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fff>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싼타모.jpg|width=200%]]}}} || || {{{#ffffff '''SANTAMO'''}}} || [목차] [clearfix] '''HYUNDAI SANTAMO'''[* '''S'''afety '''An'''d '''Ta'''lented '''Mo'''tor의 약어로, '한 차원 높은 안전도와 다재다능한 기능을 지닌 자동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개요 == >'''신개념 다목적 자동차.''' >'''신개념 승용차.''' [[현대모비스|현대정공]] 자동차사업부(1999년 [[현대자동차]]로 통합)에서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된 [[MPV]]다.[* 현대정공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현대 갤로퍼|갤로퍼]]에서 볼 수 있던 찌그러진 H자 로고가 붙어 있었다.] 개발 프로젝트명은 M-2. == 모델 설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싼타모_정측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싼타모_후측면.jpg|width=100%]]}}} || ||<-2><#002e6b> {{{#ffffff '''일반형 모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싼타모플러스_정측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싼타모플러스_후측면.jpg|width=100%]]}}} || ||<-2><#002e6b> {{{#ffffff '''플러스 모델'''}}} || 1995년 12월에 최초로 생산하고 1996년 1월에 시판한[* 판매는 [[현대자동차써비스]]에서 맡았으며, 이 회사는 1999년 현대자동차에 통합됐다. 현대차 원효로 사옥의 주인이 바로 이 회사이다.] 국내 최초의 중형 RV차량으로,[* 애초에 중형차인 [[미쓰비시 갤랑]]의 파생 차종(1세대는 한급 아래인 랜서 플랫폼을 썼지만)인데다가 체급은 엄연히 [[현대 라비타|라비타]]보다 윗급이라 중형으로 보는게 맞다.] 국내에는 생소했던 7인승 MPV라는 카테고리를 개척하고 오늘날 RV나 [[SUV]]에 있어서 필수요소인 시트를 움직여서 침대로 만들거나[* 단, 2열 시트를 움직여서 침대로 만드는 기능은 갤로퍼에서 먼저 선보였다.] 화물적재용으로 사용하게 하는 기능을 사실상 처음 내세운 기념비적인 차종이기도 하다. 당시 싼타모에는 [[ABS]], 운전석 [[에어백]] 등의 첨단 안전사양이 적용되었고, [[4WD|AWD]]도 안전과 관련된 사항으로 홍보했다.[* 에어백이나 ABS는 당시 [[현대 아토스|아토스]], [[현대 엑센트|엑센트]] 등 [[경차]]~[[소형차]]에서도 선택이 가능했지만 선택 비율이 낮았다. ABS가 장착된 아토스와 [[기아 비스토|비스토]]는 레어템이다. 최소 [[현대 그랜저|그랜저]]급은 돼야 기본으로 장착되던 사양들이었다. 출시 당시 승합차로 판매되었던 싼타모에 적용되는 것이 이례적일 뿐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정몽구]] 회장이 현대자동차 회장으로 취임하기 이전에 현대자동차와 별개로 자동차 사업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도입생산한 현대정공 자동차사업부의 두 번째 시판모델이다.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에서 발매된 [[미쓰비시 샤리오|2세대 샤리오(N33,N43) 모델]][* 엄밀히는 샤리오의 완전 초기형 모델 혹은 미국 수출 사양인 엑스포(유럽형은 스페이스 왜건)에 더 가깝다.][* 싼타모가 출시 때는 일본에서 이미 2세대는 끝물이었고, 1997년에 3세대 모델인 샤리오 그란디스가 출시됐다.]을 라이센스 생산했으며, 1994년 12월 기술도입 계약을 맺고 미쓰비시에 약 3억 엔을 계약금으로 지불했다. 생산 당시 2WD 모델은 0.5%, [[4WD|AWD]] 모델에는 대당 차량 가격의 0.85%의 로열티를 지불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샤리오 프로토타입.jpg|width=100%]]}}} || ||<#002e6b> {{{#ffffff '''프로토타입 모델'''}}} || 1995년 6월 포착된 초기 프로토타입의 디자인은 2세대 샤리오 마이너체인지를 그대로 도입한 수준이었으나, 양산 단계에 이르러서는 그릴, 헤드램프 디자인이 마이너체인지 이전 모델과 동일하게 수정됐다. 시트 바리에이션은 2.0L SOHC 엔진의 경우 200S(STD) 5인승, 203S(DLX) 7인승이 존재하고, 2.0L DOHC 엔진의 경우 203D 6인승, 203D/205D(SDLX) 7인승이 존재한다. 다만 5인승과 6인승은 판매량이 극히 적어[* 승용으로 분류되어 승합으로 분류된 7인승보다 비싼 세금을 내야 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만 판매됐다. 샤리오의 기본트림은 [[FF(자동차)|전륜구동]] 사양이며, 상위 그레이드로 4WD의 설정이 존재한다. 싼타모도 국내 실정에 맞게 전륜구동이 기본사양이며, AWD는 DOHC 모델인 203D와 205D 모델에 옵션으로 선택이 가능했다.[* 비스커스 방식 센터 디퍼렌셜을 장착한 풀타임 방식. 샤리오에서 사용되는 VR-4 구동계에서 [[LSD(자동차)|LSD]]를 삭제하고 가져왔다.]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3기와 동일한 AWD 시스템이다. 단, 판매량은 상당히 적었는데, 당시만 해도 상시사륜에 대한 개념 자체, 특히 네바퀴굴림형 승용차가 생소했던데다[* 승용형 차량에 4륜구동이 활성화된 것도 2010년대 중후반 들어서의 이야기이며, 당장 21세기 초에 나온 SUV들(싼타페, 스포티지, 투싼 등)도 4WD 모델은 판매비중이 적다.] 자사의 갤로퍼 인터쿨러 엑시드 혹은 [[KG모빌리티|옆집]]의 [[쌍용 무쏘|무쏘]]와 맞먹는 가격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2천만원에서 조금 모자랐다.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에서는 90년대 중반의 물가와 2020년대의 물가를 대략 2배 내외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저 2천만원에 조금 모자랐던 금액은 그 기준대로 계산시 거의 4천만원에 근접하는 금액이다. 2022년 기준으로 [[현대 싼타페|싼타페]]나 [[기아 쏘렌토|쏘렌토]] 중에서도 상위 트림과 비슷한 가격대이며, 당시의 경제 수준을 감안하자면 체감 가격은 더 비쌌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쉐보레 올란도|올란도]]나 [[기아 카렌스|카렌스]]를 [[기아 모하비|모하비]], [[현대 팰리세이드|팰리세이드]], [[기아 카니발|카니발]]의 가격에 구매할 소비자가 얼마나 있을지 상상해보면 될 것이다.]. 파워트레인은 거의 [[현대 쏘나타|쏘나타Ⅱ]]의 것을 유용했기에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시리우스 엔진]]이 탑재됐으며, 초기에는 가솔린 모델(DOHC 146마력과 SOHC 115마력)만 판매됐고, 1996년 8월부터 미쓰비시 샤리오의 RV 패키지로 존재하던 그릴가드, 사이드 가니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205 사이즈의 타이어가 장착되는 플러스(PLUS) 모델이 시판됐다. 단, 샤리오에 존재하던 파노라믹 루프는 빠졌다. 1997년 7월부터 쏘나타Ⅱ·Ⅲ 택시에 들어가던 사양인 2.0L SOHC FBM LPG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 초기형은 최대출력 82마력. 2000년형부터 86마력으로 증가했다.] 추가됐다. 원본인 샤리오에는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랜서 에볼루션]]과 같은 엔진을 탑재한 2.0L 가솔린 터보, 2.0L SOHC 16밸브 가솔린, 2.4L SOHC 가솔린, 2.0L SOHC 디젤 사양도 있었지만 한국에는 도입되지 않았다. 1999년부터 미쓰비시와의 로열티 및 협상으로 해외 수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물론 미쓰비시의 손길이 닿지 않는 국가들이 주요 대상이다. SOHC 기본모델의 차값이 1,283만원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동급의 쏘나타Ⅱ 기본형의 1,170만원보다 비싼 감이 없지 않았고, 지금은 생소한 승합차 1차선 주행 불가 등의 단점이 부각되었는데, 조기 단종의 길로 사라질 뻔한 이 차의 수명 연장을 이끈 것이 바로 LPG 사양의 존재다. 그리고 LPG 가격이 리터당 150원 하던 시절에는 경차보다 저렴한 유지비가 장점이었다. 승합차 규정 적용으로 1년 자동차세 6만5천원, 승합차 적용으로 차량 등록 비용의 절감 등을 비롯하여 유지 비용이 월등히 저렴했다. LPG 모델은 1.4톤에 이르는 큼지막한 차체에 겨우 86마력짜리 엔진을 얹어놔서 얼핏 보면 "저거 움직이기는 하나?" 싶은 생각이 들 법도 하지만 2,500rpm에서 터지는 최대 토크(16.5kg.m) 덕에 카탈로그 출력보다 주행 감각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거기에 짧은 기어비로 저속 주행력을 높이는 데 주력해 일반적인 주행 영역인 100~120km/h까지는 괜찮은 주행력을 자랑한다. 물론 그 이상 넘어가면 가속력이 급감하기는 하지만, 140km까지는 달릴 수 있다. 여름에 에어컨 틀고도 평지 고속도로 흐름에 맞추는 정도는 무리 없이 할 수 있다.--하긴, 1.8톤의 무게에 70마력대 엔진을 얹은 [[현대 갤로퍼|갤로퍼]], [[쌍용 무쏘|무쏘]]도 있으니...-- 당시 LPG 가격이 가득 넣어도 5,000원에 불과할 정도로 워낙 쌌고 차값도 그리 비싸지 않아서 FF 구동방식의 LPG 모델 한정으로 보면 판매량이 꽤 많았으며, 특히 당시 태동하였던 7인승 + LPG라는 조합으로 [[기아 카렌스|카렌스]], [[기아 카스타|카스타]]와 함께 LPG 7인승 차량의 한 축이 되었다.[* 사실상 구색 맞추기(세제 혜택)로 등장한 7인승은 이후에도 [[현대 싼타페|싼타페]]나 [[기아 쏘렌토|쏘렌토]]에도 공통되는 이야기이다. 5인승 RV/SUV가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대부분의 7인승 RV/SUV는 그렇다. 그나마 3열을 뒤로 마주보게 만든 사실상 장식에 가까운 3열과 달리 싼타모나 쏘렌토 정도는 나름대로 3열은 탈 만 하다.] 1997년에는 백 오더(Back-Order)가 3개월에 이를 정도로 판매가 호조를 이루었으나, 1999년 이후부터 LPG를 사용하는 경쟁 차량이 점차 늘게 되면서 저렴한 LPG 차량으로서 판매되어 [[GM대우 레조|레조]]와 경쟁했다. 2000년부터 현대정공 자동차부분이 현대자동차로 통합되면서 현대차의 타원 H 엠블럼이 붙게 된다. 2001년 이후에는 7인승 LPG 차량이 승합차 규격에서 승용차로 변경되면서 세제 혜택이 약해지고, [[디젤 엔진]] 차량의 강세가 두드러지면서, 상대적으로 주행 성능이 떨어지는 LPG 차량의 단점이 부각되었다. 부족한 출력은 물론이고 냉간시동성 문제는 그 당시의 기화기 방식의 LPG 차량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이었고,[* 이게 어느정도의 문제냐 하면 영하의 온도에서 시동을 걸 경우 터지는 소리가 나면서 멈추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누가 들으면 차 폭발한 줄 알 정도다(...).] 2004년에 현대자동차의 [[현대 델타 엔진|델타 LPi]] 엔진이 등장하고 난 다음에야 해결된 부분이다. 꾸준한 판매량 덕에 후속 모델의 개발 논의가 있었고, 개발이 완료되어 시판 직전까지 갔지만 다른 이름으로 시판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기아 카스타]]다. 샤리오의 후속 모델인 샤리오 그란디스와 유사한 디자인에 샤리오 2세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비슷하게 루프 공간이 확장되어 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개념이었기 때문에 엔진 및 파워트레인을 비롯한 바디 구조가 동일하다. 후속 차종이 [[기아]]로 넘어가면서 생명 연장의 꿈을 이룬 싼타모는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을 넘지 못하고, 2002년 10월에 후속 모델인 카스타와 같이 단종됐다. 대신 여전히 MPV 수요가 있는 [[동남아시아]], [[인도]] 시장에는 [[현대 스타게이저|스타게이저]]가 약 20년만인 2022년 7월 15일에 정신적 후속작으로 투입됐다. == 제원 == ||<-2><#ffffff> {{{#002e6b {{{+1 '''SANTAMO'''}}}}}} || ||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양정동(울산)|양정동]] || || '''코드네임''' || M-2 || || '''차량형태''' || 5도어 [[중형차|중형]] [[MPV]] || || '''승차인원''' || 5 ~ 7명 || || '''전장''' || 4,515mm / 4,685mm → 4,630mm[* 2000년식부터 후술할 타이어 거치대 관련 법령 때문에 일반 모델과 같은 범퍼로 바뀌면서 전장이 줄어들었다.]^^(플러스)^^ || || '''전폭''' || 1,695mm / 1,740mm^^(플러스)^^ || || '''전고''' || 1,580mm / 1,590mm^^(플러스)^^ || || '''축거''' || 2,720mm || || '''윤거(전)''' || 1,460mm / 1,465 ~ 1,470mm^^(플러스)^^ || || '''윤거(후)''' || 1,460mm / 1,470mm^^(플러스)^^ || || '''공차중량''' || 1,340 ~ 1,400kg (LPG)[br]1,370 ~ 1,520kg (가솔린) || || '''연료탱크 용량''' || 60L (가솔린) / 65L (LPG) || || '''타이어 크기''' || 195/70R14[br]205/70R14 (플러스) || || '''구동방식''' || [[FF(자동차)|앞엔진-앞바퀴굴림(FF)]][br][[4WD|앞엔진-4바퀴굴림(F4)]] [* 플러스가 나오면서 플러스 전용 옵션으로 변경되었고, 99년 즈음에 AWD 옵션이 단종되었다.] ||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후륜 현가장치''' ||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세미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 ||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후륜 제동장치''' || [[드럼 브레이크]] || ||<-7><#ffffff> {{{#002e6b '''파워트레인'''}}} || ||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7><#002e6b> {{{#ffffff '''가솔린'''}}} || ||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현대 뉴-시리우스[br](G4CP)]] (SOHC) ||<|2> 2.0L 직렬 4기통 ||<|2> 자연흡기 ||<|2> 1,997cc || 115 → 104[*'99]ps || 18.1 → 16.2[*'99]kgf·m ||<|2> 5단 [[수동변속기]][br]4단 [[자동변속기]] || ||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현대 뉴-시리우스[br] (G4CP)]] (DOHC) || 146 → 137[*'99]ps || 19.2 → 17.8[*'99]kgf·m || ||<-7><#002e6b> {{{#ffffff '''LPG'''}}} || ||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현대 뉴-시리우스[br] (L4CP)]] || 2.0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997cc || 82 → 86[*'00]ps || 16 → 16.5[*'00]kgf·m || 5단 [[수동변속기]][br]4단 [[자동변속기]] || == 여담 == 플러스 사양이지만 스페어 타이어 거치대가 빠진 모델이 가끔 보인다. 이 모델의 경우 일부러 뗀 것이 아니라 2001년에 후면 타이어 거치대에 대한 법령이 바뀌면서 거치대가 빠진 모델인데, 이 때문에 번호판 자리가 없는 후면 범퍼가 장착됐다. 이 때문에 동호회에서는 이런 차량은 고자라고 부른다(...). 이러한 이유로 오토초크, 신형 외관이 적용되면서 스페어 타이어 거치대가 있는 2000년 10~12월식을 찾는 사람들이 있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현대 싼타모/santamothesuspect.jpg|width=100%]]}}} || 2013년작 한국 영화 [[용의자(영화)|용의자]]에서 최경희([[유다인]] 扮)의 차량으로 플러스 모델이 등장하며 추격신에서 나름 활약을 보인다. 참고로 스페어 타이어는 사제로 제거한 것이 아니라 요원들의 차량과 충돌하면서 떨어져나간 것이다. --그리고 휠이 사제휠에서 기본휠로 한 번 바뀐다!-- 이후 6분간에 추격전 끝에 차가 거의 걸레짝이 되버렸지만 그래도 잘 굴러간다(…). 2017년 영화 [[로마의 휴일(2017)|로마의 휴일]]에서 주인공들 차량으로 등장한다. 랜서 에볼루션의 4륜구동계와 4G63T를 스왑한 싼타모 에볼루션도 몇 대 있는 모양이다. 간혹 중고차 거래 카페에 올라온다. [[파일:싼타모택시.jpg]] [[기아 카렌스|카렌스]]와 [[쉐보레 올란도|올란도]]처럼 과거에는 [[택시]]로도 사용된 적이 있다.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601064|#]]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분류:현대모비스]][[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1995년 출시]][[분류:2002년 단종]][[분류:MP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