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개발연구원장)] }}} || ||<-2> '''[[기획재정부장관|{{{#fff 대한민국 초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br]{{{+1 현오석}}}[br]玄旿錫 | Hyun Oh-seo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현오석.jpg|width=100%]]}}} || ||<|2> '''출생''' ||[[1950년]] [[5월 5일]] ([age(1950-05-05)]세)|| ||[[충청북도]] [[청주시]]|| || '''본적'''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 || '''본관''' ||[[연주 현씨]][* 사평공파 29세 석(錫) 항렬.]|| ||<|2> '''재임기간''' ||초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2013년]] [[3월 22일]] ~ [[2014년]] [[7월 15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천종희(千種姬)[* [[천(성씨)|영양 천씨]](潁陽 千氏)로,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 || '''자녀''' ||딸 현낙희(玄洛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https://sls.skku.edu/sls/faculty/faculty.do?mode=view&perId=LZStrOoRgFgWgigDjCqUBSBjAEgIwM4YEr1wHMAxAdgEEBeSoA%20&|#]]], 아들 현낙승(玄洛昇) || || '''학력''' ||[[경기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 {{{-1 (경영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71436|「生活의 質」의 測定에 關한 硏究]](「생활의 질」의 측정에 관한 연구).])}}}[br][[펜실베이니아 대학교]] {{{-1 (경제학 / [[박사]])}}} || || '''병역''' ||[[보충역]]^^([[골수염]])^^ || || '''경력''' ||제14회 행정고시 합격[br][[세계은행]] 이코노미스트[br][[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2 ([[문민정부]])}}}[br]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 국고국 국장[br]국민경제자문회의 기획조정실장[br][[국립세무대학]] 학장[br]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br][[국제신문]], [[서울신문]] 칼럼리스트[br]우리금융, 증권예탁원 사외이사[br]공공기관경영평가단장[br][[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br][[한국개발연구원]] 정책대학원대학교 총장[br]한국개발연구원장{{{-2 ([[이명박 정부]])}}}[br]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2 ([[박근혜 정부]])}}}[br]국립외교원 석좌교수[br][[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국제자문단 ||}}}}}}}}} || [목차] [clearfix] == 소개 == 전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다. 독립유공자 현준석은 8촌 지간의 삼종형(三從兄)이다. == 생애 == [[1950년]] [[5월 5일]]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아버지 현규병(玄圭柄)과 어머니 [[진주 강씨]] 강남희(姜南熙) 사이의 5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65회)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를 수료했다. 제14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경제기획원(EPB)에 들어갔으며, [[경제|거시경제]] 담당 부서를 주로 거쳤다. 1985년 7월부터 1986년 1월까지 경제기획원 장관 겸 부총리 비서관을, 1989년부터 1991년까지는 세계은행이코노미스트를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청와대로 근무하면서 [[김영삼]] 전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경제비서관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이후 [[국민의 정부]] 시절에는 재정경제부로 이동하였으며 재정경제부 세무대학장을 끝으로 공직사회를 떠났다. [[세계은행]] 지식자문위원회 초대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한국개발연구원]] 원장과 [[2010 G20 서울 정상회의|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민간위원을 역임했다. 2013년 [[박근혜 정부]]의 첫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직을 맡았다. 2016년 9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국제자문단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 기타 == * [[부친]] 현규병은 [[4.19 혁명]] 당시 시위대에 발포를 명령한 경찰수뇌부였으며,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경찰|일본순사]]였음이 국가기록원을 통해 확인됐다(...) [[http://db.history.go.kr/id/im_114_20278|한국근현대인물자료]]에 따르면, 현규병(玄圭柄)은 [[1917년]] [[3월 16일]] 지금의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http://www.parkyeol.com/board/bbs/board.php?bo_table=board02&wr_id=25&page=1|#]]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던 1940년 일본재판소 서기등용시험에 합격하였고, 이후 고등고시 예비시험 및 변호사예비시험에 합격하였으며, 충청남도 경부(警部: 지금의 경감)으로 재직했다고 한다. 또한 1960년 1월에 내무부 치안국 수사지도과장(서기관 급)으로 재직 중이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박근혜 정부의 국무위원)] [[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14회]][[분류: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분류:1950년 출생]][[분류:연주 현씨]][[분류:청주시 출신 인물]][[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한국개발연구원장]][[분류:한국개발연구원 출신 인물]] [[분류:서울대학교 출신]] [[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