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드래그마, top2=데스피아)]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赫焉竜グランギニョル.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혁언룡 그랑기뇰, 일어판명칭=赫焉竜(かくえんりゅう)グランギニョル, 영어판명칭=Granguignol the Dusk Dragon, 속성=빛,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500, 종족=마법사족, 소재="혁의 성녀 카르테시아" +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 6 이상의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상대가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필드 /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마" 몬스터 1장\, 또는 엑스트라 덱에서 "데스피아"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드래그마]]와 [[데스피아]]를 서포트하는 융합 몬스터. 카드명의 유래는 [[그랑기뇰]]. 프랑스어로 Grand-Guignol이며, 직역하면 "위대한 인형 극장" 정도의 뜻이지만, 실제로 상영되었던 연극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어른들을 위한 구경거리"로 해석할 수 있다. 해당 극장에서는 유령, 살인, 강간 등의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연극을 주로 상연했다고 알려져있다. === 성능 === 융합 소재는 [[혁의 성녀 카르테시아]]와 빛 / 어둠 속성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는데, 이 카드가 서포트하는 [[데스피아]]나 [[드래그마]]나 전부 빛/어둠을 주축으로 쓰고 있기 때문에 만족하기 어렵지는 않다. 이 카드 덕분에 카르테시아 또한 [[융합파병]] 등 융합 소재의 카드명을 지정하는 서포트 카드들로 손쉽게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 6 이상의 빛 / 어둠 속성을 덤핑하는 유발 효과다. 알버스를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는 전부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알버스 세계관의 거의 대부분 테마는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낙인융합]]을 쓰면 다른 소환법이 막히는 융합 주축인 [[낙인 덱]]이나 아예 엑스트라 덱을 용병 위주로만 채용한 드래그마가 제일 무난하게 활용할 수 있다. [[비스테드#비스테드 살로니르|비스테드 살로니르]]를 덤핑하면 낙인 마함을 덤핑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 그 외에는 [[섀도르]]가 아프카로네를 떨구고 섀도르크를 들고 오는 식으로 써먹거나[* 레벨 5인 미도라시를 제외하고, 잘 쓰이는 네피림과 아프카로네가 전부 레벨 6 이상이다. 상황에 따라 원하는 카드를 떨구면 된다.], [[PSY프레임]]에서 싱크로 몬스터를 떨궈놓고 원하는 카드를 회수하는 용도로 써 먹을 수도 있다. 애석하게도 드래그마의 경우 기껏 의식 소환을 밀어줬더니 레벨이 4인 [[아크 디클레어러]]는 덤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오히려 전성기 솬드섀 형식을 지원하는 카드. ②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의 효과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경우, 자신을 제외하고 덱에서 드래그마 몬스터를 꺼내거나 엑스트라 덱에서 데스피아 몬스터를 꺼내는 효과[* 혁언룡이 카르테시아와 쿠에리티스를 합쳤다는걸 고려하면 합체를 해제하여 카르테시아(덱)와 쿠에리티스(엑덱)로 분리 되는 것을 묘사한 것으로 추측된다.]. 드래그마 서치의 경우 카르테시아를 주로 넣는 덱이면 융합축이므로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를 꺼내기보단 에클레시아를 꺼내는데 쓸 수 있고, 엑덱의 경우 쿠에리티스/프로스케니온/루루와릴리스 중 1개를 골라 소환할 수 있다. 특히 프로스케니온의 경우 3소재 융합이라 은근 까다로운데, 이런 단점을 무시하고 바로 소환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엑스트라 덱 소환을 견제할 수 있어 용이하게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굳이 소환할 필요 없이, 묘지에서 제외해도 되므로, 소환하지 않고 덤핑하는 방법으로도 쓸 수 있다. === 설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혁 성녀+혁언룡.jpg|width=100%]]}}} || || [[혁의 성녀 카르테시아]] + 혁언룡 그랑기뇰 설정화 || [[혁의 성녀 카르테시아]], 즉 쿠엠이 용으로 변한 [[데스피아안 쿠에리티스]]를 대동한 모습. 따라서 스탯은 쿠에리티스와 동일하다. 잘 보면 카르테시아의 다리가 없는데, 쿠엠의 이전 육체인 [[드래그마의 알버스 세인트]]가 쿠에리티스와 합체/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쿠엠의 육체가 된 카르테시아도 합체/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쿠에리티스와 카르테시아를 소재로 이 카드를 융합하는 것도 실용성은 낮지만 가능은 하며, 분리 설정은 ②의 효과로 구현되어 있다. 용이 된 쿠에리티스의 목을 자세히 보면, 수많은 팔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뼈대를 이루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쿠에리티스에 담긴 수많은 성녀들의 영혼들을 의미한다. 스테인글래스 같은 날개는 카르테시아의 베일이 변해서 된 것이고 쓰고 있던 가면은 일체화되어서 머리가 되었다. 루벨리온과 함께 키트, 알버스에게 대항하지만 [[격철룡 린드블룸]]이 쏜 레이저에 직격당했고 그랑기뇰은 파괴되고 카르테시아는 추락하고 만다. 그러나 이로 인해 카르테시아가 된 에클레시아가 그랑기뇰과 쿠엠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쿠엠의 사념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었고 린드브룸에서 뛰어내린 알버스가 손을 뻗어 간신히 닿은 에클레시아를 구출하는 순간 낙인의 진정한 힘이 발휘되며 알버스와 에클레시아가 융합해 [[진염룡 알비온]]으로 진화한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2-10-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HY-JP033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3-01-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HY-KR033 | '''[[포톤 하이퍼노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3-02-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HY-EN033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AR)] || == 관련 카드 == [include(틀:인도하는 성녀 쿠엠)] === [[혁의 성녀 카르테시아]] === === [[데스피아안 쿠에리티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