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承業 [[1917년]] [[8월 25일]] ~ [[1969년]] [[12월 5일]] (향년 52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생애 == 1917년 8월 25일 [[강원도]] [[원주시|원주군]](現 [[원주시]])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만주국]] [[길림성]]으로 이주해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3633|연길사범학교]][* 現 연변제1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8.15 광복]] 이후 [[경찰공무원]]에 입직해 [[총경]]에까지 올랐다. 1952년 [[경상남도경찰청|경상남도경찰국]]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2062800209102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2-06-28&officeId=00020&pageNo=2&printNo=8891&publishType=00010|사찰과장]],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2080100209102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2-08-01&officeId=00020&pageNo=2&printNo=8925&publishType=00010|강원도 경찰학교장]], [[강원도경찰청|강원도경찰국]]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2122500239101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2-12-25&officeId=00023&pageNo=1&printNo=9184&publishType=00010|보안과장]]을 지냈다. 1954년에는 [[대한민국 경찰청|내무부 치안국]] 경비과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4082200329203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8-22&officeId=00032&pageNo=3&printNo=2616&publishType=00020|발령받아]] 이듬해인 1955년에도 유임되어 작전정보 업무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504080032920302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04-08&officeId=00032&pageNo=3&printNo=2844&publishType=00020|맡아 보았다]]. 그러나 그해 [[대구매일신문 피습사건]]에 대한 책임으로 [[성동소방서|서울성동소방서]]장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5092900209203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09-29&officeId=00020&pageNo=3&printNo=10041&publishType=00020|인사이동되어]]소방계에도 잠시 몸을 담기도 했다. 1956년 2월 5일부터 1957년 3월 20일까지 [[https://www.gwpolice.go.kr/gn/sub06/sub06_03.jsp|제15대]] [[강릉경찰서]]장을 지냈고, 이후 강원도경찰국 경무과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7032200239203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7-03-22&officeId=00023&pageNo=3&printNo=10728&publishType=00020|발령받아]] 근무하던 중 1957년 11월 10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711130023920304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7-11-13&officeId=00023&pageNo=3&printNo=10964&publishType=00020|사표를 제출했다]]. 그 직후 [[자유당]]에 입당해 11월 치러진 고성군당 위원장 선거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711190023920303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7-11-19&officeId=00023&pageNo=3&printNo=10970&publishType=00020|입후보하기도 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강원도 고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이후 자유당 고성군당 위원장과 자유당 중앙위원을 지냈다. 하지만 1960년에 [[4.19 혁명]]이 일어난 이후 1961년에 공민권 제한 대상이 되었다. 1969년 12월 5일에 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고성군) || [include(틀:자유당)] || '''5,511표 (46.49%)''' || '''당선 (1위)''' || '''초선''' || [[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원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분류:경찰 출신 정치인]][[분류:1917년 출생]][[분류:1969년 사망]][[분류:성동소방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