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思姙 [[1942년]] [[7월 10일]][* 남양홍씨(토홍계)세보 2권 665쪽에는 7월 1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 ([age(1942-07-10)]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수필]]가, 정치인, 공기업인이다. 본관은 [[남양 홍씨|남양]](南陽, 토홍계)[*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26세 사(思) 항렬.], 호는 송산(松山). [[홍사립]] 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청장은 그녀의 첫째 남동생이다. == 생애 == 1942년 7월 10일 [[충청남도]] [[당진시|당진군]](現 [[당진시]]) [[송산면(당진)|송산면]] 도문리에서 아버지 홍봉유(洪琫裕, 1896. 8. 6 ~ 1964. 4. 24)[* 洪'''{{{+1 鳳}}}'''裕라고도 한다.]와 어머니 [[연안 이씨]] 이순희(李順姬, 1916. 11. 17 ~ 1998. 11. 28) 사이의 4남 4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송산국민학교(29회), [[당진중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2월 [[광운대학교/대학원|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296991|영유아 보육시설의 개선방안 : 우리나라 국·공립 및 민간보육시설을 중심으로]](2004. 2).]를 취득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수료했다. 성균관대학교 재학 중 [[6.3 항쟁]]에 참여해 투옥되었으며, 이후로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다.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대중]] 후보 찬조연사를 하기도 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의정부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김문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1월 22일 [[3당 합당]] 때 참여하여 [[민주자유당]]에 속하였고, 6월 12일 한국여성발전위원회 창립위원장으로 한국여성발전위원회 창립총회를 [[https://www.mk.co.kr/news/economy/928431|개최했다]]. [[김영삼 정부]] 임기 중이던 1993년 11월 [[국민건강보험공단|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관리공단]] [[상무이사]]에 [[https://www.mk.co.kr/news/economy/1227077|임명되었고]], 1996년 10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25차 국제사회보장협회(ISSA) 상임위원회 및 제8차 사회보장 분야의 정보처리에 관한 국제회의에 한국대표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01900289123013&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6-10-19&officeId=00028&pageNo=23&printNo=2704&publishType=00010|참석했다]]. 이후 [[한나라당]] 국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다가 [[이명박 정부]] 임기 중이던 2009년 3월 11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감사에 [[http://m.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3&NewsCode=003320090311175318807250|임명되었다]]. 이후 6.3 동지회 총무 등을 지내다가 정계를 은퇴하고 '문학시대'를 통해 수필가로 등단했고, 현재 문학시대수필가회, 한국문인협회, 문학의집 서울 등에서 회원으로 [[https://their-way-of-life.tistory.com/6|활동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남양 홍씨(토홍)]][[분류:당진시 출신 인물]][[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1942년 출생]][[분류:당진중학교 출신]][[분류:중앙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광운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