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호쿠토 베가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2px" [include(틀: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 [include(틀: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kuto Vega.jpg|width=100%]]}}} || ||<-2> 이름 || ホクトベガ[br]Hokuto Vega || ||<-2> 출생 || [[1990년]] [[3월 26일]] || ||<-2> 죽음 || [[1997년]] [[4월 3일]] (7세)[* 당시 기준으로 8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나구르스키(Nagurski) || ||<-2> 어미 || 타케노 팔콘(タケノフアルコン) || ||<-2> 외조부 || 필립 오브 스페인(Philip of Spain) || ||<-2> 생산자 || 사카이 목장 || ||<-2> 마주 || 카나모리 모리 상사 || ||<-2> 성적 || 42전 16승 (16-5-4-17)[br]32전 7승[*중앙][br]9전 9승[*지방][br]1전 0승[*UAE] || ||<-2> 총상금 || 8억 8216만 엔[br]4억 5716만 엔[*중앙][br]4억 2500만 엔[*지방] || ||<|4> 주요[br]우승 || G1 || [[엘리자베스 여왕배]] (1993) || || G2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1996) || || G3 || [[플라워 컵]] (1993)[br][[삿포로 기념]] (1993) || || 교류[br]중상[* 지방경마 그레이드제 도입 이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엠프레스배 (1995, 1996)[* 현재 Jpn2][br][[카와사키 기념]] (1996, 1997)[br]다이올라이트 기념 (1996)[* 현재 Jpn2, 다이올라이트는 일본 최초의 삼관마 [[세인트 라이트]]의 아비다.][br]군마 기념 (1996)[* 현재 폐지. 폐지되기 전까진 통일 G3][br][[제왕상]] (1996)[br][[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1996)[br]우라와 기념 (1996)[* 현재 Jpn2]}}} || ||<-2> 주요 수상 || 1996년 [[JRA상]] 최우수 더트 호스[br]1996년 NAR 그랑프리 특별 표창마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56 (1993)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90106608/|[[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235103/|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44160&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head=50&page=1|소개글]] 일본의 경주마. [[유키노 비진]], [[베가(말)|베가]] 등과 같은 93년 암말 클래식 세대의 암말로, 별명은 '모래의 여왕'이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나구르스키[br]{{{-2 Nagurski[br]1981}}}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2>'''[[니진스키 2|니진스키]][br]{{{-2 Nijinsky}}}'''[br]{{{-2 1967}}}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노던 댄서]][br]{{{-2 Northern Dancer}}}''' || ||플레이밍 페이지[br]{{{-2 Flaming Page}}}|| ||<|2>디싯[br]{{{-2 Deceit[br]196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프린스 존[br]{{{-2 Prince John}}}|| ||더블 에이전트[br]{{{-2 Double Agent}}}|| ||<|4>타케노 팔콘[br]{{{-2 タケノフアルコン[br]1982}}}||<|2>필립 오브 스페인[br]{{{-2 Philip of Spain[br]196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튜더 멜로디[br]{{{-2 Tudor Melody}}}|| ||레리다[br]{{{-2 Lerida}}}|| ||<|2>쿨 페어[br]{{{-2 クールフェアー[br]1978}}}||옐로 갓[br]{{{-2 Yellow God}}}|| ||샤크스킨[br]{{{-2 Sharkskin}}}|| ||<-3>* -|| 아비인 나구르스키는 비록 G3 우승마에 불과했지만 명종마 [[니진스키 2]]와 미국의 암말 더트를 휩쓸었던 디시트 사이의 자식으로 나쁘기는 커녕 상당히 좋은 혈통이었다. 다만 더트 적성에 대한 기대치가 더 높은 편이라 잔디에 편중된 일본에서는 그리 인기가 많지 않았다. 어미인 타케노 팔콘은 6전 2승으로 1승 조건전 커리어에 이미 당시 일본에서도 한물 간 하이페리온 계열의 혈통인데다 명마를 찾아내려면 한참을 거슬러 올라가야되는 한마디로 내세울 거 전혀 없는 말. 혈통표만 본다면 아무리 좋게 봐줘도 운좋게 중앙 데뷔 성공해야 더트 조건전 좀 뛰다가 번식하러 가야될 견적이었다. 거기에 덩치만 크고 키는 높은데 다리는 가늘고 길었다고 하니, 글로만 봐서는 마주가 도대체 이 망아지를 왜 샀는지 모를 일. 하지만 마주도 마주의 부인도 한눈에 보고 마음에 쏙 들어했다는 걸 보면, 역시 사람이든 말이든 인연이 있는 모양이다. == 생애 == === 데뷔 전 === 혈통은 대단찮지만 암말 같지 않은 장대한 체격과 다리가 길고 체고가 높은 체형이 마주의 맘에 쏙 들어 선택되었다고 한다. 좀 더 정확하게 마주의 변을 옮기자면 '어떤 논리적인 이유보다는 그냥 한눈에 마음에 들었다'라고 한다. 마주인 모리 시게루는 전해에 사카이 목장에서 호쿠토 베가의 한살 위 전형제 호쿠토 선버스트도 구매했었다. 이쪽은 마체는 정말 완벽에 가까웠던 말이었는데, 성적은 딱 조건전 뛰다가 은퇴한 말로 중앙 11전 2승, 총 상금 1,973만엔. 지방 7전 3승, 352만엔이었다. 호쿠토 베가는 사카이씨가 다시 한번 호쿠토 선버스트 같은 멋진 마체의 배합을 노리고 동일 교배를 반복한 결과로, 상기했듯 마체 밸런스가 좋지 않아서 사카이씨를 낙담시켰다고 한다. 국내에는 호쿠토 선버스트로 그럭저럭 재미를 본 마주 모리씨가 딱 그 정도만 해줘도 만족이라는 생각으로 호쿠토 베가를 구매했다는 썰이 퍼져있지만, 따져보면 마주가 호쿠토 베가를 구매했을 때는 아직 호쿠토 선버스트는 데뷔도 안했을 시기다. 역시나 어떤 논리보다는 그냥 인상에 의한 충동구매라는 게 맞을 것이다. 관명인 호쿠토는 북두(北斗)라는 뜻이고 [[베가(말)|베가]]는 여름 하늘에 뜨는 별이라 묘한 이름인데, 12000년 전에는 베가가 북극성이었다는 이유로 이런 이름이 되었다는 야사가 있다. 2세때부터 히다카초의 판타스트 클럽에서 훈련을 시작하지만, 덩치만 컸지 힘이 전혀 없었기에 훈련도 제대로 못했다고 한다. 이 당시에는 마주인 모리씨도 '이 말은 경주마로 데뷔를 못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고. 하지만 이후 나카노 타카오[* [[그린 그래스]]의 조교사였던 나카노 요시타로의 아들] 조교사의 마방에 들어가고 조교를 거듭하면서 차근차근 기초를 쌓아나간다. === 잔디 시절 === [include(틀:1993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키만 큰 멀대를 경주마로 만들려니 조교 마무리에 시간이 걸려서, 데뷔는 좀 늦은 4세(현 3세) 시즌의 1월. 애초에 더트 적성이 기대되는 혈통이었기에, 첫 데뷔는 더트에서 치뤘는데 2착과 무려 9마신의 차이를 벌리는 대승을 거둔다. 두번째로 출주한 1승 조건전 슈치쿠(朱竹)상에서는 [[타케 유타카]]가 타고 도주한 사이쿄 호잔과 처음부터 끝까지 나란히 달렸지만 불량 마장이 발목을 잡았는지 끝내 반마신의 차이를 따라잡지 못하고 2착. 하지만 그 뒤의 3착과의 거리는 또다시 9마신차. 세번째 출주였던 카틀레야상에서는 2착과 3마신차로 가볍게 우승. 이 말은 더트 조건전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한 나카노 조교사는 잔디에도 올려보기로 하고 그렇게 도전한 것이 암말 삼관의 전초전인 G3 플라워컵. 그리고 여기서 반마신차의 승리를 거두며 첫 중상 트로피를 들어올린다. 그것도 더트가 아닌 터프에서. 수득상금도 채웠겠다 내친김에 암말 삼관에도 도전장을 던지지만, 이와테의 시골처녀 [[유키노 비진]]과 샤다이의 로열 블러드 [[베가(말)|베가]]가 치고 받으며 모든 주목을 다 가로채가는 가운데, 오카상 5착, 오크스 6착에 머무른다. 참고로 이때 [[베가(말)|베가]]와 유키노 비진에 이어 두 경기에서 다 3착을 했던 말은 호쿠토 베가와 같은 목장의 동기마이면서 훗날 호쿠토 베가를 뒤따르듯 출산 후 세상을 떠나는 또다른 비극의 히로인 맥스 졸리.[* [[맥스 뷰티]]가 낳은 자마 중 유일한 암말이다. 맥스 졸리가 유일하게 남긴 뷰티 송이 암말이라 모계는 아직 사카이 목장에서 이어지고 있다. 사카이 목장의 말의 위령을 비는 마령비(馬靈碑)에는 호쿠토 베가와 맥스 졸리의 이름이 나란히 새겨져 있다.] || [youtube(775rJE25XOc)] || || 1993년 [[엘리자베스 여왕배]] 영상 || 여름을 휴양하고 가을로 복귀해서도 G3 퀸 스테이크스에서 2번 인기로 2착, G2 로즈 스테이크스에서도 3번 인기로 3착. 기대 이상의 저력을 뽑아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호쿠토 베가는 결국 당시 암말 삼관의 마지막 관문이었던 엘리자베스 여왕배에 9번 인기로 출주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기에서는 뭔가가 폭발했던 것인지 기존의 잔디 경기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인코스를 파고들며 마지막 직선을 시원하게 뻗어나와서, "베가는 베가지만 호쿠토 베가입니다!"라는 명실황과 함께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모처럼 G1 타이틀을 걸머쥐었어도 이후의 전개가 생각처럼 잘 풀리지는 않았는데, 직후의 OP 터쿼이즈S에서 유키노 비진에서 패배하며 3착을 하더니, 그 다음의 G3 헤이안S 에서는 계속 잔디에서만 뛰다보니 더트에서 뛰는 법은 까먹었다고 자랑하고 싶었던건지 10착, G3 나카야마 암말S 에서도 4착, G2 게이오배 스프링컵에서는 5착. G1 타이틀을 딴 후 늘어난 근량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스퍼트까지 가면 힘이 빠진 모습을 보인다. 평범한 선행-선입으로는 답이 없다고 판단했는지, 도주에 가까운 강선행 포지션으로 변경하여 OP 삿포로 닛케이 오픈과 G3 삿포로 기념에서 우승을 챙겼지만, 그 다음에는 다시 3-9-6-5착으로 시원찮은 결과를 남기며 5세(현 4세) 시즌을 끝내게 된다. === 장애물 전향 시도 === 애초에 조건전 좀 뛰다가 번식하러 갈 예정이었던 말이 운좋게 G1 타이틀도 딴 상태인데, 그 후 다시 성적도 시원찮고 딱히 앞으로 극적으로 개선될 플랜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럼 5세(현 4세) 시즌의 끝은 은퇴하고 번식마로 전환하기 딱 좋은 타이밍이었지만 나카노 조교사는 은퇴가 아니라 장애물 경주 훈련을 시작한다. 이 이해하기 힘든 선택의 내막은 당시 나카노 마방에서 맹활약 중인 다른 암말, [[히시 아마존]]이 마방에선 1살 언니인 호쿠토 베가와 친해서 찰싹 달라붙어 어리광을 부리는 사이니 호쿠토 베가를 덜컥 은퇴시켰다가 히시 아마존의 멘탈에 영향이 갈까 두려워서 억지로 붙잡으려고 한 거라는 설이 있다. 아무튼 G1마가 장애물 전향을 준비하는 이 상황에 '호쿠토 베가의 연인'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호쿠토 베가를 아끼던 구무원 후지이 히로가 반발해 말렸으나 나카노 조교사는 아랑곳않고 훈련을 진행 시켰고 이에 후지이는 마주에게 편지를 써 이 사실을 직소하는 보기 드문[* JRA엔 마주의 과도한 간섭을 막기 위해 마주가 조교사, 기수, 구무원 등의 마방 인원들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이 있다.] 해프닝이 일어난다. 이 소식을 들은 마주 입장에서도 어처구니가 없는 얘기. 당연히 맹반대를 했고, 조교사 역시 자기가 아쉬워서 붙잡는 판(추정)이니 강하게 밀어붙이지도 못하고, 결국 이후 경주의 성적을 보고 장애물 전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물러난다. 그렇게 95년도의 첫 경주로 선택된 아메리카 저키 클럽컵. 기존의 잔디 경주들과 다르게 마치 93년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그랬던 것처럼 마지막 스퍼트를 쭉쭉 뻗어나오더니 선두와 목차이의 2착으로 들어온다. 그리고 이후의 경주들에서도 기존의 주행과는 다르게 호성적을 거두니 장애물 전향은 이제 완전히 없던 일이 됐다. === 더트 전향 === 하지만 호성적은 호성적이고, G1 타이틀마가 계속 G2, G3의 2착 3착만 가지고 좋아할 수도 없는 일이라 이 말은 다시 돌고 돌아 더트에 도전하게 된다. 애초에 원래 기대했던 적성은 더트이기도 했으니까. 아무튼 95년 암말 한정 더트 교류 중상[* 95년부터 도입된 중앙의 말이 참가가 가능한 지방의 중상 경주. 완전히 새로 생긴 경주가 아니라 원래 지방의 유서있는 경주들이 교류 중상으로 선정, 그레이드 등급도 조정됐다.] 대회인 엠프레스 배에 나가는데 호쿠토 베가는 여기서 '''18마신''' 차이라는 압도적인 힘을 보이며 우승한다. 비에 의해 진흙탕 꼴이 난 중마장따윈 아랑곳 않고 3코너 진입 시점부터 혼자서 쭉쭉 뻗어나가는 괴력을 보여주었다. 장애물 경주 훈련의 영향으로 앞, 뒷다리의 각력 불균형이 해소되면서 숨겨져 있던 더트 적성이 대폭발한 것. || [youtube(O2tF0IJ2s4I)] || || 1995년 엠프레스배 영상 || 그렇다고 바로 더트로 전향한 건 아니고 그 이후로도 95년에는 계속 잔디 노선에 도전하는데, 일본의 중앙 경마는 어디까지나 잔디가 메인이고, 이미 잔디 G1을 딴 경력도 있는데다, 더트에서 저런 폭발력을 보여줬으니 터프에서도 이제 잘 달릴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기대는 와르르 무너지고 마는데, 첫 경주인 G3 하코다테 기념에서부터 '더트에서 달리고 나니까 이제 터프에서 달리는 방법은 다 까먹었어요'[* 엠프레스 배 당시 상대가 전년도 우승자인 케이에프 넵튠, 다이올라이트 기념 우승마 아쿠아 라이덴, 가와사키에서 7연승을 달리던 머핀 등 실력 있는 말들이긴 했지만, 애초에 일본은 더트가 2군 경기 취급인데다 지방과 중앙의 수준 차이를 생각하면 호쿠토 베가가 강함과는 별개로 저정도 마신차를 냈던 건 암말 한정 경주 + 불량 마장 + 중앙-지방 경주마 간의 수준 차이 때문이라고 폄하받기 좋은 상황이였다.]라고 말하기라도 하듯이, 예전처럼 막판 스퍼트에서 전혀 뻗어나가지 못하고 오히려 후속마들에게 줄줄이 추월당하며 11착을 찍더니, 11월에 G3 후쿠시마 기념 2착을 한 것 정도를 제외하면 그야말로 처참한 성적을 찍었던 것이다. 결국 다음 해인 96년부턴 완전히 더트 전문마로 전향한다. 암말 전용 대회였던 엠프레스 배와 달리 처음 출전한 가와사키 기념은 성별 제한이 없는 대회, 그리고 강한 다리 힘을 요구하는 더트 마장은 숫말이 강세라는 것이 정설이고, 96년 두바이 월드컵 출전 예정인 일본 최강의 더트마 라이블리 마운트[* 95년 페브러리S, 제왕상, 브리더즈 골드 컵,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우승마.]가 출주해 이전 18마신차의 임팩트에도 불구하고 2번 인기였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그 18마신이라는 임팩트가 너무나 선명해서 2번 인기라도 받았다고 볼 수도 있다. 엠프레스 배 이후 호쿠토 베가의 성적은 11, 7, 16, 2, 5착으로 빈말로라도 좋다고 말하기는 힘든 내용이었다.], 경기 결과는 2위와 '''5마신''' 차 1착, 숫말들을 거침없이 그야말로 작살을 내버린다. 이후 호쿠토 베가는 전국을 순회하며 교류 중상을 9연승으로 쓸어담는 활약을 시작한다.[* 96년 초부터 1년동안 가와사키 기념-페브러리 스테이크스-다이올라이트 기념-군마 기념-제왕상-엠프레스배-남부배-우라와 기념-가와사키 기념을 모두 우승했다. 96년에 기록한 연간 중상 8승은 오구리 캡과 공동 1위 기록이며, 저 사이에 진 경기라곤 팬 서비스에 가깝게 출주한 잔디 경기 엘리자배스 여왕배와 아리마 기념 뿐이었다.] 평소엔 손님이 없어 걱정인 지방 경마장들이 호쿠토 베가가 출전하는 경기만 열리면 수용인원의 2배에 가까운 관객이 몰릴 정도로 엄청난 인기[* 96년 제왕상 당시엔 오오이 경마장에 77,181명이, 일본에서의 라스트런이였던 가와사키 기념 때는 스탠드 개축 공사로 3만명을 수용할 수 있었던 가와사키 경마장에 59,000명이 입장했다.]를 끌었고, 이 활약을 펼치며 쌓은 수득 상금은 2009년 [[보드카(말)|보드카]]가 갱신할 때까지 암말 수득 상금 1위를 기록한다. === 두바이 원정과 비극적인 죽음 === 일반적이라면 94년을 끝으로 성적이 떨어지면 은퇴해서 번식 암말로 전환했어야 될 말이, 이런저런 사정으로 계속 미뤄지다보니 2년을 더 뛰게 되었지만, 이제는 어리광쟁이 [[히시 아마존]]을 위해서 조교사도 무리하게 더 붙잡을 필요가 없었고[* 정확히는 히시 아마존의 은퇴는 97년 4월에 했기에 이때까지도 아직 현역이었다. 다만 96년에는 이미 컨디션이 완전히 무너진 상태여서 성적이 전혀 안나오는 상황이었기에 히시 아마존을 배려해 호쿠토 베가를 무리시킬 이유가 없었다. 히시 아마존은 97년에도 경주를 계속하기 위해 훈련하던 중 굴건염이 발견되어 은퇴하는데, 마지막 경주는 호쿠토 베가와 함께 뛴 96년의 마무리 아리마 기념. 그리고, 히시 아마존의 은퇴가 발표된 4월 30일에는 이미 호쿠토 베가는 이세상에 없었다.], 마주도 호쿠토 베가의 활약에 만족해서 이제는 어여쁜 망아지를 볼 기대에 차 있으니 96년 아리마 기념을 끝으로 은퇴하려고 했으나, 어찌된 일인지 97년에도 은퇴하지 않고 두바이 월드컵 더트 일본 대표로 해외 원정을 떠나게 된다. 96년도 더트에서의 너무나 강렬한 활약으로 두바이 월드컵에 나갈만한 더트계의 유력마들을 작년의 전국 순회에서 죄다 해치워버린(...) 관계로 많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대표로 나가게 된 것. 거기에 더트에서 무적의 여왕으로 칭송받은 말이 잔디 경주인 아리마를 끝으로 은퇴하는 건 너무 매정하다는 여론도 있어서, 가와사키 기념을 일본에서의 마지막 경기로 삼고 두바이 월드컵을 끝으로 은퇴한 후 유럽으로 건너가 교배하고 일본으로 돌아온다는 플랜을 잡는다. 일본에서의 라스트런이 된 [[카와사키 기념]]에서는 무려 6만명의 관중이 몰려든 가운데 3마신 차이로 가볍게 우승, 교류중상 10승을 달성하고 곧바로 두바이로 날아가게 된다. 그러나 스탭들의 두바이 원정 노하우 부족으로 긴 장거리 수송과 두바이의 기후에 지친 호쿠토 베가는 발굽이 쪼개지는 병인 열제에 걸리고 체중도 떨어져 컨디션이 엉망이라 출주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위기를 겪지만 미국인 장제사 토드 보스턴의 도움으로 발굽 수복 처치를 받고, 또 현지에서는 수십년 만의 폭우로 경기가 연기 되면서 그 사이에 경마에 큰 애정을 가진 두바이의 당시 왕세제, 셰이크 무하마드[* 무하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현 두바이 에미르.]의 호의로 UAE 왕족 소유 경주마 관리단체 고돌핀의 시설에서 회복과 훈련을 거쳐 컨디션을 끌어올려 경기에 나서게 된다. 그러나 경기 중 실속한 앞의 말을 비껴가려다가 넘어지고 후속마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나 현장에서 안락사 처치를 받는다. 거기다 검역법 상의 문제로 시신조차 수습하지 못하고 현지에서 분쇄, 폐기처리. 갈기만을 잘라 가져가야 하는 비극을 당하고 말았다.[* 이후 [[메이세이 오페라]] 또한 똑같은 문제로 일본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씨수마 생활하던 한국에 매장되었고 갈기만이 일본으로 건너왔다.] 그리고 현재 기준으로 보면 중상 12승 그 중 G1 2승, Jpn1 4승으로 총 G1 6승이었겠지만 하필 시기가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G1 승격, 지방경마 그레이드제 도입 '''1년 전'''이었기에 중상 4승에 그 중 G1은 1승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일본 최강 더트마는 [[쿠로후네(말)|쿠로후네]], [[카네 히키리]], [[버밀리언(말)|버밀리언]] 등이 있으니까 무리더라도 일본 최강의 더트 암말인것은 틀림없다. == 기타 == * 호쿠토 베가를 기리기 위해 [[카와사키 경마장]]은 1998년부터 97년에 신설한 암말 한정의 교류 중상 스파킹 레이디 컵을 '스파킹 레이디 컵 호쿠토 베가 메모리얼'로 변경해 개최하고 있다.[* 카와사키 경마장엔 특정 말을 기념하여 이름붙인 경기가 몇 있는데 <농림수산대신상 엠프레스배 키요후지[* 1948년생 암말로, 지방 출신으로 중앙에 진출해 우준빈마(오크스)를 우승하는 등 18전 6승을 올리고, 다시 지방으로 돌아온 후에도 카이세츠 기념(현 카와사키 기념)을 우승하는 등 당대의 명암말 중 한마리였다.] 기념>과 <데일리배 [[로지타(말)|로지타]] 기념>, 그리고 이 <스파킹 레이디 컵 호쿠토 베가 메모리얼>의 3경기인데, '''이 3두의 말이 모두 암말이다'''. 덕분에 일본 경마팬들 사이에선 "암말의 카와사키 경마장"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을 정도라고.] 또 죽음을 맞은 땅인 두바이에서도 1998년 두바이 월드컵에 주최자인 셰이크 무하마드의 주선에 의해 호쿠토 베가의 이름을 딴 경주가 열렸다. * 두바이 월드컵 당시의 기수는 [[요코야마 노리히로]]였는데, 낙마로 인해 큰 부상을 입고 돌아왔지만 사고의 원인이 그의 무리한 기승인걸로 여론이 몰려서 당시 팬들에게 엄청난 비난을 받았고, 본인도 죄책감과 비난의 스트레스로 자살까지도 생각했었다고 한다. 이후 말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레이스 도중에 경기 포기도 불사하는 요코야마 노리히로만의 스타일이 정립되었다. 경마 팬들은 호쿠토 베가가 죽은 사건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대를 이어 기수로 활동하는 그의 아들 [[요코야마 타케시]] 기수는 아직 그리 경력이 길지 않은 신인임에도 세 번이나 기승 중인 말이 심장이상을 일으킨 것을 느끼고 속도를 늦춰 경기를 포기해 말을 무사히 살린 진기록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버지의 영향으로 보인다. 도중에 경기를 중단하고 멈췄는데 마체에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결과가 나오면 기수 입장이 굉장히 난처해진다. 승부조작 의심을 받을 수 있고, 무기한 출장 정지까지 받을 수 있을 정도로 큰 리스크를 불사하는 결단이다. 그래서 말의 다리가 골절되거나 파행을 보이는 등의, 눈으로 봐도 심각한 이상이 아니면 속도를 줄여서라도 일단 결승점은 통과하려는 기수가 많다.[* 최근의 사례로는 2021년 5월 빅토리아 마일에서 노스 힐즈 소속의 이베리스가 경기 중 갑자기 속도를 떨어뜨리며 최하위로 쳐졌는데, 기승했던 사카이 마나부 기수는 거의 속보 정도까지 속도를 늦춰 결승점을 통과했고, 경기 후 진단에서 심방세동이 판명되었다. 이런 식으로 결승선까지 갈 수 있으면 느리게라도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2023년에는 봄 천황상에서 요코야마 카즈오 기수가 타이틀 홀더에 기승하였으나 경기를 도중에 중단하고 말에서 내렸다. 이후 진단 결과로는 특별한 이상은 없고 다리에 경미한 피로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기 시작전부터 불안함이 있었던 진영내에서 상의가 있었고, 해당 경기는 타이틀 홀더를 포함해 네마리가 부상당하는 악조건이었기에 다른 의혹으로 번지지는 않고, 오히려 말을 살리는 중대한 결심을 잘 해줬다는 평가다. 반대로 같은 해 일본 더비에서는 르메르 기수가 기승한 2번 인기 스킬빙이 심부전으로 현장에서 죽는 사고가 발생했다. 스킬빙은 홈스트레치 진입후 스퍼트를 해야할 시점에서 기수의 지시에 전혀 반응하지 못하는 이상을 보였고, 골라인 통과 이후 마침내 심각함을 알아차린 르메르 기수가 하마하여 말을 부축하려고 했지만 그 자리에 쓰러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했다.] * [[히시 아마존]]과는 같은 마방 소속의 단짝으로 무척 친했는데, 히시 아마존이 1살 위의 언니[* 혈연 관계는 없지만 생일이 3월 26일로 똑같다.]인 호쿠토 베가에게 어리광을 부리는 사이였다고 한다. 한참 애매한 성적을 내며 장애물 전향을 고려할 정도로 부진할 때도 마방에서 계속 포기하지 않은 이유가 호쿠토 베가가 마방에서 사라지면 한창 활약 중인 히시 아마존에게 안좋은 영향을 줄까봐 였다고. 더트에서 모래의 여왕이라고 불리며 개화한 뒤론 기자가 조교사와 기수에게 둘이 붙으면 누가 이기냐는 질문을 하기도 했는데 이구동성으로 잔디에선 호쿠토 베가가 100번을 도전해도 히시 아마존이 이기겠지만 더트에선 호쿠토 베가에게 히시 아마존이 100번을 도전해도 모두 질 것이라는 답변을 했다고. * 호쿠토 베가가 장애물 훈련 이후 성적이 높아지자, 한때 더트마 사이에서 장애물 훈련 붐[* 장애물 경주를 경험한 후 잔디에서 성과를 거둔 [[메지로 파머]]의 사례 당시에도 비슷한 유행이 있었다고 한다.]이 불기도 했다. 하지만 훈련으로 이 정도로 큰 성과를 본 말은 그 이후에 나타나지 않았다. 지금은 좌우 각력이 다른 말에게 시도하는 훈련이 되었다. 각력의 불균형 해소에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 그 당시엔 G2였다고는 하지만 국제 G1으로 승격된 현재까지도 페브러리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암말은 호쿠토 베가가 유일하다. * 2021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아카이 이토]]가 우승을 하자 호쿠토 베가의 엘리자베스 여왕배 우승과 유사점이 많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유력마와의 비슷한 이름 : [[베가(말)|베가]]-호쿠토 베가 / [[아카이토리노 무스메]]-[[아카이 이토]] * 암말 클래식을 우승했던 베가(오카상, 오크스) - 암말 클래식을 우승했던 [[아카이토리노 무스메]](슈카상) * 9번 인기로 출주한 호쿠토 베가 - 10번 인기로 출주한 [[아카이 이토]] * 2번 인기 단승 3.7배로 출주한 베가 - 2번 인기 단승 3.4배로 출주한 [[아카이토리노 무스메]] * 부마인 나구르스키 산구 최초(이자 마지막) G1 우승 - 부마인 [[키즈나(말)|키즈나]] 산구 최초 G1 우승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3년 {{{-1 (4세, 현 3세)}}} || || 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4세 신마 || 더트 1200m || 3.7 || 2 || '''{{{#red 1착}}}''' ||<|10> 카토 카즈히로 || (이즈미 블루) || || 1.16 || 나카야마 || 아카타케(朱竹)상 || 500만 || 더트 1800m || 1.5 || 1 || 2착 || 사이쿄 호잔 || || 2.20 || [[도쿄 경마장|도쿄]] || 카틀레아상 || 500만 || 더트 1600m || 1.9 || 1 || '''{{{#red 1착}}}''' || (산에이 레코드) || || 3.20 || 나카야마 || [[플라워 컵]] || GIII || 잔디 1800m || 2.9 || 2 || '''{{{#red 1착}}}''' || (타이 줄리엣) || || 4.11 || [[한신 경마장|한신]] || [[오카상]] || '''GI''' || 잔디 1600m || 16.2 || 6 || 5착 || [[베가(말)|베가]] || || 5.23 || 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GI''' || 잔디 2400m || 10.2 || 5 || 6착 || 베가 || || 10.3 || 나카야마 || [[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2000m || 3.3 || 2 || 2착 || [[유키노 비진]] || || 10.24 || [[교토 경마장|교토]] || [[로즈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2000m || 5.5 || 3 || 3착 || 스타 발레리나 || || 11.14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400m || 30.4 || 9 || '''{{{#red 1착}}}''' || ([[노스 플라이트]]) || || 12.18 || 나카야마 || [[터쿼이즈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800m || 3.7 || 2 || 3착 || 유키노 비진 || ||<-10> 1994년 {{{-1 (5세, 현 4세)}}} || || 1.15 || 한신 || [[헤이안 스테이크스]] || GIII || 더트 1800m || 5.3 || 2 || 10착 ||<|10> 카토 카즈히로 || 토요 리파르 || || 2.27 || 나카야마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3.6 || 2 || 4착 || 홋카이 세레스 || || 4.23 || 도쿄 || [[케이오배 스프링 컵]] || GII || 잔디 1400m || 12.1 || 5 || 5착 || [[스키 패러다이스]] || || 6.12 || [[삿포로 경마장|삿포로]] || 삿포로 닛케이 오픈 || OP || 잔디 1800m || 2.3 || 1 || '''{{{#red 1착}}}'''[*레코드] || (모가미 사루노) || || 7.3 || 삿포로 || [[삿포로 기념]] || GIII || 잔디 2000m || 2.0 || 1 || '''{{{#red 1착}}}''' || (에이피 그랑프리) || || 8.21 || 삿포로 || [[하코다테 기념]] || GIII || 잔디 2600m || 2.9 || 1 || 3착 || 와코 치카코 || || 10.9 || 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26.5 || 11 || 9착 || [[네하이 시저]] || || 11.13 || 도쿄 || [[후지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800m || 6.6 || 2 || 6착 || [[사쿠라 치토세 오]] || || 12.18 || 한신 || [[한신 암말 스테이크스|한신 암말 특별]] || GII || 잔디 2000m || 16.3 || 6 || 5착 || 메모리 재스퍼 || ||<-10> 1995년 {{{-1 (6세, 현 5세)}}} || || 1.22 || 나카야마 ||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 GII || 잔디 2200m || 57.1 || 6 || 2착 ||<|3> 카토 카즈히로 || 사쿠라 치토세 오 || || 2.26 || 나카야마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3.2 || 1 || 2착 || 알파 큐트 || || 3.12 || 나카야마 || [[나카야마 기념]] || GII || 잔디 1800m || 10.3 || 2 || 8착 || 후지야마 켄잔 || || 4.22 || 도쿄 || 케이오배 스프링 컵 || GII || 잔디 1400m || 25.6 || 11 || 3착 ||<|3> [[요코야마 노리히로]] || 두마니[* 미국에서 생산된 아랍에미리트의 경주마.] || || 5.14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0.1 || 3 || 5착 || 하트 레이크[* 영국에서 생산된 아랍에미리트의 경주마. 일본 이외 국가 조교마로는 야스다 기념을 최초로 우승했다.] || || 6.13 || [[카와사키 경마장|카와사키]] || 엠프레스배 || GI[*S 미나미칸토에 속하는 오이, 카와사키, 후나바시, 우라와에서만 인정되는 등급. 현재 기준으로는 SI, SII, SIII에 해당한다.] || 더트 2000m || - || 1 || '''{{{#red 1착}}}''' || (아쿠아 라이덴) || || 8.20 || [[하코다테 경마장|하코다테]] || 하코다테 기념 || GIII || 잔디 2000m || 8.5 || 5 || 11착 || [[마토바 히토시]] || 인터 마이 웨이 || || 10.8 || 도쿄 || 마이니치 왕관 || GII || 잔디 1800m || 21.6 || 8 || 7착 || 오츠카 에이자부로 || 스가노 오지 || || 10.29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77.0 || 15 || 16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사쿠라 치토세 오 || || 11.19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후쿠시마 기념]] || GIII || 잔디 2000m || 13.7 || 8 || 2착 ||<|2> 나카다테 에이지 || 마이네르 브리지 || || 12.17 || 한신 || 한신 암말 특별 || GII || 잔디 2000m || 12.8 || 5 || 5착 || 사마니 벳핀 || ||<-10> 1996년 {{{-1 (7세, 현 6세)}}} || || 1.24 || 카와사키 || [[카와사키 기념]] || GI[*S] || 더트 2000m || - || 2 || '''1착''' ||<|6> 요코야마 노리히로 || (라이프 아사히) || || 2.17 || 도쿄 || [[페브러리 스테이크스]] || GII || 더트 1600m || 4.6 || 3 || '''1착''' || (아이 오 유) || || 3.20 || [[후나바시 경마장|후나바시]] || 다이올라이트 기념 || GI[*S] || 더트 2400m || - || 1 || '''1착''' || (스펙터클) || || 5.5 || 타카사키 || 군마 기념 || 중상 || 더트 1500m || - || 1 || '''1착'''[*레코드] || (히카리 루파스) || || 6.19 || [[오이 경마장|오이]] || [[제왕상]] || GI[*S] || 더트 2000m || - || 1 || '''1착''' || (아이 오 유) || || 7.15 || 카와사키 || 엠프레스배 || GII[*S] || 더트 2000m || - || 1 || '''1착''' || (스피드 아이리스) || || 10.10 || [[모리오카 경마장|모리오카]] ||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 중상 || 더트 1600m || - || 1 || '''1착''' ||<|2> 마토바 히토시 || (헤이세이 실버) || || 11.10 || 교토 || [[엘리자베스 여왕배]] || '''GI''' || 잔디 2200m || 8.5 || 4 || {{{#000 4착}}}[* 5번째로 골인했지만 2번째로 들어온 히시 아마존이 7착으로 강착되어서 4착으로 순위가 올라갔다.] || [[댄스 파트너]] || || 12.4 || [[우라와 경마장|우라와]] || 우라와 기념 || GI[*S] || 더트 2000m || - || 1 || '''1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교토 시티) || || 12.22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31.3 || 9 || {{{#000 9착}}} || [[후지타 신지]] || [[사쿠라 로렐]] || ||<-10> 1997년 {{{-1 (8세, 현 7세)}}} || || 2.5 || 카와사키 || 카와사키 기념 || GI[*S] || 더트 2000m || - || 1 || '''1착''' ||<|2> 요코야마 노리히로 || (라이프 아사히) || || 4.3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나드 알 셰바 || [[두바이 월드컵]] || L || 더트 2000m |||| 미발매 || {{{#000 중지}}} || [[싱스필]] ||}}} [include(틀:엘리자베스 여왕배,grade=GI)] ---- [include(틀:페브러리 스테이크스,grade=GII)] ---- [include(틀:플라워 컵,grade=GIII)] [include(틀:삿포로 기념,grade=GIII)] ---- [include(틀:엠프레스배)] [include(틀:카와사키 기념)] [include(틀:다이올라이트 기념)] [include(틀:제왕상)] [include(틀:마일 챔피언십 남부배)] [include(틀:우라와 기념)]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현역 중 죽은 경주마]][[분류:1990년 출생/경주마]][[분류:1997년 죽은 동물]][[분류:니진스키 2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