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1489 제2차 세계대전기 프랑스 기갑차량}}}'''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float: left; margin-top: -23px"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height=15px]]]]}}}{{{#!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float: right; margin-top: -23px" [[자유 프랑스|[[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height=15px]]]]}}} ||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2차 세계대전/프랑스 기갑차량)]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자유 프랑스 기갑차량)] ---- [include(틀:2차 세계대전/비시 프랑스 기갑차량)]}}} || ||
[[파일:Hotchkiss_H-39_in_the_Musée_des_Blindés.jpg|width=100%]] || || '''Char léger modèle 1935 H / Char léger modèle 1938 H / Char léger modèle 1939 H''' || [목차] == 개요 == ||
[Youtube(sudmL3Qlrb0)] || || '''H35/H39 기동 영상''' || 전간기 [[프랑스]]에서 개발한 [[순항전차|경기병전차]]. 흔히 호치키스로 알려져 있는데, [[프랑스어]] 표기법상 '''오'''치키스가 정확하다. == 개발사 == 1933년 [[프랑스 육군]] 보병부대는 [[보병]]에게 화력지원을 해줄 [[경전차]]를 찾고 있었고 호치키스 사에서 전차 경합을 제안한다. 호치키스는 자사를 포함해 르노, 그리고 FCM에게 각자 전차의 시제품을 만들게 하자고 요청했으나, 이후 FCM 사가 개발을 연기하면서 군부는 나머지 둘 중 더 나은 쪽을 택할 생각이었고 프랑스 육군은 두 시제품 사이에서 H35가 약간 더 무겁지만 보병을 따라다니며 지원하는 용도로 좀 더 낫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실제 테스트 결과 H35는 험지에서 조종이 어려워서 잘못하면 좌우로 갈짓자로 움직일 위험이 있었다. 당시 프랑스 육군 보병부대는 이 전차를 보병과 함께 다니던 전차로 쓸 생각이었는데, 만약 이렇게 갈짓자로 움직이다가는 옆에 있던 아군 보병을 깔아뭉개버리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었고, 거기다 르노 사의 열정적인 로비도 있어서 프랑스 육군 보병부대는 H35를 채택하려던 것을 뒤집고 R35를 택했다. 허나 이후 1936년 프랑스 [[기병|기병대(기갑수색대)]]가 H35를 채택하게 되는데, H35가 비록 험지에서는 조종이 까다롭지만 도로 위에서는 멀쩡하게 잘 달리는데다가 R35보다 주행속도도 더 빨랐기 때문이었다. 프랑스 기병대는 주로 도로 위에서만 작전할 일이 더 많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H35를 더 좋게 여겼다. 1938년부터 더욱 강력한 엔진을 장착한 개량형인 H38이, 1939년부터는 개량형 37mm 장포신 주포를 탑재하여 향상된 H39가 제작되었다. 나치 독일의 팽창과 위협에 대응하여 적어도 4천 대 이상이 생산되어 기병대와 보병대로 보내질 예정었다. 하지만 [[프랑스 침공]] 때문에 1940년 6월 아류형의 총 생산은 1200대로 제한되었다. == 제원 == ||
중량 ||10.6t || || 전장 ||4.22m || || 전폭 ||1.95m || || 전고 ||2.15m || || 승무원 ||2명 (전차장, 조종수) || || 주무장 ||[[퓌토 SA 18|SA18]] 37mm 전차포 (76발) || || 부무장 ||7.5mm [[레이벨 기관총|MAC 31]] (2400발) || || 장갑 ||22~34mm / 포탑 25~45mm || || 엔진 ||6기통 가솔린 엔진 (78hp) || || 현가장치 ||수평 나선형 스프링 || || 출력비 ||7.1hp/t || || 속도 ||28km/h || == 파생형 == === 프랑스 === ==== 현대화 개수형 ==== ==== H38 ====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f918d1c91396cdafc6efd436efea2c6.jpg|width=100%]] || || '''H38''' || ==== 무장 교체 파생형 ==== ===== H39 ===== ||
[[파일:2019_-_Frankreichtour_2016_-_Saumur_(33020183605).jpg|width=100%]] || || '''H39''' || ||||
H39 제원 || ||장갑|| 차체 40mm 포탑 45mm(전면) || ||주포|| 37mm SA38 || === 나치 독일 === ==== Pz.Kpfw.39-H 735(f) ==== ||
[[파일:park_patriot_Pz.Kpfw. 39-H 735(f).jpg|width=100%]] || || '''Pz.Kpfw. 39-H 735(f)'''[* 사진의 차량은 독일국방군 제211기갑대대 소속 차량으로, 1944년 9월 핀란드 북부 카렐리야에서 소련군에게 노획되었다. [[치메리트]]를 적용하기도 했으나 소련군에 노획된 후 치메리트가 제거되었다.] || ==== 자주포 개수형 ==== ===== 게쉬츠바겐 39H(f)(Geschützwagen 39H(f)) ===== ||
[[파일:external/hsfeatures.com/h3975aj_16.jpg|width=100%]] || || '''7,5 cm PaK40(Sf) auf Geschützwagen 39H(f)''' || || [[파일:10.5_cm_leFH_18(Sf)_auf_Geschützwagen_39H_(f).2.jpg|width=100%]] || || '''10,5 cm leFH18(Sf) auf Geschützwagen 39H(f)''' || 노획한 H35, H39를 대전차 자주포로 개량한 것. 게쉬츠바겐의 뜻은 대포 차량(Geschütz + Wagen). 10.5cm의 포를 낀 자주포도 존재한다. [[마르더]] Ⅱ와 [[마르더]] Ⅲ가 필요시 차체에 소련군의 포를 급조해서 전투에 활용한 것처럼 게쉬츠바겐도 서부전선에서 각종 연합군 포부터 [[동부전선]]에서 넘어온 소련군 포까지 얹어놓았다. 대부분 쓰인 급조형 게쉬츠바겐의 표준 포는 명확하진 않으나 일단 75mm 포를 실었다고 나온다. 서부전선에서 대전차 화력 보조용과 땜빵용으로도 쓰이고 여기에 동부전선까지 끌려가거나 북아프리카도 갔다오며 추축국들에게 여러대가 공여되었다. ==== 장비 추가 파생형 ==== ===== 부르프라멘 35H(f)(Wurfrahmen 35H(f)) ===== ||
[[파일:6bd81b2235a68e870f7d932284e53164.jpg|width=100%]] || || '''Panzerkampfwagen 35H (f) mit 28/32 cm Wurfrahmen''' || [[독일국방군]] 21기갑사단 소속 알프레드 베커 [[소령]]이 H35, H38, H39를 개조해서 만든 차량이다. 장착된 로켓은 280mm, 320mm [[네벨베르퍼 다연장로켓]]이 장착되었고 해당 전차는 1944년 동부 전선과 [[노르망디]]에서 독일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 Panzerbeobachtungswagen 38H(f) ===== ||
[[파일:hotchkis_beo.jpeg.jpg|width=100%]] || || '''Panzerbeobachtungswagen 38H(f)''' || 알프레드 베커 소령이 H35, H38로 만든 포병관측차량. == 실전 == === [[제2차 세계 대전]] === ==== [[서부전선]] ==== ===== [[프랑스 침공]] ===== R35와 H35 두 전차 모두 실제 독일과의 전쟁에서는 그리 좋은 평가를 못 받았고, 독일군은 프랑스가 항복한 후 [[프랑스군]]을 무장해제하는 과정에서 입수한 H35와 R35를 2선급 제식 전차로 채용하였다. 나치 독일은 이 전차들을 직접적인 전투에 운용하거나 정찰용, 지휘용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독일군에 노획된 전차들은 점령지 경비 또는 2선 부대용 차량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일부 차량은 개조를 통해 탄약운반차량, 포병관측차량, 자주포, 로켓 발사대 탑재차량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 [[노르망디 상륙작전]] =====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프랑스에 주둔하던 독일 기갑사단이 운용했다. 보병사단에도 몇개 배치되었다고 한다. ==== [[이탈리아 전선]] ==== [[이탈리아 전선#s-2|이탈리아 상륙작전]] 중 노획된 호치키스를 비롯한 구형 전차 몇 대가 [[M4 셔먼]]과 전투를 벌였으나, 대부분 패퇴하였다. === [[냉전]] === ==== [[제1차 중동전쟁]] ==== 이스라엘군이 프랑스군의 중고 호치키스 전차들을 구입하여 귀중한 전차 전력으로 사용하였다. ==== [[1차 인도차이나 전쟁]] ==== 프랑스 극동원정군이 사용했다. 베트남의 지형은 땅이 물러서 경전차가 적합했는데, 미국이 제공한 M24 경전차 등이 도로사정상 활약한데 비해 비슷한 체급인 H39 전차는 현지에서 어땠는지 불명이다. == 운용국 == === [[유럽]] === ==== [[프랑스]] ==== 원조 사용국. ==== [[나치 독일]] ==== ==== [[스위스 연방]] ==== 프랑스 침공 당시 스위스로 탈출한 전차들을 압류함. === [[아시아]] === ==== [[이스라엘]] ==== == 미디어 == === 게임 === ==== [[월드 오브 탱크]] ==== ||
[[파일:external/wiki.gcdn.co/Hotchkiss_H35_scr_3.jpg|width=100%]] || || '''H35''' || || [[파일:external/wiki.gcdn.co/Pz.Kpfw._38H_735_%28f%29_scr_2.jpg|width=100%]] || || Pz.Kpfw. 38H(f) || 프랑스 경전차 2티어로 등장한다. 독일 버전 역시 2티어 경전차로 나온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게쉬츠바겐 39H(f)가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국방군|국방군]]의 [[4호 돌격포]]를 대체하는 보상용 유닛으로 나오고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전차군단|전차군단]]에서는 호치키스 경전차로 4호 보병지원전차를 대체하는 보상용 유닛으로 나온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 ==== 스틸 디비전 1에서는 독일군 진영 [[Steel Division: Normandy 44/롬멜의 서커스|21기갑사단]] 소속 포병 유닛으로 나온다. 양 옆에 30cm 네벨베르퍼 로켓을 장착한 포격 유닛이다. [[스틸 디비전 2]]에서는 독일군, 루마니아군, 유고슬라비아군이 노획전차로 소수 사용한다. [[1944년]] 시점인 시리즈라 장갑차나 보병 정도만 제압 가능한 하급 전차다. ==== [[워 썬더]] ==== 프랑스 1랭크 예비장비로 H39가 나오며 2랭크를 뚫으면 주는 히든장비로 H35가 나온다. == 모형 ==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스위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폴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크로아티아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헝가리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터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경전차]][[분류:순항전차]][[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프랑스군/기갑차량]][[분류:독일 국방군/기갑차량]][[분류:이스라엘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