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 [[내과]], [[비뇨기과]] || [목차][clearfix] == 개요 == {{{+1 [[血]][[尿]] / Hematuria}}} 소변에 비정상적인 양의 [[적혈구]]가 섞여 배설되는 증상. 쉽게 말하면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이다. 소변에 3적혈구/HPF 이상이 발견될 경우 혈뇨라고 부른다. 환자가 소변의 색깔의 변화를 알아볼 정도의 혈뇨를 육안적 혈뇨(gross hematuria)라고 부르며, 이는 사구체적이 아닌(nonglomerular) 원인 및 비뇨생식기에서 발생한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게 된다. 특히 통증이 동반되지 않은 육안적 혈뇨는, [[방광암]]과 [[신장암]]일 가능성이 높기에 자세한 검사가 필요하다. 이에 비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것을 현미경적 혈뇨(microscopic hematuria)라고 부르며, 흔히 사구체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혈뇨가 지속될 경우, 요로관에서 적혈구가 엉기기도 한다. == 원인 == 혈뇨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신장결석]](kidney stone) - 약 20%의 경우[* 내시경 수술로 인한 요관부목 착용 시 그냥 피가 나오는 수준이다.] * 감염 - [[요로감염증]](urinary tract infection), [[신우신염]](pyelonephritis) 및 요도염(urethritis) * [[방광암]] 및 [[신장암]] * [[사구체성신증]](glomerulonephropathy) * [[외상(의학) #s-3.2.7|외상]] * 과다한 운동 - [[마라톤]] 등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 * 전신병(systemic disease) - [[루푸스]], [[심장판막증|류마티스열]], 헤노호-쉰라인 자반증(HSP), [[베게너육아종증]](Wegener granulomatosis), [[굿파스쳐증후군]](Goodpasture syndrome), [[결절성 다발동맥염]](PAN) 등 * [[겸상 적혈구 증후군]](SCA) * 약물로 인한 혈뇨 - cyclophosphamide, 항응고억제제, salicylate, sulfonamides[* 결핵약 중 하나인 Rifampin 복용으로 인해 소변이 붉게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체액이 붉게 변하다 보니까 소변이 붉게 보이는 것일 뿐이다.] * 진통제성신증(analgesic nephropathy) * [[다낭성 신종]](polycystic kidney disease) * 전립선 비대증(BPH) == 진단 == [[단백뇨]] 검사법과 매우 비슷하다. 혈뇨의 기본적인 검사법은 다음과 같다. 1. '''요 시험지 검사법(urine dipstic test)''' 2. '''요검사(urinalysis)''' - 요검사 중 특히 소변 침전물(urine sediment)의 결과가 중요하다. 또한 혈뇨와 [[단백뇨]]가 동시에 발견될 경우 [[사구체성신증|사구체신염]](GN)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농뇨(pyuria)가 발견될 경우 소변 배양(urine culture)을 시행하게 된다. 만일 요 시험지 검사법(dipstick)에서 혈뇨의 양성적인 결과가 발견됐으나, 요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날 경우 혈색소뇨(hemoglobinuria) 및 마이오글로빈뇨(myoglobinuria)를 의심하게 된다. 3. '''소변 샘플(urine specimen)''' - [[방광암]]의 유무를 확인한다. 암이 의심될 경우 방광내시경(cystoscopy)을 시행한다. 4. '''[[CT]] 스캔 및 신장 초음파검사''' - 신장결석, 종양, 요로관 협착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분류:질병]][[분류:출혈]][[분류:배설계 관련 질환 및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