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떡/종류)] [[파일:혼돈병.png]] {{{+2 餛飩餠 }}} [목차] == 개요 == 혼돈병은 [[찹쌀]]가루에 [[꿀]]과 계핏가루를 넣고 찌는 [[떡]]을 말한다. 만드는 법은 <[[규합총서]]>에 나와 있다. 거피팥고물을 만들어 볶아내는 과정, 소를 만드는 과정, 떡을 안치는 순서와 찌는 시간, 간을 하고 버무리는 시간까지도 오래 걸리는 까다로운 떡이다. [[두텁떡]]과 비슷한 떡이지만 두텁떡보다 양념을 더 한다. == 레시피 == 재료법은 <규합총서>의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찹쌀가루에 꿀을 버무려 [[당귀]](當歸, 승감초가루)가루 삼분의일만 섞고, [[계피|계피가루]] 2돈, [[후추|후춧가루]] 1돈, 말린 [[생강]](乾薑) 5푼 넣어 잣 1홉을 굵게 두드려 섞는다. 증편 틀에 보자기 깔고 꿀팥 채, 후춧가루, 계피가루를 알맞게 넣어 보자기 위에 편다. 떡가루를 두껍게 펴고 [[밤(열매)|밤]]을 삶아 찐 것에 꿀양념하여 소를 큰 밤만큼 쥐어 줄지어 늘어놓는다. 가루를 소가 드러나지 않을 만큼 두껍게 위로 덮는다. [[대추]], 밤, [[잣]]을 방울에 빈틈없이 박고 붉은 꿀팥을 두껍게 뿌린다. 그 위에 맨 찰가루를 덮어야 터지지 않는다. 보자기로 위를 싸매어 [[시루]]에 담아 익게 쪄 위에 덮은 것을 걷어 버리고 방울방울 베어 쓴다. == 참고 문헌 == * [[http://www.koreantk.com/ktkp2014/kfood/kfood-view.view?foodCd=178032|한국전통지식포탈(혼동병)]] * [[규합총서]](閨閤叢書) [[분류:한국의 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