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현대자동차|{{{#ffffff 현대자동차}}}]]의 준중형버스 모델}}}''' || || [[현대 D버스|D-0710]] || → || '''코러스''' || → || [[현대 카운티|카운티]] || || [[현대자동차|[[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Awc51ed1e2bcbc78.jpg|width=100%]]}}} || || {{{#ffffff '''CHORUS'''}}} || ||'''HYUNDAI CHORUS'''[* "합창단, 합창곡을 의미하며 탑승자 모두에게 한결같은 만족과 즐거움을 드린다는 뜻"의 차명이다.]|| [목차] == 개요 == [[현대자동차]]에서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생산한 [[준중형버스]]이다. == 상세 == ||[[파일:external/aeroexpress.wo.to/%EC%BD%94%EB%9F%AC%EC%8A%A4.jpg|width=100%]]||[[파일:external/aeroexpress.wo.to/%EB%89%B4%20%EC%BD%94%EB%9F%AC%EC%8A%A4.jpg|width=100%]]|| || 전기형 || 후기형 || 1973년부터 1981년까지 생산했던 [[현대 D버스|D0710]]의 뒤를 이은 모델이다. 1988년 3월 8일에 출시되었다. [[현대 마이티|마이티]]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된 준중형버스이다. 한때 [[미쓰비시 후소 캔터]]를 베이스로 한 미니버스인 [[미쓰비시 후소 로자]]를 바탕으로 만들었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조금 다르다. 베이스가 된 로자가 캔터를 베이스로 하듯 코러스 역시 캔터의 한국판인 [[현대 마이티|마이티]]의 트럭 섀시와 파워트레인을 베이스로 한 것은 사실이지만, 캔터와 플랫폼은 같아도 아예 차체를 새로 뽑은 로자와는 달리 코러스는 새로운 차체를 얹지 않고 마이티 1세대를 그냥 버스 형태로 [[마개조]]한 모델이다. 실제로 앞부분을 보면 둘이 거의 똑같이 생겼다.[* 특히 상단의 초기형 사진을 보면 후기형과 달리 전면 유리 높이도 마이티와 똑같다. 단, 앞면에는 마이티 1세대 후기형 사각 헤드램프와 마이티 1세대 전기형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했다.] 자세히 보면 마이티의 캐빈을 그냥 그대로 사용하면서 캐빈 뒷부분과 천정을 잘라서 뒤로 차체를 붙여서 연장한 것에 불과하다. 트럭 뒷부분에 승객실을 얹은 형태이며, 급조한 티가 난다. 아이러니한 것은 당시 경쟁 차종이자 국내시장을 석권하던 [[기아 콤비|아시아 콤비]]의 기반이 된 마쓰다 파크웨이 2세대는 코러스처럼 [[마쓰다 타이탄|타이탄]]의 캡을 바탕으로 늘려 만들었다는 점이다.[* 마쓰다에서 직접 생산한 것은 아니고, 마쓰다가 2.5톤 타이탄의 차대와 캡을 가지고 당시 [[서일본 철도|니시테츠]]의 자회사였던 서일본차체공업에 외주를 주는 형태로 만들었다.] 즉, [[현대자동차]]처럼 급조하지 않고 파크웨이 버스 모델을 그대로 들여온 콤비조차도 베이스로 들여온 모델 자체가 그런 개조 버스 바디라는 것이다. 콤비의 베이스가 된 마쓰다 파크웨이 2세대 또한 운전석이 있는 앞부분은 타이탄 2세대 캡을 그대로 쓰고 승객석이 있는 부분만 버스 형태로 만들었던 만큼 현대자동차가 콤비나 마쓰다 파크웨이 2세대 모델을 참고해서 마이티(캔터)를 버스 형태로 개조한 걸로 보인다. 실제로 여기저기 비교해 보면 콤비(파크웨이)를 많이 참고했다는 흔적이 보인다. 다행히 코러스의 후속 모델인 [[현대 카운티|카운티]]는 제대로 각을 잡고 차체부터 새로 만들었으므로 정통 버스 스타일이 되었다. 물론 그 카운티도 마이티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량한 차량이긴 하다. 그러나 카운티는 조수석 문이 없어서 뒤에서 타야 하는데, 코러스는 조수석 문이 있다. 1993년식부터 중문 위치가 조금 앞쪽으로 옮겨지고 뒷면 램프와 번호판 사이가 검은색에서 바디칼라로 바뀌었으며, 1994년 12월에는 마이티와 함께 [[페이스리프트]]했다.[* 영업용 한정으로 [[하차벨]]은 [[현대 에어로시티|에어로시티]]의 것으로 적용했다.] 지금 쓰이고 있는 현대 H 마크를 넣었으며, 초창기의 딱딱한 디자인에서 부드러운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또한 리어램프 디자인도 새로 했고,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추가했으며, 동급 최초로 전착 도장이 적용되었다. 이전에는 [[울산광역시|울산]]공장에서 생산했으나, 1994년에 전주공장이 완공된 이후 1995년 4월부터 [[전주시|전주]]에서 생산했다.[*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424668|링크]] 내의 사진에는 전주공장 1호차로 코러스가 나와 있고, 날짜는 1995년 4월 3일이라고 쓰여있다.] 1995년 6월에는 130마력짜리 터보 엔진이 추가되었고, 휠 커버 디자인이 변경됐다. 이 휠 커버는 카운티 극초기형까지 적용됐다. 1998년에 후속인 [[현대 카운티|카운티]]가 출시되면서 단종됐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마을버스]][* 서울의 경우 2236번(현재는 폐선. 2023년에 신설된 지선버스 [[서울 버스 2236|2236번]]과는 무관하다.)에서 운행하다가 2003년에 폐차, [[서울 버스 구로07|구로07번]]에서 운행하다가 2006년경 대차됐다. 부산의 경우는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연제구 마을버스에서 많이 볼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운행한 곳은 [[부산 버스 강서7|강서7번]]이었다. 코러스가 1998년 초까지 판매되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늦어도 2008~9년쯤까지는 운행했을 법도 한데 상당히 빨리 없어졌다.] 등으로 간간히 보였으나, 현재는 카운티와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레스타]]가 그 역할을 대체하면서 소수의 자가용으로만 보이며, 또한 잔존 개체수도 경쟁 모델인 콤비보다도 더 적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자동차의 차량)] [[분류:현대자동차/생산차량]][[분류:1988년 출시]][[분류:1998년 단종]][[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분류:버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