 받은 펠드메이어르는 1, 2급 철십자 훈장 및 전투중 부상으로 인해 전상장을 수여받았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펠드메이어르 대령.jpg|width=100%]]}}} || ||<#ddd> 친위대 연대지도자 펠드메이어르 || 펠드메이어르는 조직에 대한 집념으로 인해 주위의 NSB당원들과 여러차례 권력투쟁을 반복했다. 나치는 네덜란드를 [[제3제국]]의 일부로서 완전한 통합을 목표로 했지만 무세르트는 추축국의 일원으로 네덜란드의 존속을 원했다. 네덜란드 점령정부는 펠드메이어르를 무세르트의 감시역으로 세웠다. 펠드메이어르와 무세르트 양자의 대립은 극에 달하여 [[1943년]] [[5월]]에 NSB와 나치 친위대의 결속은 사실상 완전히 결렬했다. 펠드메이어르는 NSB의 저항활동에 대한 독일의 보복조치에 가세한 후, [[1943년]] [[9월]]부터 [[1944년]] [[9월]]까지 레지스탕스 활동가들의 체포에 나서 적어도 20명 이상을 처형했다. == 최후 == [[1945년]] [[2월]]에 펠드메이어르는 제34SS의용척탄병사단 대대장으로 임명되었다. [[2월 22일]]에 그는 출근하던 중 타고있던 승용차가 연합국 전투기의 기총소사를 받으면서 그자리에서 사망했다.[* 이를 안 힘러는 라우터에게 전보를 보내어, 펠드메이어르는 자신이 생각했던 네덜란드의 미래였다며 매우 애석해 했다.] [[분류:1910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네덜란드의 정치인]][[분류:네덜란드의 군인]][[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제2차 세계 대전/사망자]][[분류:나치 부역자]][[분류:아선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