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달성군의 고등학교]][[분류:1954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고교의 축구부, rd1=현풍고등학교 축구부)]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고등학교)] || [[파일:external/www.hyunpung.hs.kr/146173283135765.jpg|align=center&width=100%]] || || 학교 항공 촬영(2016) || ||<-2> '''{{{#white {{{+1 현풍고등학교}}}[br]Hyunpung High School[br]玄風高等學校}}}''' || ||<-2> [[파일:현풍고 아이콘.pn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현풍고등학교, 너비=100%)] || || {{{#black '''개교'''}}} || [[1954년]] || || {{{#black '''유형'''}}} || 선지원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사립]] || || {{{#black '''학교법인'''}}} || 구암학원 || || {{{#black '''교장'''}}} || 조진섭 || || {{{#black '''교감'''}}} || 김규백 || || {{{#black '''학생 수'''}}} || 422명 (남 225명 / 여 197명)[br](2023년) || || {{{#black '''교직원 수'''}}} || 50명 (남 27명 / 여 23명)[br](2023년) || || {{{#black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교육청]] || || {{{#black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br][[비슬로]] 675 (성하리 497) || ||<-2> [[http://www.hyunpung.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hyunpung_official/?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youtube(NAETnb_XwNA)]|| ||2020년 현풍고등학교 홍보영상|| >{{{+1 뭉치자! 해보자!}}}[* 구 학생증에는 "뭉치차! 해보자!" 라고 적혀있었으나, 지금은 삭제되었다.] >---- >ㅡ 현풍고등학교 교훈 == 개요 == 현풍고등학교(玄風高等學校)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에 위치한 사립 [[특수지 고등학교|선지원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 역사 == === 학교 연혁 === * 1953-06-26 : 재단법인 견사학원 설립인가. 곽수득 이사장 취임 * 1954-03-06 : 현풍고등학교 설립인가 * 1964-12-14 : 김한곤 이사장 취임 (현풍학원 재단 인수) * 1966-04-16 : 현풍학원을 구암학원으로 명의 변경 * 1966-08-17 : 구암학원과 견사학원 합병 * 1967-10-21 : 본관(2층8실) 및 강당, 부속건물 준공 * 1969-11-30 : 구암관(강당) 준공 * 1971-09-10 : 교사 4층 14실 준공 * 1988-02-09 : 성곡관 (도서실, 시청각실) 준공 * 1989-08-21 : 관 및 고교동 증개축 준공 * 1995-10-18 : 기숙사 준공 (지상 4층, 지하 1층) * 2001-11-05 : 남녀공학 개편을 위한 학칙변경인가 * 2005-01-14 : 태아관 준공 * 2008-02-05 : 자율학교 지정 * 2009-09-01 : 교원능력 개발평가 선도학교지정 사교육 없는 학교지정 * 2012-03-01 : 자율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 2013-03-01 :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융합교실 구축 학교 * 2015-11-22 : 급식실 식당 준공 (지상2층) * 2018-01-10 : 축구부 숙소(석연재) 리모델링 이전 * 2018-03-02 : 통계교육 연구학교 선정 * 2022-02-07 : 메이커스페이스 꿈이룰LAB 구축 == 교훈 및 상징 == === 교육목표 및 교훈 === [[파일:external/www.hyunpung.hs.kr/img_target.gif]] === 학교 상징 === ==== 교표 ==== ||[[파일:20191130_134305.jpg]]|| ==== [[교가]] ==== 악보는 다음과 같다.[* 음이 상당히 높다.] ||[[파일:hyeonpunggyoga.png|width=100%]]|| 현풍고와 현풍중은 교가가 다르다. 그래서 현풍 중·고등학생들이 모두 모이는 행사에서는 교가가 각각 다르게 두 번 제창된다. ==== [[교목#s-2]] ==== [[향나무]] 사계절 항상 푸른 잎을 자랑하는 향나무처럼 어떠한 환경 속에서도 변함없이 순수성을 잃지 않고 고난을 극복하는 미래의 주역이 되자는데 그 상징적 의미가 있다. 출처 : 현풍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화 ==== [[철쭉]] 봄 햇살을 맞아 화사하게 꽃을 피우는 것처럼 우리도 신세계를 아릅답게 창조하는 전령이 되자는데 상징적 의미가 있다. 출처 : 현풍고등학교 홈페이지 == 학교 특징 == 운동장이 매우 넓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학교 부지가 매우 넓고 계단도 엄청 많다. [[중부내륙고속도로]]에서 [[현풍휴게소]] 근처에 빨간 벽돌로 된 건물이 있는데 그것이 현풍고등학교다. 잔디로 된 운동장과 붉은 벽돌, [[비슬산]]과 [[낙동강]]을 끼고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외관상으로는 정말 아름답다. --다만 실내와 여학생 기숙사는 보수공사가 시급하다.-- 현재 남학생 기숙사는 급식실과 함께 새로 지어졌다. 2층은 급식실, 3~5층은 남학생 기숙사로 활용 중. == 학교 시설 == === 기숙사(여학생) === 현풍고등학교의 기숙사의 이름은 '현원학사'이다. [* 남학생 기숙사가 지어지면서 여학생만 쓰게 되었다.] 학교 일정이 끝난 뒤인 21시부터 다음날 7시 50분까지 기숙사가 개방된다. 18시부터 19시까지는 석식 시간이고, 21시 00분부터 22시 00분까지가 야자 1교시, 22시 20분부터 23시 30분까지는 야자 2교시이다.[* 2020년부터는 하단에 서술되어 있는 남자 기숙사의 시간표와 동일하게 운영되는 중이다.] 자습실은 총 2개로 나뉘어져 있는데, 낙동실과 비슬실로 이루어져 있다. 자습실 내에서는 학습과 관련된 명목 하에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1층에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 가능하다.][* 다만 생활실까지는....] 취침시간은 24시이지만, 친구들끼리 방에 모여 이야기하거나[* 기숙사 내 정수기에서는 뜨거운 물이 나오지 않고 미지근한 물만 나오기 때문에, 아예 전기포트를 가져와 쓰거나, 그 미지근한 물을 받아 라면을 불려먹는 경우가 많다.] 과자를 먹기 때문에 더 늦게 잠든다.[* 현풍고 주변에 한 마트가 있는데. 그 마트는 현풍고 학생들에게 거의 성지 취급받고 있다. 야자 1교시 이후 쉬는시간에 기숙사에서 학생들이 사라지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전부 마트로 가서 과자, 음료수, --라면--을 사오는 것이다.--남자기숙사는 아예 문을 잠가버린다--] ==== 여담 ==== * --가끔 [[박쥐|'''야생''']][[새|'''동물''']]들이 출현한다.-- === 기숙사(남학생) === 남학생 기숙사는 기존 기숙사에 비해 신설이라 그런지 시설이 깔끔하다. 2층은 급식실[* 아침.점심.저녁시간 남.여 모두 사용]로 사용되고 3층은 3학년이, 4,5층은 1,2학년이 함께 사용한다. 18시부터 19시까지 석식을 먹고, 19시부터 21시까지[* 3학년은 22시까지 야자]학교 교실에서 야자를 하고 난 뒤 기숙사로 가서 21시부터 21시 30분[* 3학년은 22시에서 22시 30분]까지 개인정비 시간[*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때 샤워를 한다.]을 가지고 21시 30분부터 23시 30분까지 자습을 한다. (중간에 3학년이 오는 시간과 겹쳐 쉬는시간을 주긴 준다.) 자습시간에 먹을 것도 먹을 수 있고[* 음료수 등은 자습실 옆 휴게실[* 원래 자습실 옆에 있는 계단으로 내려가면 있었는데 교무실 석면공사로 인해 해당층에 교무실이 들어서면서 옮겼다.][* 교무실 석면공사가 끝났음에도 휴게실위치는 자습실 바로 옆이다.] 에 냉장고가 있으니 그걸 사용하면 된다.] --폰과 IT기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23시 30분에 야자가 끝나면 폰을 거두고-- 사감 선생님이 3,4,5층 점호를 한다. 점호가 끝나면 방 청소를 한 다음 취침할 사람은 취침하고 새벽자습 (일명 '새자')을 할 사람은 다시 자습실에 내려가 새자를 1시까지 한다.[* 시험기간에는 2시까지 할 수 있다.] ==== 여담 ==== * 한 방에 2층 침대가 2개씩 있는데, 보통 1층은 2학년이 2층은 1학년이 쓴다.[* 근데 왜인지 2022년엔 학년끼리 섞이지 않았다.] * 학교가 작다 보니 소문이 금방 퍼지게 되는데, 학생들 사이에서는 이를 [[입소문|''' '현풍 네트워크'(...)''']]라 부르고 있다. * 1,2학년의 방은 랜덤이다. 그렇지만 가끔 층간 이동을 하거나 방 배정이 바뀌기도 하며 3학년은 원하는 멤버끼리 방을 이룰 수 있다. * 엘리베이터는 사감쌤 전용이다. --어차피 키가 없어서 못 탄다-- * 기숙사에서 퇴사를 하면 1년간 다시 입사할 수 없다. * 2022년 12월부터 컵라면에 한해 휴게실에서 라면 섭취가 허용되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체육대회(5월 중순), 대구지역 최초 모의 유엔대회인 HYMUN(5~6월경)과 모의 법정 HYMT(6~7월경) 모의 국회 HYC(11월경), 모의주식투자대회HYMSE(11월경), 현원제(12월 말)가 있다. 그것 말고도 여러 동아리에서 하는 행사가 많다. === [[현풍고등학교 축구부|축구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현풍고등학교 축구부)] [[대구 FC]]의 유소년 팀(U-18)이 본교의 축구부이다. 별도의 숙소 [* 여학생 기숙사 지하--반지하--에 있다] 가 따로 있어 그곳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가끔 가다 학생들과 선생님이 사용하는 식당에 출몰하여 식사를 할 때가 있다. 축구부가 연습하다 볼이 나갔을 때 다시 돌려주려고 차다 보면, 프로는 다르다는 걸 평범한 남학생들은 느낄 수 있다. 축구부 덕분에 인조잔디구장으로 운동장이 바뀌었었다. 2009년 겨울~2010년 초 까지 공사가 진행되었었다. 그러나 그 덕분에 운동장 트랙이 기형적으로 변하여, 학교와 마주보는, 개울가 쪽의 트랙은 매우 기형적이며 좁게 구성되어져 있다. 그 때문인지 체육대회 달리기는 인조잔디 구장 내에서 했었다. 매년 [[대구 FC]]에서 2~3명정도 데려간다. 대한민국을 사상 최초로 [[FIFA U-20 월드컵]]에서 결승에 올려놓은 [[정정용]] 감독이 이 학교에서 1년 간 감독으로 재임한 바 있다. == 출신 인물 == * 김징완 - 前 삼성중공업 부회장 * 최수진 - [[도전 골든벨]]의 70대 명예의 전당 등극, 2008 왕중왕전 참가. * [[신창무]] - [[광주 FC]] 미드필더 * [[김흥일]] - 前 [[대구 FC]], [[천안시 축구단]] 공격수 * [[정대교]] - 前 [[대구 FC]], [[천안시 축구단]] 공격수 * [[박준형(축구선수)|박준형]] - [[랏차부리 미트르 폴 FC]] 센터백 * [[송영민]] - [[양평 FC]] 골키퍼 * [[김태한(축구선수)|김태한]] - [[김포 FC]] 수비수 * [[장희웅]] - 前 [[FC 서울]], [[경주시민축구단]] 수비수 * [[이희선(축구선수)|이희선]] - [[고양시민축구단]] 골키퍼 * [[서재민(1997)|서재민]] - [[김포 FC]] 미드필더 * [[손석용]] - [[김포 FC]] 미드필더 * [[심동휘]] - 前 [[청주FC]] 수비수 * [[허윤환]] - 前 [[FC 남동]] 수비수 * [[이상혁(2000)|이상혁]] - 前 [[FK 파르두비체]], [[FC 카르타헤나]] 미드필더 * [[오후성]] - [[광주 FC]] 미드필더 * [[박민서(축구선수)|박민서]] - [[경남 FC]] 미드필더 * [[이진용(축구선수)|이진용]] - [[대구 FC]] 수비수 * [[임기목]] - [[부산 아이파크]] 골키퍼 * [[이종훈(축구선수)|이종훈]] - [[대구 FC]] 미드필더 * [[신원상]] - 前 [[평택시민축구단]] 미드필더 * [[곽용찬]] - [[중앙대학교 축구부]] 수비수 * [[한지율]] - [[대구 FC]] 골키퍼 * [[김리관]] - [[대구 FC]] 수비수 * [[유지운]] - [[대구 FC]] 수비수 * [[차종태]] - 정치인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시내 [[버스]] 노선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현풍중고등학교||[[대구 버스 655|655]] || ||현풍농협||[[대구 버스 600|600]], [[대구 버스 달성5|달성5]], [[대구 버스 달성6|달성6]], [[대구 버스 달성7|달성7]] || ||달성우체국||[[대구 버스 급행4|급행4]], [[대구 버스 655|655]] || 현풍농협까지는 도보로 5~7분, 달성우체국까지는 도보로 5분 내외로 갈 수있다. 라고 서술되어있지만 달성우체국 버스정류장은 학교 나와서 길 건너 쭉 따라내려오기만 하면 있다. 생각보다 그렇게 먼 거리는 아니다! 급행 4번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설화명곡역]]에서 환승한 후 각자 갈 곳으로 가는 길이 기숙사생들의 일반적인 귀가루트다. === 시외 [[버스]] 노선 === 대구시내에서 올 때는 [[서부정류장|대구 서부정류장]]에서 현풍방면 시외버스 탑승. 반대로 집으로 하교할 때는 대구서부방면 시외버스 탑승. || 현풍터미널 (출발) [* [[북현풍IC]]를 타지 않고 [[달성IC]]를 타고 [[남대구IC]]에서 내려 [[서부정류장|대구서부]] 에 도착한다. 소요시간은 약 3~40분.] || || 07:30 || || 08:10 || || 12:00 || || 13:10 || || 15:30 || || 17:40 || || 18:30 || 원래 시외버스가 더욱 많았으나 1일 7회(...)로 몰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이 적자가 심하여,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폐쇄 가능성이 큰 상태라고 한다. 그렇다면 대중교통으로 오는 수밖에 없는데, 아쉽게도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은 현풍고등학교와는 거리가 멀다...[* 급행4번과 유가읍사무소에서, 655번과 진아리채/하나리움 에서 만난다.] 따라서 [[대구 버스 급행4|급행4번]]을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대곡지구 근처 학생들은 급행8이 효율적일 수 있다. [[테크노폴리스로|자동차전용도로]]를 이용하기 때문. 현재는 결국 [[현풍공영버스정류장]]으로 이전했는데, 이전을 하자 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시절보다 접근성이 더욱 높아졌다. 혹시나 자가로 오는 사람들을 위해 적어두자면 대구 어디서든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통해 --달성 IC(현풍고등학교 근처의 [[달성1차산업단지]]로 내려온다.)를 통해 내비게이션 찍고 현풍고등학교로 오자. 달성공단 IC에서 자가용으로는 10분이면 충분히 현풍고등학교에 도착할 수 있다.-- 요즘은 하이패스가 대부분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현풍고에서 매우 가까운 하이패스 전용 [[북현풍IC]]에서 내리면 더 편리하다. == 기타 == * 현풍고는 원래 [[1997년 외환 위기]] 때 해체된 [[쌍용그룹]] 재단 소속이었다.[[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all/MD19951017155600472.daum|#]] [[http://www.dgy.co.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300&idx=58407|#]] * 현풍고는 선지원형 고등학교라서 일반전형으로 입학하려면 중학교 내신이 중요하다.--그래서 그런지 내신을 따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 2018년부터 대구 테크노폴리스 인근 7개 학교[* 디지스트, 포산고, 현풍고, 포산중, 현풍중, 비슬초, 포산초]와 함께 졸업퍼레이드에 참가하고 있다. * 2019년 11월에 [[펭수]]가 고3 수험생들을 응원하기 위해 학교에 깜짝 방문한 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ThzyHA0LHvI&feature=youtu.be|#]] * [[현풍중학교]]와 붙어 있어서 점심을 현풍중 학생들이 먼저 먹고 난 후에 먹는다. * 학교가 항로 아래에 있다. 일반 민항기는 잘 보이지 않으나 인근 중앙119구조본부의 소방헬기는 하루에도 2~3번씩 보이며 [[대구국제공항|대구국제공항(K-2)]]에 배치된 [[제11전투비행단]]의 [[F-15K]], 제60수송전단의 [[C-130]], [[CN-235]]등이 간혹 보인다.--저공비행을 할때는 무장까지 다보인다. 수업중 굉음이 들리면 비행기 지나가는구나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