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호위함)] |||||| 세계의 군함 생산 동향 || ||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 '''호위함/국가별 생산 동향''' || [[구축함/국가별 생산 동향]] || [목차] == 개요 == [[2014년]] 기준으로 비교하면 근 6년 동안 호위함을 가장 많이 생산한 국가는 중국이다. == [[아시아]] == === [[동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 |||||||| [[2008년]] 이후, 한중일 3국의 호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2009년]] [[2월]] || || ||运城/Yuncheng([[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09년]] [[4월]] || || ||玉林/Yulin([[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09년]] [[11월]] || || ||益阳/Yiyang([[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0년]] [[5월]] || || ||常州/Changzhou([[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0년]] [[8월]] || || ||烟台/Yantai([[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1년]] [[4월]] ||인천([[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盐城/Yancheng([[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1년]] [[5월]] || || ||衡水/Hengshui([[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2011년]] [[12월]] || || ||柳州/Liuzhou([[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 ||临沂/Linyi([[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2년]] [[5월]] || || ||岳阳/Yueyang([[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2년]] [[7월]] || || ||潍坊/Weifang([[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2년]] [[11월]] || || ||三亚/Sanya([[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3년]] [[4월]] || || ||扬州/Yangzhou([[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3년]] [[7월]] ||경기([[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 || ||<|2>[[2013년]] [[9월]] || || ||黄石/Huangshi([[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 ||三门峡/Sanmenxia([[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3년]] [[11월]] ||전북([[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 || ||[[2014년]] [[7월]] || || ||黄冈/Huanggang([[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2014년]] [[8월]] ||강원([[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 || ||[[2016년]] [[6월]] ||대구([[인천급]] Batch-2([[대구급]]); 만재 3,650 톤) || || || ===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생산 === |||||||||||||| [[2008년]] 이후,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진수/인수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인도네시아]] || [[태국]]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베트남]] || ||[[2010년]] [[12월]] || || || || ||Dinh Tien Hoang([[게파르트급]]; 1,930 톤) || ||[[2011년]] [[3월]] || || || || ||Ly Thai To([[게파르트급]]; 1,930 톤) || ||[[2011년]] [[5월]] || || || ||Gregorio del Pilar([[헤밀턴급]][* http://en.wikipedia.org/wiki/Hamilton_class_cutter]; 3,250 톤) || || ||[[2012년]] [[5월]] || || || ||Ramon Alcaraz([[헤밀턴급]]; 3,250 톤) || || === [[남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 |||||||||| [[2008년]] 이후, 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진수/인수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2008년]] [[4월]] || ||Zulfiquar([[줄피쿠아르급 호위함|줄피쿠아르급]][* http://en.wikipedia.org/wiki/F-22P_Zulfiquar_class_frigate]; 3,144 톤) || || ||[[2008년]] [[10월]] || ||Shamsheer([[줄피쿠아르급 호위함|줄피쿠아르급]]; 3,144 톤) || || ||[[2009년]] [[5월]] || ||Saif([[줄피쿠아르급 호위함|줄피쿠아르급]]; 3,144 톤) || || ||[[2009년]] [[11월]] ||Teg([[탈와르급]]; 4,035 톤) || || || ||[[2010년]] [[6월]] ||Tarkash([[탈와르급]]; 4,035 톤) || || || ||[[2010년]] [[8월]] || ||Alamgir([[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4,200 톤) || || ||[[2011년]] [[5월]] ||Trikand([[탈와르급]]; 4,035 톤) || || || ||[[2011년]] [[6월]] || ||Aslat([[줄피쿠아르급 호위함|줄피쿠아르급]]; 3,144 톤) || || ||[[2013년]] [[5월]] || || ||Somudro Joy([[헤밀턴급]]; 3,250 톤) || ||<|2>[[2013년]] [[12월]] || || ||Abu Bakar[* http://en.wikipedia.org/wiki/BNS_Abu_Bakar]([[지앙후급]]; 2,393 톤) || || || ||Ali Haider([[지앙후급]]; 2,393 톤) || == [[유럽]] == ===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 |||||||||||||| [[2008년]] 이후,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 [[스페인]] || [[러시아]] || ||[[2010년]] [[4월]] || ||Aquitaine([[아키텐급]]; 6,000 톤) || || || || ||[[2010년]] [[10월]] || || || ||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4,550 톤) || ||[[2010년]] [[11월]] || || || ||Cristóbal Colón([[알바로 데 바잔급]]; 6,391 톤) || || ||[[2011년]] [[7월]] || || ||Carlo Bergamini([[베르가미니급]]; 6,900 톤) || || || ||[[2012년]] [[3월]] || || ||Virginio Fasan([[베르가미니급]]; 6,900 톤) || || || ||[[2012년]] [[10월]] || ||Normandie([[아키텐급]]; 6,000 톤) || || || || ||[[2013년]] [[6월]] || || ||Carlo Margottini([[베르가미니급]]; 6,900 톤) || || || ||[[2013년]] [[9월]] || ||Provence([[아키텐급]]; 6,000 톤) || || || || ||[[2014년]] [[3월]] || || ||Carabiniere([[베르가미니급]]; 6,900 톤) || ||Admiral Grigorovich([[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4,035 톤) || ||[[2014년]] [[7월]] || ||Languedoc([[아키텐급]]; 6,000 톤) || || || || === [[북유럽]], [[중부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 |||||||||||||| [[2008년]] 이후, 북중유럽 5국의 호위함 진수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독일]] || [[폴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스웨덴]] || ||[[2009년]] [[2월]] || || ||Thor Heyerdahl([[프리드요프 난센급]]; 5,290 톤) || || || ||[[2010년]] [[3월]] || || || ||Iver Huitfeldt([[이버 후와이츠필트급]][* http://en.wikipedia.org/wiki/Iver_Huitfeldt-class_frigate]; 6,645 톤) || || ||<|2>[[2010년]] [[12월]] || || || ||Peter Willemoest([[이버 후와이츠필트급]]; 6,645 톤) || || || || || ||Niels Juel([[이버 후와이츠필트급]]; 6,645 톤) || || ||[[2013년]] [[12월]] ||Baden-Württemberg([[바덴-뷔르템베르크급 호위함|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 || || ||[[2015년]] [[4월]] ||Nordrhein-Westfalen([[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 || || ||[[2016년]] [[3월]] ||Sachsen-Anhalt([[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 || || ||[[2017년]] [[5월]] ||Rheinland-Pfalz([[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 || || == 관련 항목 == * [[호위함/배수량별 목록]] [[분류:호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