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식이요법]][[분류:탄수화물]][[분류:당뇨병]][[분류:통계]] [목차] == 개요 == 혈당지수는 포도당 50g을 먹었을 때의 혈당이 상승한 면적(area under the curve : AUC)을 기준(100)으로 하여 각 음식에 들어있는 동일한 양의 탄수화물을 섭취했을 때의 혈당 반응면적을 비교한 값이다. 혈당지수가 55 이하일 때 저 혈당지수, 56~69이면 중 혈당지수, 70 이상이면 고 혈당지수 식품으로 분류된다. ||혈당지수 = 식품 섭취 후 평균 혈당반응면적/포도당 용액 섭취 후 평균 혈당반응면적 ×100|| 혈당지수의 결점을 보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GL|혈당부하지수]](Glycemic Load)가 있다. 혈당지수에 평소 해당 식품을 얼마나 많이 먹느냐를 반영한 값이다. 즉,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이라 하더라도 섭취량이 적으면 혈당부하지수는 낮으며 혈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 혈당부하지수는 10 이하, 중 혈당부하지수는 11~19, 고 혈당부하지수는 20 이상으로 구분한다. ||혈당부하지수 = 식품 섭취 후 평균 혈당반응면적/포도당 용액 섭취 후 평균 혈당반응면적 × 1회 섭취분량에 함유된 탄수화물 양|| ||혈당부하지수 = (혈당지수 × 1회 섭취분량에 함유된 탄수화물 양) ÷ 100|| 당류 중 GI수치가 가장 낮은 것은 [[타가토스]]3. [[http://en.wikipedia.org/wiki/Tagatose|위키피디아 항목]] 감미도, 용해도가 [[설탕]]68과 유사해서 설탕의 대체제로 기대된다. == 목록 == 출처 : [[http://www.rda.go.kr/download_file/act/bookcafe069.PDF|혈당지수와 혈당부하지수. 농촌진흥청, 경희대학교, 2015]] || 식품 || GI || GL || 포도당 50g 분량 || 1회 분량 || 비고 || || 포도당 || 100 || || 쌀밥 || 69.9 || 51.2 || 143.3 || 210 || || 쌀죽 || 92.5 || 25.8 || 447.7 || 250 || || 백설기 || 80.7 || 40.8 || 93.8 || 95 || || 가래떡 || 50.6 || 40.5 || 81.3 || 130 ||[* 압출 성형 과정에서 전분입자의 치밀도가 높아져 전분분해효소의 작용이 어려워져 백설기보다 낮다.] || || 쌀튀밥 || 72.4 || 16.1 || 56.2 || 25 || || 쌀국수면 || 52.2 || 30.1 || 156 || 180 || || 찹쌀밥 || 75.7 || 71.6 || 111.1 || 210 || || 찹쌀경단 || 96.9 || 29.1 || 100 || 60 || || 보리밥[br]100% || 35.4 || 21.5 || 173.1 || 210 || || 보리튀밥 || 63.3 || 13.8 || 57.4 || 25 || || 보리[br]미숫가루 || 69.8 || 10.4 || 67 || 20 || || 찐옥수수 || 73.4 || 19.4 || 170.1 || 90 || || 옥수수죽 || 91.8 || 33 || 347.4 || 250 || || 강냉이 || 69.9 || 15 || 58.1 || 25 || || 찐감자 || 93.6 || 8.5 || 359.7 || 65 || || 구운감자 || 78.2 || 7.1 || 359.7 || 65 || || 감자떡 || 53.3 || 21.9 || 109.3 || 90 || || 감자튀김 || 41.5 || 10 || 238.5 || 115 || 지방이 전분 소화를 방해. || || 감자전 || 28 || 9.8 || 215 || 150 || || 찐고구마 || 70.8 || 15.5 || 160.3 || 70 || || 군고구마 || 90.9 || 19.8 || 160.3 || 70 || || 고구마튀김 || 57.7 || 12.1 || 107.4 || 45 || || 당면 || 60 || 10.6 || 56.8 || 20 || || 찐밤 || 57.8 || 2.1 || 134.8 || 10 || || 군밤 || 54.3 || 2 || 134.8 || 10 || || 삶은팥 || 26.5 || 1.8 || 73.1 || 10 || || 팥죽 || 38.5 || 16.7 || 247.9 || 250 || 설탕 무첨가 || || 찐호박 || 52.1 || 6.6 || 277.8 || 70 || || 호박죽 || 53 || 13.9 || 478.6 || 250 || 설탕 무첨가 || || 소면 || 49 || 33.5 || 65.8 || 90 || || 칼국수면 || 48.2 || 39.5 || 91.5 || 150 || || 수제비 || 50.2 || 41.2 || 91.4 || 150 || || 밀전병 || 57 || 16.6 || 102.8 || 60 || || 우동면 || 56.5 || 38.9 || 152.4 || 210 || || 스파게티면 || 55.3 || 32.4 || 72.5 || 85 || || 라면 || 49.3 || 44.6 || 72.3 || 130.8 || || 흰식빵 || 70.7 || 16.7 || 116.6 || 55 || || 호밀식빵 || 64.9 || 16.3 || 109.4 || 55 || || 쌀식빵 || 73.4 || 17.3 || 116.6 || 55 || || 카스텔라 || 59.9 || 13.1 || 114.2 || 50 || || 모닝빵 || 56.2 || 12.2 || 103.5 || 45 || || 메밀면 || 59.6 || 38.2 || 70.2 || 90 || || 메밀전병 || 49.9 || 8.8 || 169.4 || 60 || || 메밀묵 || 65.7 || 7.2 || 318.5 || 70 || || 도토리묵 || 71.7 || 6.9 || 361.2 || 70 || || 청포묵 || 55.1 || 1.9 || 443.2 || 30 || || 시리얼 || 51.6 || 13.8 || 56.2 || 30 || || 전곡시리얼 || 51.4 || 13.4 || 57.5 || 30 || || 콘플레이크 || 81 || || 현미밥 || 55 || || 페이스트리 || 59 || || 늙은호박 || 75 || || [[대두(콩)|대두]] || 18 || || 쥐눈이콩 || 42 || || 사과 || 38 || || [[배(과일)|배]] || 38 || || 포도 || 46 || || 파인애플 || 59 || || 수박 || 72 || || 우유 || 27 || || 밀크초콜릿 || 43 || || 아이스크림 || 61 || || 게토레이 || 78 || || 환타 || 68 || == 관련 문서 == * [[혈당]] * [[슈거 크래시]] * [[당뇨병]]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GI, version=115,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