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전통 건축]][[분류:종교 시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영화, rd1=홍살문(영화))]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nc.go.kr/tour_0_1388975208.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융릉의홍살문.jpg|width=100%]]}}}|| ||<-2><:>{{{-1 [[국립대전현충원]]의 홍살문(좌)와 [[융릉]]의 홍살문(우).}}} ||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살문(紅살門), 홍전문(紅箭門),[* '살'의 한자어 명칭.] 홍문(紅門), 정문(旌門)은 [[대한민국]]의 전통 대문(大門)으로, 설치한 지역이 신성한 곳이거나 구격(具格, 주 격식이나 예절을 갖춤)이 맞는 장소임을 나타내기 위해 표지로 세우던 문이다. 이름을 직역하면 '붉은 화살 문(Gate with Red Arrows)'이라는 뜻이다. 주로 [[왕릉(무덤)|왕릉]]과 같은 [[무덤|묘지]]나 [[향교]], [[서원]], 궁궐 및 관아 등의 정문으로 설치하였으며 드물게 [[용주사]]처럼 [[절(불교)|절]]에 있는 것도 있고 [[대구광역시|대구]] [[약령시(대구)|약령시]]처럼 거리에 설치한 경우도 있다. == 특징 == 형태를 보면 나무로 만든 기둥과 살에 붉은색을 칠하고 문의 상단에도 붉은 [[화살]](홍살)들이 붙었고 가운데에 한국식 [[태극]] 무늬를 새겨 붙인다. [[태극]] 무늬를 지나는 홍살들은 서로 꼬여 [[삼지창]] 모양을 하였다. 붉은색으로 칠함은 [[동지|동짓날]] [[팥]]과 같이 붉은색이 양기를 띄어 귀신과 액운을 물리친다는 뜻이고, 윗부분을 화살로 장식함은 잡귀를 화살로 쏘아 없애버린다는 뜻을 담는다.[* [[부여]] 건국신화에서도 등장할 정도로 [[활]]은 고대로부터 상징적으로나 실용적으로나 [[한민족]]이 매우 특별하게 여겨 온 무기이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한민족의 기원이 된 [[스키타이]] 등의 말타고 활쏘던 북방 기마민족 영향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일반 [[문]]과 달리 문짝이 없고 '문 문(門)'자 모습을 하였다. 용도도 일반 문과는 다르게 장소의 안팎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어떤 특별한 지점으로 도달했음을 명시하는 것이다. 또 홍살문 옆에는 신성함을 위하여 하마비(下馬碑), 즉 통행인의 신분과 상관 없이 '타고 있던 말에서 내려 걸어 지나가라'고 지시하는 내용을 새긴 비석을 세우는 곳도 있다. 이곳에서는 귀천과 상관없이 왕이나 황제조차도 말에서 내려야 한다. == 역사 == 인도에서 스투파 입구에 세우는 '토라나(torana)'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하며, 이것이 주변 각국으로 퍼져 각 나라별 고유한 양식으로 변하였다고 본다. 중국에서는 패방([[차이나타운]] 입구에 세운 문)으로, 한국에서는 홍살문으로, 일본에서는 [[토리이]]로, 태국에서는 사오칭차로 변했다는 것. 경주 오릉 내 [[박혁거세]] [[거서간]]의 제사를 모시는 숭덕전 입구에도 홍살문이 있는데 숭덕전은 [[팔전]]으로 조선시대 때 건립했으니 후대에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2013062501003426300265772.jpg]]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306242136375|기와지붕과 문 생생히 새겨진 삼국시대 건축물 암각화 발견]] 홍살문이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된 건 적어도 [[삼국시대]] 시기부터라고 추정한다.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발견한 칠갑산 암각화에서는 약 1500년 전 마을 풍경을 묘사한 그림이 세선각 기법으로 새겨져 있는데, 이 암각화에서 지금과 매우 닮은 홍살문의 형태를 뚜렷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이미 홍살문 문화가 삼국시대 [[고구려]] 및 [[백제]] 일대로까지 전파되었음을 뜻한다. 정문(旌門)이라는 개념은 [[고려]]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성행했고 [[유교]]를 권장하던 [[조선]]시대로 이르러서는 유교적인 상징이 더해져 충신, [[효자]], 열녀를 바람직한 인물로 추앙하여 이들의 집 앞에 표창을 내리는 뜻으로 홍살문을 세우기도 했다. 흔히 말하는 정문(旌門)이나 [[열녀문]](烈女門)이 홍살문의 한 종류인데, [[1972년]]작 신성일 주연 영화 '홍살문'도 이를 다루었다. 당대에 홍살문이 집이나 마을 앞에 있다는 것은 가문 및 지역에 큰 영광이었다. 이 때문에 홍살문을 받기 위해 남편을 잃은 여성이 순사(殉死)하기를 바라는 분위기가 온 마을에 형성되기도 했다고. 1617년 편찬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6275|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서도 정문(旌門)이라고 부르며 삽화에 홍살문을 표현해 놓았다. 이 삽화로 보아 홍살문의 형태도 몇 가지 종류가 있었던 듯한데, 현대에 흔히 볼 수 있는 홍살문처럼 윗쪽으로 살이 나 있지 않고 우물 정(井) 자 모양이거나,([[http://encykorea.aks.ac.kr/Contents/GetImage?t=origin&id=20fedc40-ab5c-4388-b666-d23fe1d3cf59&w=878&h=582|박연여묘]]) 창살이 있어도 가로기둥 사이에 격자처럼 작은 세로기둥들이 끼워져 있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GetImage?t=origin&id=e6fa6545-bdac-433b-a656-8480896b6c19&w=878&h=582|천일투애]])[* 이러한 홍살문 형태는 지금도 [[https://www.google.com/search?q=%EC%82%AC%EC%A7%81%EB%8B%A8&rlz=1C1FGUR_koKR890KR890&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S6oGSoOj3AhVKdXAKHSfHAKkQ_AUoAXoECAIQAw&biw=1707&bih=911&dpr=1.5|사직단]]에 남아있다.] == 기타 == *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궁궐에 홍살문을 설치하지 않아 위엄스럽지 않다'는 기록이 있다. * 종로에서 육조거리 시작 지점에 홍살문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파일:20210313_145345.jpg]] * 현대엔 일반적으로 [[향교]], [[서원]], 조선시대 [[왕릉]] 등 유교적인 장소에서 주로 보이지만, 홍살문은 하마비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듯이 원래는 성속(聖俗)의 경계문으로써 기능하였다. 따라서 [[고조선]]과 [[삼한]]의 [[소도]] · [[솟대]], 일본의 [[토리이]]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으며 토리이가 일본 종교시설인 [[신사(신토)|신사]] 입구에 있듯 홍살문이 한국 종교시설인 [[서낭당]] 등지의 입구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위 사진에서 나타난 [[횡성군]] 우천면 우항리의 홍살문과 성황당이 있다. [[파일:GC053P06857_l.jpg]] * 해방 이전 [[조선족]] 마을에서는 마을을 수호하기 위해 마을 어귀에 홍살문을 세우기도 하였다. [[1950년대]] 이전까지 [[연변]] 일대 조선족 마을 입구에 세웠으며 형태는 약간씩 달랐다. 특히 [[함경도]] 사람들의 집단촌에서는 보편적이었다고 한다. 연변 지역에서는 마을 앞이나 뒤의 으슥한 골짜기나 높은 봉우리가 있으면 사기(邪氣)가 마을을 침범한다고 하여 홍살문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것이 설치된 곳으로는 길림성(吉林省) 용정시(龍井市) 삼합진(三合鎭) 북흥촌(北興村), 동성향(東城鄕) 태평촌(太平村), 연길시(延吉市) 소영향(小營鄕) 소영촌(小營村), 연집향(煙集鄕) 태암촌(台岩村) 등지에 세웠다는 것을 조사한 바 있다.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contentsId=GC05301865&localCode=krcn&nodeId=H2%2F2|내용 출처]] * 일본 [[신사(신토)|신사]] 입구에 있는 [[토리이]](鳥居)와 비슷한데, 특히 지붕 없는 토리이는 홍살문과 모양이 매우 비슷하다. 앞서 설명했듯이 홍살문과 토리이의 기원이 같기 때문에 서로 비슷하게 보일 수 있는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일본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통해 [[토리이]]를 접하는 한국인들 중에서 홍살문을 잘 모르는 사람인 경우 가끔씩 왜색 논란을 일으키곤 하지만 실제로는 전혀 왜색이 아니다. 다만 토리이와 홍살문이 항상 1대 1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인도의 토라나를 들여오며 지붕 유무에 따라 홍살문과 [[일주문]]의 두 경우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토리이처럼 지붕이 있는 경우는 사찰이나 당집 입구의 [[일주문]]이 대응된다. * '한국의 홍살문도 원래는 일본의 토리이와 같은 모습이었으나 [[솟대]]를 매개로 [[새]]를 숭상하던 [[무속]]을 억누르기 위해 새가 앉지 못하게 창살을 윗부분에 설치했다'는 견해도 있으나, 위에 있는 암각화 그림에서 보듯이 1500년 전에도 창살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므로 정설은 아니다. == 관련 항목 == * [[한국 건축]] * [[한옥]] * [[솟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