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조선]] 중기 [[황해도]] 출신의 문인인 현적복(玄積福)이 [[명종(조선)|명종]] 13년인 1558년부터, [[선조(조선)|선조]] 33년인 1600년까지 약 42년간 쓴 [[일기]]. 총 6권이 남아 있으며 현재 [[북한]]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현적복은 1521년 12월 3일 황해도에서 태어나 장성한 후 서울로 유학을 떠났고 1580년 경상도 하양 현감, 1590년 평안도 은산 현감 등을 지냈다. 현은산일기는 현적복이 관직에 재직 중이던 1558년부터 1600년까지 쓴 일기로, 황해도 지방 고유의 모내기 방법, [[임진왜란]] 당시 재정 문제, 16세기 후반 조선 왕조의 행정 조직, 당시 벌어졌던 [[이몽학의 난]]에 대한 서술, [[임꺽정]]이나 길삼산 등의 행적, 당시 수공업과 농업의 발전상, 당시 주민들의 생활상 등이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현재 원본이 북한에 소장되어 있어 이 이상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며, 북한에는 현은산일기 외에도 여러 소중한 우리 나라의 고전 일기류 서적들이 다수 보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이나 폐쇄적인 북한의 문화 교류 상황 상 자세한 내역을 알 수가 없다. == 외부 링크 == * [[http://116.67.50.134/search/DetailView.ax?cid=222613|통일부 북한 자료 센터 홈페이지 : 조선 사회 과학 학술집 181 민족 고전학편 민족 고전 연구론 문집 26 - <<현은산일기>>에 대한 연구, <<근역서화징>>에 대한 연구]] *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9000&num=50173|데일리NK : 北 조선 시대 '현은산 日記' 높이 평가]] [[분류:조선의 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