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요 바예카노/간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922927954490.jpg|width=100%]]}}} || ||<-3> '''{{{#fff 라요 바예카노 No. 19}}}''' || ||<-3> '''{{{#e53027 {{{+1 호르헤 데프루토스}}} [br] Jorge de Frutos}}}''' || || '''본명''' ||호르헤 데 프루토스 세바스티안[br] Jorge de Frutos Sebastián || ||<|2> '''출생''' ||[[1997년]] [[2월 20일]] ([age(1997-02-20)]세) || ||[[스페인]] 나바레스 데 엔메디오 || || '''국적'''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스페인]] || || '''신체 조건''' ||173cm, 72kg || || '''포지션''' ||[[윙어]] || || '''유소년 클럽''' ||CDP 세풀베다 (2013~2014) [br] CD 칸탈레호 (2014~2015) [br] [[CF 라요 마하다혼다]] (2015~2016) || || '''소속 클럽''' ||[[CF 라요 마하다혼다]] (2016~2018) [br]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2018) [br] [[레알 마드리드 CF]] (2018~2020) [br]→ {{{-1 [[레알 바야돌리드 CF]] (2019~2020 / ^^임대^^)}}} [br]→ {{{-1 [[라요 바예카노]] (2020 / ^^임대^^)}}} [br] [[레반테 UD]] (2020~2023) [br] [[라요 바예카노]] (2023~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 국적의 축구선수. [[라요 바예카노]]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CF 라요 마하다혼다]] === CDP 세풀베다, CD 칸탈레호를 거쳐 [[CF 라요 마하다혼다]]의 유소년 팀에 입단했다. 그리고 2016-17 시즌을 앞두고 퍼스트 팀으로 콜업됐으며, 8월 20일에 [[세군다 디비시온 B]] 1라운드 세스타오 리버 클럽과의 경기에서 후반 18분에 교체투입되며 성인 무대에 데뷔했다. 10월 29일에는 제르니카 클럽을 상대로 성인 무대 첫 득점을 기록했다. 2017-18 시즌에는 주전 멤버로서 34경기동안 9골을 기록하며 팀의 [[세군다 디비시온]] 승격을 이끄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 [[레알 마드리드 CF]] === 2018년 5월 1일, 그는 마하다혼다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레알 마드리드]]와 계약한다. 그리고 7월 1일, 정식으로 팀에 입단했다. 오자마자 그는 3부리그의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카스티야]]로 배정되어 해당 시즌에 37경기동안 7골 5어시스트를 기록했다. ==== [[레알 바야돌리드 CF]] (임대) ==== 2019-20 시즌을 앞두고 [[라 리가]]의 [[레알 바야돌리드 CF]]와 임대 계약을 맺으며 상위 리그에서 데뷔할 기회를 가지게 됐다. 그리고 10월 29일, [[아틀레틱 빌바오]]를 상대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그러나 이후 2경기 출전에 그치며 바야돌리드에서 총 3경기 출전에 그쳤다. ==== [[라요 바예카노]] (임대) ==== 2021년 1월 17일, 바야돌리드에서 출전 기회를 많이 잡지 못하며 이번에는 [[라요 바예카노]]로 임대를 떠났다. 바예카노에서는 정기적인 출전 기회를 부여받으면서 라리가 승격에 기여했다. === [[레반테 UD]] === 임대를 마치고 복귀한 데프루토스는 [[레반테 UD]]와 5년 계약을 채결했다. 시즌 초에는 서브 멤버로 시작했으나 12라운드 [[헤타페 CF]]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1골 1어시를 기록하며 맹활약했고, 팀의 3:0 승리를 이끌게 된다. 이 경기 계기로 팀의 주전으로 도약했으며, 4경기 연속 어시스트를 기록하는 등 발군의 기량을 선보였다. 이후에도 맹활약하며 [[호세 캄파냐]]와 함께 팀의 에이스로 거듭났고, 시즌 동안 37경기를 출장하여 4골 9도움으로 [[마르코스 요렌테]], [[카림 벤제마]]와 함께 리그 전체 도움 공동 3위을 기록하며 이적생으로서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1-22 시즌, 팀이 극심한 부진을 겪는 와중에도 데프루토스는 4골 7도움으로 훌륭한 활약을 보여주며 유일하게 제 몫을 해주고 있었으나, 2022년 3월 24일에 부상으로 시즌 아웃이 되었다. 핵심 선수를 잃은 레반테는 끝내 2부리그로 강등되었다. === [[라요 바예카노]] === 2023년 8월 17일, [[라요 바예카노]]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8M이며 계약 기간은 5년. == 플레이 스타일 == 뛰어난 개인기를 가진 [[플레이메이커]] 유형의 선수로, 레반테에서는 그간 보기 드물었던 유형의 선수다. 준수한 체격조건과 정교한 테크닉을 갖추고 있으며, 기본기뿐만 아니라 화려한 발재간까지 갖췄다. 때문에 탈압박부터 돌파, 패스, 슈팅, 심지어 축구지능까지 다 갖췄다고 평가받는다. 스타일상 팀의 공격을 본인이 이끌때 파괴력이 올라오며, 공격 포인트 생산력도 올라간다. 그래서 보통은 공격형 미드필더 또는 왼쪽 윙어로 나온다. 공격 시 뛰어난 드리블 능력을 바탕으로 공을 운반한 뒤 창의적으로 결정적인 패스를 전달하는 플레이를 선호한다. 자신의 뛰어난 개인 능력을 통해 상대 박스 근처까지 볼을 몰고 올라가 상대 수비를 자신에게 집중시키고, 자신에게 붙어있는 수비수들의 밸런스를 무너뜨린 뒤 비어있는 동료에게 볼을 연결하여 찬스를 만들어내는 플레이가 주 특기다. 순간적인 폭발력[* 데프루토스의 최고 속도는 35.1km로 발이 빠른 편이지만, 가속도 부분은 아쉬운 편이다.]을 통한 드리블 돌파보다는 좋은 위치에 있는 동료에게 결정적인 패스나 크로스를 연결하는 모습을 주로 보여준다. 그래서 무리하지 않고 적절한 타이밍에 간결하게 공을 처리하며, 레반테 이적후부터 공격적으로 많이 기용되면서 골 결정력도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발 감각과 킥력도 좋은 편이라 중거리슛이나 엄청난 감아차기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 경혐이 쌓이면서 단점은 보완되고 장점은 더욱 가다듬어 언급했듯이 완전체로 꼽히지만, 그럼에도 굳이 약점을 뽑자면 데프루토스의 플레이가 팀의 공격 템포를 떨어지게 만든다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 것이다. 간결하게 플레이해야 할 땐 하는 선수이긴 하지만 데프루토스는 기본적으로 볼 소유 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을 선호한다. 이로 인해 역습 상황 후방에서 한 번에 전방으로 찔러주는 시원한 롱패스나 원터치 패스로 공격이 전개되지 못하고 공격 템포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직접 공을 운반하는 플레이를 선호하기 때문에 체력 소모가 심해 경기 후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아무래도 공격적 성향이 강한 선수라서 수비 스킬은 능력은 부족하다. 무리한 태클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아 위험한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 또 하나의 단점이라면 온더볼 상황이건 오프더볼 상황이건 무조건 측면으로 피하는 지나치게 경향이 심하다. 현세대 공격형 미드필더들 성향을 가진 선수들이 중앙 지역에서 많은 수비 숫자를 뚫어내거나 강력한 압박에 버틸 능력이 부족하면 보이는 흔한 문제점 중 하나로, 팀 전체의 위치 선정과 전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툭히 선수 하나하나의 동선과 연계를 중시하는 [[파코 로페스]]의 레반테에서는 이런 단점이 더욱 부각되었다. == 같이보기 == [include(틀:라요 바예카노)] [[분류:1997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세고비아주 출신 인물]][[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분류:CF 라요 마하다온다/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은퇴, 이적]][[분류:레알 바야돌리드 CF/은퇴, 이적]][[분류:라요 바예카노/은퇴, 이적]][[분류:레반테 UD/은퇴, 이적]][[분류:공격수]][[분류:라요 바예카노/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