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현대 엑시언트)] ||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15%&theme=light]][[파일:현대자동차 심볼 화이트.svg|width=15%&theme=dark]]]]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yundai_Xcient_Fuel_Cell_2021.jpg|width=100%]]}}} || || {{{#ffffff '''XCIENT Fuel Cell'''}}} || [목차] [clearfix] '''HYUNDAI XCIENT Fuel Cell''' [[https://www.hyundai.com/kr/ko/c/products/truck/xcient-fuel-cell|현대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홈페이지]] == 개요 == [[대한민국]]의 자동차 회사인 [[현대자동차]]에서 2020년부터 생산 중인 [[현대 엑시언트|엑시언트]] 기반 [[수소연료전지차|FCEV]] 대형 [[트럭]]이다. 2020년 제2회 '트럭 혁신상(Truck Innovation Award)'을 수상했다.[* [[올해의 트럭]] 심사의원들이 선발하는, 당 해의 기술혁신을 보여준 트럭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2020년 당시 후보모델로는 현대자동차의 엑시언트 퓨얼셀, [[니콜라(기업)|니콜라]]의 수소 라인업, [[프레이트라이너]]의 전기트럭인 e카스카디아, [[볼보트럭]]의 무인트럭인 베라(Vera), [[스카니아]]의 무인트럭인 AXL, [[르노 트럭]]의 고효율 디젤트럭인 옵티퓨얼 랩3(Optifuel Lab 3)가 있었다.] == 상세 == || [[파일:Hyundai_Xcient_Pro_Fuel_Cell.jpg|width=100%]] || || [[파일: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XCIENT Fuel Cell).jpg|width=100%]] || 2020년 7월 6일,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전기 대형트럭 모델로 공개됐다. 냉장밴 사양의 엑시언트를 바탕으로 성능과 내구성이 검증된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기술을 적용했으며 총 31kg 정도의 수소 저장 용량을 갖춘 대형 수소탱크 7개를 장착했다.[* 테스트 모델에서는 섀시 후방에 대충 장착했으나, 이후 양산형 모델에서는 [[캡(트럭)|캡]]과 화물칸 사이 공간에 수직으로 쌓아올렸다.] 4×2 리지드 섀시 기준 차량총중량(GVW)은 19.5톤이고, 차량 뒤에 풀 [[트레일러]]를 연결했을때([[풀카고]]) 결합차량총중량(GCVW)은 36톤이다. 당시 사기논란으로 시끄러웠던 [[니콜라(기업)|니콜라]]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현대 하이드로젠 모빌리티(Hyundai Hydrogen Mobility)로[* 현대자동차와 스위스의 수소 솔루션 전문기업 H2에너지의 합작법인이다.] 엑시언트 퓨얼셀 10대를 납품한다는 소식을 발표했고, 이후 10월 7일 [[스위스]]에 도착한 첫 물량 10대중 7대가 유럽 현지고객들에게 인도됐다. [[https://www.hyundai.com/content/hyundai/ww/data/news/data/2020/0000016544/attach/Unbenanntes_Panorama_1.jpg|#]] 현대자동차는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총 1,600대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일:Hyundai_Xcient_Fuel_Cell_2021.jpg]] 2021년 5월 25일, 21년형 엑시언트 퓨얼셀이 공개됐다. 전면부는 일반 엑시언트와 다른 모양의 직선적이고 굵은 V자 형상의 크롬 장식과 메쉬 패턴으로 친환경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를 표현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고, 유럽 시장에 최적화 된 6×2 리지드 섀시가 추가됐다. 또한 운전석 [[에어백]]을 기본 적용했고, 전동 보조 유압 스티어링(Motor Assist Hydraulic Steering, MAHS) 기능이 옵션으로 추가됐다. 2021년형 엑시언트 퓨얼셀은 올해 말까지 총 140대가 스위스로 공급될 예정이다. 스위스에 이어서 북미 지역 수소전기 대형트럭 수주에도 성공했다. 현대차는 [[미국]] [[캘리포니아]] 대기환경국과 에너지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 트럭 도입 프로젝트(NorCAL ZERO)’ 입찰에서 최종 공급사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로인해 현대자동차는 2006년 [[베링 트럭]]으로 진출해 있던 상용차 판매망을 철수한 이후 15년만에 다시 북미시장에 상용차로 진출한다. 특히 현대차는 친환경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CTE와 함께 수소 공급·차량 공급·리스 및 파이낸싱·플릿 운영·사후 관리를 아우르는 밸류 체인 구축을 목표로 여러 파트너사와의 컨소시엄 구성을 주도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3년 2분기부터 총 30대의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을 공급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22년 7월 부산모터쇼에서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동년 하반기부터 판매할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사양은 6×4 [[탑차|일반 박스탑]]이며 자체 테스트 기준으로 1회 충전 시 최대 약 570km를 달릴 수 있으며 350kW의 최고출력을 발휘한다. 현대차는 각 지자체와 협업을 통해 도로 청소차 등 공공 목적의 차량을 우선적으로 공급해 배출가스 없이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 감소 등 도시 환경 개선까지 기여할 방침을 세웠다. 유럽에서는 스위스에 이어 독일도 진출하며 독일 7개 회사에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27대를 공급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831459?sid=103|#]] 한국에서 엑시언트 수소전기 트랙터 [[https://www.youtube.com/watch?v=l7LvFzNqV_4|공도주행]] 테스트가 완료돼 2022년 12월 8일에 한국에도 정식 출시한다. 2021년 12월부터 진행된 시법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도로에서의 적합성 검증을 마치고, 2023년으로 계획했던 한국 판매 일정을 앞당겼다. 국내 사양은 4×2/6×4 특장용 섀시 캡과 6×4 [[윙바디]]를 운영한다. 판매가격은 국고보조금 2억 5,000만원과 지자체 보조금 2억원을 반영하면 자부담 금액은 1억 6,000만원부터 2억 1,600만원이다. 스펙상 최대 476마력의 출력과 최대토크 2237Nm를 확보했으며 이는 [[현대 H 엔진|H430 엔진]]을 탑재한 동급 엑시언트 디젤보다 우수하다고 밝혔다. 2023년 5월 2일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개막한 북미 최대 청정 운송수단 박람회인 'ACT 엑스포 2023(Advanced Clean Transportation Expo 2023)'에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트럭)|트랙터]]를 공개했다. 총 중량 37.2t이며 180kW급 연료전지와 최고 출력 350kW급 구동 모터를 달았다. 1회 충전 시 물건을 최대한으로 실은 상태에서 '''720km''' 주행이 가능하다. 미국은 넓은 대륙 특성상 트럭 운전자들이 장거리 운행을 하는 일이 많은데, 여기에 맞춰 주행 거리를 크게 늘렸다. == 차량 제원 == ||<-3> {{{#ffffff '''엑시언트 퓨얼셀[br](XCIENT Fuel Cell)'''}}} || || '''출시일자''' ||<-2> 2020년 7월 6일[* 유럽 수출형 기준] || || '''섀시 형식''' || '''4x2 리지드''' || '''6x2 리지드''' || || '''전장''' ||<-2> 9,745 mm || || '''전폭''' ||<-2> 2,540 mm || || '''전고''' ||<-2> 3,730 mm || || '''휠베이스''' || 5,130 mm || 5,000 + 1350 mm || || '''차량총중량''' || 19,500 kg || 27,500 kg || || '''축당 중량''' || 8,000 / 11,500 kg || 8,000 / 11,500 + 8,000 kg || || '''결합차량총중량''' || 36,000 kg || 40,000 kg || || '''최대 출력''' ||<-3> 350 kW (470 PS) || || '''최대 토크''' ||<-3> 2,237 Nm (228 kgf·m) || || '''변속기''' ||<-2> [[앨리슨 트랜스미션|앨리슨]] 4500R (전진 6단 / 후진 1단) || || '''구동 방식''' ||<-2> [[FR(자동차)|FR]] || || '''연료전지 스택''' ||<-2> 180 kW (2x 90 kW) || || '''수소 저장용량''' ||<-2> 350 bar / 31 kg || || '''충압 소요시간''' ||<-2> 8 ~ 20분 || || '''배터리''' ||<-2> 630V / 72 kWh || || '''최대 속도''' ||<-2> 85 km/h || || '''항속 거리''' ||<-2> 400 km || || '''타이어 규격''' ||<-2> 315/70R22.5 || || '''상용 브레이크''' ||<-2> [[디스크 브레이크|디스크]] || || '''보조 브레이크''' ||<-2> [[리타더 브레이크|리타더]], [[회생제동]] || ||<-3> {{{#ffffff '''엑시언트 퓨얼셀[br](XCIENT Fuel Cell)'''}}} || || '''출시일자''' || 2022년 12월 8일 (국내용) || || '''섀시 형식''' || '''6x4 리지드''' || || '''전장''' || 12,980 mm || || '''전폭''' || 2,495 mm || || '''전고''' || 3,995 mm || || '''휠베이스''' || 6,250 + 1,350 mm || || '''차량총중량''' || 28,000 kg || || '''축당 중량''' || 8,000 / 10,000 + 10,000 kg || || '''결합차량총중량''' || 28,000 kg || || '''최대 출력''' || 350 kW (470 PS) || || '''최대 토크''' || 2,237 Nm (228 kgf·m) || || '''변속기''' || T. G. S.[* Transmission Gear Shift] (전진 5단 / 후진 1단) || || '''구동 방식''' || [[FR(자동차)|FR]] || || '''연료전지 스택''' || 180 kW (2x 90 kW) || || '''수소 저장용량''' || 700 bar / 41 kg || || '''충압 소요시간''' || 8 ~ 20분 || || '''배터리''' || 630V / 72 kWh || || '''최대 속도''' || 90 km/h[* 하지만 차량에 따라 실제 GPS 속도로는 87~88km/h 정도다.] || || '''항속 거리''' || 약 570 km || || '''타이어 규격''' || 315/80R22.5 || || '''상용 브레이크''' || [[디스크 브레이크|디스크]] || || '''보조 브레이크''' || [[리타더 브레이크|리타더]], [[회생제동]] || == 기타 == * 대한민국의 물류회사인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에서 각각 2대 보유하고 있고, [[쿠팡]] 자회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도 1대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물류회사인 [[롯데글로벌로지스]]도 평택에서 도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7F3AgEoylo|롯데택배 수소트럭]] == 관련 문서 == * [[현대자동차]] * [[현대 엑시언트]] * [[수소연료전지차]] * [[연료전지]] * [[트럭]]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국내 시판 차량)]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현대 엑시언트,version=397)] [[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현대글로비스]][[분류:트럭]][[분류:수소연료전지차]][[분류:202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