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산미사일)] || '''{{{+3 현무-IV-4}}}'''[br]'''玄武-IV-4''' | '''Hyunmoo-IV-4''' || || {{{-1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대한민국|{{{#000,#ddd 대한민국}}}]]의 [[현무 미사일|{{{#000,#ddd 현무 계열 미사일}}}]]}}}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현무4-4 형상 사진.png|width=100%]]}}}|| || 현무4-4의 재현 CG.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무-Ⅳ-4' 혹은 '현무 4-4'는 [[대한민국]]이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자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 배경 == [[북한의 SLBM 개발]]이 현실적 위협으로 가시화되면서 오는 [[2020년]] 이후 전력화될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에서 탑재, 운용될 개량형 [[탄도미사일]]의 개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수중 발사를 위한 [[콜드런치]] 기술은 이미 [[천궁 대공미사일|천궁 중거리 지대공미사일]] 개발을 통해 확보한 상태이므로 개발 자체에 큰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대신 [[순항미사일]] 탑재, 운용을 전제로 제작되었던 기존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의 수직발사장치 제원을 수정, 개조하는 과제가 요구될 듯하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0&oid=011&aid=0003395572|이 기사]]에 따르면 VLS의 직경은 어뢰 발사관의 2배, 즉 1066mm로 잘하면 탑재가 될 수도 있을 듯하다.] == 역사 == 2015년 5월 11일, [[북한]]이 자체제작한 SLBM 북극성-1[* 이후 명칭 북극성]의 시험발사에 성공한것을 보도하자 [[김관진]] 당시 청와대 안보실장이 우리 해군에 SLBM 개발을 지시했다는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1/07/05/2021070500103.html|언론 보도가 있었다]]. 2017년 7월 24일에는 일부 언론에서 한국형 [[SLBM]]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에 최근 성공했고, [[2021년]]까지 완성하여 도산안창호급 1번함인 도산안창호함부터 탑재, 운용할 계획이라는 [[http://news.zum.com/articles/39324794|보도가 나왔었다.]] [[VLS]]를 이용한 수중 사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071654|개발이 확정됐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943377|최근 소식]]에 따르면 현무 2B를 기반으로 500km 사정거리를 갖게 될 것이라는 언급이 있다.[* 다만 이것은 SLBM을 계획할 당시 배치된 것들 중 가장 좋은 미사일이 현무-IIB라는 것이여서 그랬을 뿐, 실제로는 현무 IIC를 위아래로 줄인 것에 가깝다고 한다. 따라서 정확한 사정거리는 500km인지 800km인지 알 수 없다.] 2019 [[MADEX]]에서 드디어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68&pn=1&num=1064|실체가 공개되었다.]]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68&pn=1&num=1087|한화시스템의 홍보 영상에도 등장했다.]] 이전과는 달리 미 [[해군]]의 [[트라이던트 II]]처럼 탄두 부분이 둥글넓적한 형상이다. === 모의 발사 및 수중 사출 시험 단계 === * 2020년 12월경, 대형 수조를 이용한 지상 모의 수중발사 시험에도 성공했으며, 2021년 상반기에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에서 실제 수중발사 시험을 할 예정이라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589572?sid=100|#]] * 2021년 4월 6일, 한 [[YTN]]의 보도에 의하면 지난 1월에 수중 사출 시험을 했으나 몇초 만에 고꾸라졌다고 한다. [[https://www.ytn.co.kr/_ln/0101_202104060430011796|#]] * 2021년 5월 22일자에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이 완전히 풀리면서 이론상 대륙간급 사거리가 가능해졌다.[* 다만 미사일 자체를 새로 개발하는 건 둘째 치고 대륙간급 사거리를 확보하려면 크기가 매우 커지는데 [[원자력 잠수함]] 배치가 추진되는 이유 중 하나다.] * 2021년 7월 4일, [[국방부]]는 SLBM의 [[바지선]] 수중 발사시험이 성공했다고 밝혔다. [[https://news.v.daum.net/v/20210704001303714|#]][* 잠수함에서 수중 발사한 것이 성공한 것처럼 말했고 현무 2B 기반이라고 했으나 그 내용이 수정되어 [[바지선]] 수중 발사로 변경되었고, 현무 2B 기반이라는 내용도 없어졌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894248|#]]] === 1차 시험발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무IV4발사실험01.gif|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무IV4발사실험02.gif|width=100%]]}}}|| ||<-2> {{{#000,#fff {{{-1 [[2021년]] [[9월 15일]] 실시된 현무 Ⅳ-4 발사 시험}}}}}}[* 잘 보면 탄체 형상이 현무2B는 물론 2C와도 다르다. 일단 모양이 더 길쭉하고 2C와는 달리 카나드도 없으며 재돌입체 존재 여부도 불확실하나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224070|해외에서 나온 그래픽]]을 보면 탄체 중간 즈음에 그어진 선이 추진체와 재돌입체의 이음매로 보여지는데 이게 맞다면 재돌입체 역시 카나드가 아닌 TVC나 가스 분출구 등으로 탄도를 조절하는 구조라는 것이며 이는 기술적인 진보를 이뤘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최근 공개된 같은 계열의 현무 IV-2의 사진을 보면 부스터와 본 추진체의 2단 구조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25937|#]]] || 2021년 9월 7일, SLBM이 도산안창호함에서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으며 오는 15일에 전력화 예정이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90709093150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Z7Rt2gmV8o)]}}}|| || '''SLBM 잠수함 발사시험 세계 7번째 성공...초음속 순항미사일 개발 완료''' || 2021년 9월 15일 [[문재인]] 대통령과 [[서욱]] 국방부 장관이 참관한 가운데 [[SLBM]] 수중 발사 시험이 성공했다고 밝혔다. 계획된 사거리를 비행해 목표 지점에 정확히 명중했다고 하며 세계에서 7번째[* [[북한의 SLBM 개발|[[북한]]은 아직 개발을 완료하진 않았다고 평가된다.]]]로 개발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당일 시험장에서 [[KF-21 보라매]]에 탑재될 장거리 [[천룡 공대지 미사일]]이 [[F-4 팬텀 II|F-4]]에서[* F-15K나 KF-16같은 최신형 전투기를 테스트 베드 기체로 사용하지 못한것은 해당 기체들은 소스코드 등의 문제로 인해 제조사인 [[보잉]]과 [[록히드마틴]]에 먼저 허가를 받아야 하는등 ADD가 독자적으로 이러한 실험을 진행하는게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반면 F-4는 이미 대다수의 서방국가에서 퇴역한 구형전투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에서 자유로워 마음대로 테스트베드 기체로 사용이 가능하다. 비슷한 처지인 F-5와 다르게 플랫폼 크기도 커서 어지간한 건 다 매달고 날 수 있기도 하고.] 분리하는 시험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한다. [[https://mnd.go.kr/user/newsInUserRecord.action?command=view&newsId=I_669&siteId=mnd&page=1&id=mnd_020500000000&newsSeq=I_12616|#]] [[https://www1.president.go.kr/articles/11079|#]] 또한 동시에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의 개발이 성공했다는 발표가 나왔으며 시험 발사 영상도 공개되었다. 마침 이 발사 시험 직전에는 외교적으로 복잡 미묘한 사건들이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발사 시험을 참관하기 바로 전에 청와대에서 [[왕이(외교관)|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날 열린 한국의 미사일 전력 발사 시험처럼 다양한 신무기를 한 번에 테스트하는 일이 흔치도 않을뿐더러, 이 신무기들은 하나같이 국가안보에 중요한 전략무기들이다. 이러한 전략무기들을 소개하는 발사시험 일정을 중국 외교부장과의 면담 직후로 잡은 것은 앞으로의 한중 관계 형성에 있어 다분히 의도적인 행보라고 볼 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비핵보유국이며, 핵탄두가 없는 미사일로 중국에 타격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지나친 확대 해석은 무리라는 의견 역시 존재한다. 이 전력으로는 비핵보유국인 일본이나 핵보유국이지만 타격 거점이 적은 북한에나 제한적인 타격이 가능할 뿐이다. 추후에 긴급한 안보 위기로[* 북한과 미국 혹은 남한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핵전쟁이 우려된다거나, 중국과 미국과의 갈등이 충돌로 격화되어 전면전으로 번진다거나, 이미 핵무장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다 갖춘 일본이 [[북한]]의 핵을 빌미로 핵개발을 추진한다거나] 핵개발을 추진하거나 장기적으로 핵보유국 지위에 오른다면 비로소 SLBM이 진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나 일본은 물론이고 ICBM급으로 사거리를 늘린다면 중국 같은 강대국들을 상대로도 강한 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중 발사 시험이 일어나기 1시간 전에 북한도 경쟁하듯 평안남도에서 최신형인 [[화성-11가/열차 발사형|열차 발사식 화성-11가]]형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한중 외교장관 회담 직후 왕이 외교부장은 언론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이전에 발생한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에 대해 "북한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군사행동을 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모두 대화를 재개하는 방향으로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1011836.html|#]] 한편 앞서 언급한 9월 7일 SLBM 시험 발사에 대해 중국은 바로 전날인 9월 14일 "한국은 평화, 안정, 발전에 힘쓰기 바란다"라는 공식 브리핑을 내며 원론적인 입장 표명을 한 바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914165600083|#]] 이전에 나온 홍보 영상과 달리 미사일 선두부가 지상 발사형 현무처럼 뾰족하고, 대신 물 속에서 솟아오르는 동안 물의 저항을 방지하기 위해 선두부에 캡을 씌웠다가 물 밖으로 나오면 소형 로켓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인도의 K-15 SLBM과 유사한 방식으로 미사일의 형상 역시 유사하다.] 정확한 제원이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따라서 정확한 사거리는 500km인지 800km인지 현재로써는 알 수 없다.[* 참고로 현무4-4와 가장 유사한 형상을 갖는 인도의 K-15 SLBM의 경우 2단 로켓에 높이 10m 직경 0.74m이며 1톤 재래식 탄두의 경우 700km, 180kg 핵탄두의 경우 2,000km의 사거리를 가진다.][* 사거리가 800km일 경우 울릉도 인근에서 발사시 [[도쿄]], 백령도 인근에서 발사 시 [[베이징]]을 사정권 안에 넣는다.] === 2차 시험발사 === [[2022년]] [[4월 18일]], 이동 중 연속 발사에 성공하였다고 한다. 400km를 날아가 목표물들에 명중하였으며, 곧 실전 배치에 나선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PMrKY8DttGo|#]] 당시 뉴스 보도에서는 발사 영상이 공개되지 않았다. 이후 2022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이때 발사 시험으로 추정되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상단의 GIF 이미지 발사 당시에는 비스듬하게 날아갔는데 아래 국군의날 영상에서는 올곧게 날아간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IJ9qQXTB0c, start=2731)]}}}|| == 반응 == === [[북한]] === [[김여정]]은 당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내로남불|정상적이며 자위적]]"'''이라고 주장하며 “북남관계는 여지없이 완전파괴에로 치닫게 될 것" [[북증서|이라고 말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7555|#]] 2021년 9월 20일, 북한은 [[장창하]] 국방과학원장이 직접 쓴 논평을 내놓았다. 시험발사 성공을 ‘걸음마 단계’라고 깎아내렸다. 이어 “분명 잠수발사탄도미사일이 아니었다”며 “미사일 외형 길이가 6m 되나마나 하고 직경은 800㎜ 미만으로 추산되며 분출 화염 크기로 보아 사거리가 500㎞ 미만인 전술탄도미사일로 판단한다”고 주장했는데, 굳이 자신들의 북극성 미사일 개발사양과 비교를 하다보니 [[피드백|먼저 해보고 실패한 경험을 속성과외로 가르쳐주려는 것]] 아니냐는 찬사(?)마저 받았다. 다음 문서는 북한의 장창하 국방과학원장이 발표한 글의 전문이다. [[https://www.segye.com/view/20210920504606|#]] [include(틀:장창하의 대한민국 SLBM 평가)] 12월 28일 북한 매체가 SLBM을 다시 언급했다. '끝을 모르는 동족 대결 광기'라는 글에서 "남조선 호전광들은 9월 3000t급 잠수함에서의 탄도미사일 수중 시험 발사와 탄두 중량이 6~9t 정도인 고위력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놀음을 벌여놨다"며 대한민국의 무기개발에 대해 예의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 문서는 북한이 발표한 글의 전문이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28_0001703613|#]] {{{#!folding 【내용 펼치기·접기】 {{{#!wiki style="text-align:center" 《끝을 모르는 동족대결광기》}}} 남조선군부가 내외의 우려와 규탄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무장장비개발에 더욱 열을 올리고있다. 얼마전 남조선군부호전광들은 2026년까지 약 7억 7 800만US$를 투자하여 현재 보유하고있는 6대의 《백두》정찰기들중 로후화된 4대를 대체할 신형정찰기들을 자체로 개발하겠다고 공표하였다. 또한 2024년까지 륙해공군 및 해병대의 보병, 전차, 장갑차, 함정, 직승기용기관총을 갱신하고 소부대의 작전능력을 향상시키겠다고 공언하였다. 실로 조선반도긴장격화의 주범, 평화파괴의 장본인으로서의 정체를 더욱 적라라하게 드러낸 호전적망동이 아닐수 없다. 지금 남조선위정자들은 앞에서는 대화와 협력, 평화번영에 대해 곧잘 떠들어대고있다. 하지만 뒤에 돌아앉아서는 어떻게 하나 동족을 힘으로 압살할 군사적대결야망에 미쳐돌아가고있다. 우리를 위협의 대상, 억제해야 할 상대로 규정하고 온 한해 미국에 추종하여 군비확장과 무장장비현대화놀음에 매달려온 남조선군부의 행태가 이를 잘 말해주고있다. 지난해보다 5. 4% 증가한 52조 8 400여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돈을 올해 《국방비》로 정한 남조선군부호전광들은 년초부터 《방위산업발전협의회》를 벌려놓는다, 《2021년 국방과학기술진흥실행계획》을 확정한다, 《2021년 부분품국산화계획》을 작성한다 하면서 분주히 돌아쳤다. 이러한 가운데 남조선군부호전광들은 지난 1월 잠수함탄도미싸일의 지상사출시험놀음을 벌려놓았는가 하면 3월에는 중땅크 《K2》의 발동기시운전을 진행하였다. 4월에는 초음속전투기 《KF-21》(《한국형》전투기)시제품 1호기 출고식놀음을 벌려놓았으며 5월에는 《한미미싸일지침》종료이후 사거리 3 000-5 000Km인 중거리탄도미싸일과 사거리가 5 500Km이상인 대륙간탄도미싸일을 단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사업에 착수하겠다, 1 000Km이상의 잠수함탄도미싸일을 탑재 및 발사할수 있는 잠수함을 보유하겠다, 극초음속무기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7월에는 전반기 《전군주요지휘관회의》라는것을 벌려놓고 《탄도탄조기경보레이다-2》, 《천궁-2》와 전자광학위성감시체계 등을 구축하겠다고 공표했으며 9월에는 3 000t급잠수함에서의 탄도미싸일수중시험발사와 탄두중량이 6~9t정도인 고위력탄도미싸일시험발사놀음을 벌려놓았다. 더우기 올해 남조선군부호전광들은 6. 8mm소총, 신형전투장갑차 《레드백》과 《타이곤》, 신형지뢰제거용 장애물개척장갑차, 《K56》포탄운반장갑차, 지능형 다목적무인차량, 유무인복합체계용 소형무장직승기, 무인수상정 《아우라》, 무인 및 원격지뢰제거장비 《MV4》, 소총 및 류탄발사용무인기, 휴대용무인기요격포, 고출력레이자무기를 비롯하여 40여종의 각종 무장장비들을 개발 및 실전배치하였다. 이렇듯 온 한해 무장장비현대화놀음에 혈안이 되여 돌아친 남조선호전광들이 해가 저무는 마지막날까지 새로운 무장장비개발에 나설 흉심을 또다시 드러내고있는것이다. 남조선군부의 이러한 무장장비현대화놀음이 무엇때문에 필요하며 누구를 겨냥한것인가 하는것은 불보듯 뻔하다. 이는 명백히 북침전쟁준비를 다그치려는 동족대결광기의 발로로서 조선반도에 전쟁위험을 증대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할뿐이다. 지금 남조선각계에서 《악성전염병사태와 경제악화극복에 쓸 예산도 없어 쩔쩔매고있는 판에 국민혈세를 첨단무기도입과 개발에 물쓰듯해서 되겠나.》, 《무기로 평화를 살수 없다.》, 《그러면서 북에 도발과 위협을 말하기가 부끄럽지 않은가.》 등의 목소리가 련일 울려나오고있는것은 결코 우연치 않다. 앞에서는 화려한 꽃을 보이고 뒤돌아앉아서는 상대를 해칠 칼을 야심차게 가는것과 같은 이런 앞뒤가 다른 위선자들의 이중적행태는 환멸 그 자체이다. }}} === [[일본]] === 처음에 발사영상이 안 나온 채로 발표만 나왔을 때는 조작이다, 거짓말이다 등의 반응이었지만 SLBM 발사 영상 공개 후에는 일본 땅에 떨어질 것이라며 경계하는 여론이다. 그러나 일본 자위대의 현실을 비관하면서 축하하는 사람도 소수 있는 것 같다.[* 일본 언론 유튜브 영상[[https://youtu.be/RsHNDuFxc2s|#]][[https://youtu.be/D3cJ_7FYO9o|#]][[https://youtu.be/d562hbb-Mik|#]]] === [[중화권]] === [[https://youtu.be/85FT8o1RdQY|#]][[https://youtu.be/fgOvKk9Y0tg|#]] 중국은 이번 발사시험에 정보수집을 위해 안흥시험장에 [[중국 인민해방군]] [[북해함대|북부전구해군]] 동댜오(東調)급[* 815A형 정보수집함] 정보함이 소[[흑산도]] 근처에서 탐지했다고 한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05017|#]] 중국의 언론들은 '''"한국의 강화된 무장이 이제는 중국을 위협하고 있다"'''며 '''"미국이 한국의 SLBM 개발을 부추겼으며 중국은 언제든 주한미군을 타격할 수 있다."''' 고 한국의 무기개발에 경계하는 분위기이다.[* 이 과정에서 주한미군 기지의 위치와 주둔 병력 규모까지 상세하게 설명한 것은 덤.] 무기개발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대한민국에서 SRBM등의 1,000km사거리 미사일로는 베이징 및 후베이성 인근 타격 가능, IRBM등의 3,000-5,000km 사거리 미사일로도 중국 전역 군사 주요시설을 타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일:Figure3.jpg]] 중국의 주요 군사시설 및 (일본) 지대지 미사일 발사기지.[* 동그라미 색이 진할수록 내륙에 위치. NM: 해리] 대한민국은 일본보다 중국에 인접지역에 있기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 미사일 사거리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 대만의 언론보도 중 대만 국방안전연구원 소속 군사전문가는 '''"한국의 SLBM 보유는 중국이 대만에 대해 군사적으로 힘을 가할 때 간접적으로 힘의 균형을 유지시켜 줄 것이다"'''로 호의적으로 반응했다. 온라인에서도 언론에서도 SLBM 개발에 호의적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양안관계/2020년대|대만 무력 침공]]에 대해 한국이 개입하길 바라는 뜻도 있다. 많은 대만 인사들이 양안전쟁 발발 시 한국이 개입할 것이라고 믿고 있는데,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대만에서 전쟁이 나면 미국이 참전하게 되고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거해 한국도 참전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한미상호방위조약의 개입 조건은 상대방의 영토가 위협받을 때이며, 상대국의 해외 전쟁에 개입할 의무는 없으므로 한미상호방위조약이 한국의 대만 개입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둘째, [[장제스]]가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 독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므로 이에 대한 보은으로 참전한다는 주장이다. 당시 한국에 관심이 없던 다른 연합국 정상들과 달리 장제스는 [[훙커우 공원 의거]] 때부터 한국의 독립운동을 눈여겨보고 지원해왔으며, 일본의 항복 조건으로 한반도의 독립을 걸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그리고 장제스가 대륙에서 이끌던 [[중화민국 국민정부]] 그 자체가 현 대만 정부다. 셋째, 중국이 세력 확장을 위해 대만을 무력 점령할 경우 바로 다음 목표는 한국임이 자명하기 때문에 자국이 전쟁터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한국이 대만을 지원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자강론"으로 한국의 자주국방을 본받아 대만의 잠수함 개발 성공을 바라고 있다.[* 그러면서도 대만 잠수함 건조사업에 한국인 기술진이 포함된 한국기업을 유출시켰다. 하지만 설령 한국인 기술진이 있더라도 한중관계를 고려하면 한국 정부 차원이 아닌 기업 혹은 기술자 단위에서의 참여일 가능성이 높다라 하기에도 뭐한 것이 대만의 보안능력을 생각하면, 오히려 당시 행정부가 놔두었다는 음모론도 가능하다.] == 비판 == 대한민국은 핵보유국이 아니기에 해당 미사일에 핵탄두가 아닌 재래식 탄두를 탑재한다.[*반론1 같은 논리를 적용한다면 일반 탄도미사일도 무용지물이라는 식의 발언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은 이미 [[준핵보유국]]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이는 장기적 관점+유사시의 관점에서 여차하면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나라라는 뜻이다. 즉, SLBM과 [[누리호]]의 완성으로 한국은 '''사실상 거의 모든 체계의 전략미사일을 자력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이고''' 전략 핵미사일, SLBM 전술/전략 핵미사일 모두를 만드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나라가 된 것이다. 이것은 한국에 주둔한 미군들과 더불어 강력한 전쟁억제 수단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를 두고 실효성에 대한 논란 및 비판이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팥소 없는 팥빵'에 비유하기도 했다. [[https://www.ytn.co.kr/_ln/0101_202104060430036233|해당 보도]] 여기에서는 이 미사일에 대한 다양한 비판 목소리도 함께 소개했다. [[탄도 미사일]] 항목에도 왜 핵탄두가 없는 탄도 미사일이 비효율적인지 서술되어있다. * [[한국항공대]] 교수이자 미사일 연구가인 장영근 교수는 '전략적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평가절하하였다. 차라리 이 예산으로 지대지 [[탄도 미사일]] 역량을 강화하자고 주장했다. * 기사 속에 언급된 익명의 해군 장성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SLBM|북한이 하니까]] 우리도 한다는 식으로 만든 무기라며, 대형 무기에 집착하는 행태 중 하나라고 비판했다.[*반론2 이것이 해군의 장성에게서 나온 전략적 분석 이라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한국이 대형무기와 화력에 과하게 집착하는 것은 사실이나, '''기존의 모든 화력들과도 비교할 수 없는 비대칭 전력에는 이 논리가 적용 될 수 없다.''' 전략적 용도로 운용되는 탄도미사일은 '''[[비대칭 전력]]''' 이며(모든 장교가 생도시절부터 상식적으로 배우는 내용이다!), 북한이 한국/일본/미국에게 하고 있는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약자가 강자에게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거기에 잠수함의 효과까지 첨가된 SLBM은 가장 효율적인 비대칭 전력인데, 일본을 제외한 인근 국가가 모두 SLBM을 보유한 상황에서 한국이 굳이 이것의 개발을 마다할 필요는 없다. 애초에 SLBM은 기존의 탄도미사일 들보다도 더 차원이 다른 은폐/기습효과를 발휘하기에 중국/러시아와 같은 가상적국(+ 해군 강국) 입장에서 재앙이나 다름없다. 우리가 북의 SLBM 개발 성공을 놓고 방어전략을 일부 재검토해야 할 정도로 골머리를 앓게 되었다는 말은, 우리가 보유했을때도 상대 국가 입장에서 마찬가지이다. 이것을 단순히 '북한따라 만들기' 라고 단정하는 것은 프레임 씌우기일 뿐이며 실은 북한이 보유했고 주변국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보유해야 하는 것이 맞다.] * 신종우 한국국가안보포럼(KODEF) 선임분석관도 영국 [[아스튜트급 잠수함]]의 예를 들면서 SLBM이 아닌 잠수함 발사 [[순항 미사일]](SLCM)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 == 명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현무 미사일, 앵커=표기법과 읽는 법)] 이 미사일은 '현무 IV-4'(혹은 '현무 4-4', '현무-4-4')로 명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42009103952296|#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449633?sid=001|#2]] 그런데 해당 기사를 살펴보면 ADD 무기 명칭 체계의 관례[* 제식명칭, 붙임표, 로마숫자 대문자]와 다르게 '현무-ⅡB'가 '현무-2B'로, [[현무-IV]]의 첫번째 미사일은 '현무4', '현무-4-1'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다른 미사일들의 공식 명칭에 비추어 볼 때, 공식 표기법은 로마 숫자 대문자를 사용한 '현무-Ⅳ-4'일 것으로 보인다. 끝 구분자에 숫자를 부여한 것도 특이하지만 함선 발사와 잠수함 발사 미사일에는 [[현무]]라는 네이밍을 안 붙이는 것이 관례였는데[* 예컨대 현무-Ⅲ와 해성-Ⅱ는 같은 미사일이지만 아예 다른 제식명칭을 채택했다.], 그것의 예외가 되었다. 때문에 [[현무 미사일]] 중에 유일하게 지상발사형이 아니다. == 기타 == * 2023년 해군사관학교 졸업식에 참가한 '''[[윤석열]]''' 대통령이 도산안창호함을 둘러보며, 본 미사일의 발사관도 둘러보았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A8mvLoh72oQ|#]] * 여담이지만 후속모델의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트라이던트와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장거리 미사일일 가능성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무 미사일)] [include(틀:북한의 핵 전력과 대한민국의 대응)]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현무 미사일, version=1327)] [[분류:SLBM]][[분류:2021년 공개]][[분류:대한민국 국군/미사일]][[분류:단거리 탄도 미사일]][[분류:탄도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