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홍천군의 읍면)] ||<-4> '''[[강원도|{{{#000000,#dddddd 강원특별자치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홍천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홍천군}}}'''[br]洪川郡[br]{{{-1 Hongcheon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원도 홍천군, 너비=100%, 높이=100%)]}}} || ||<-2> '''[[홍천군청|{{{#ffffff 군청}}}]] 소재지''' ||<-2> [[홍천읍]] 석화로 93 (희망리 181) || ||<-2> '''광역자치단체''' ||<-2> [[강원특별자치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9[[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1,820.58㎢[* 전국의 [[기초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넓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의 면적(1,850.2㎢)에 맞먹는다.] || ||<-2> '''인구''' ||<-2> 67,346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 통계]]] || ||<-2> '''인구 밀도''' ||<-2> 37.08명/㎢ || ||<-2> '''군수'''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신영재(정치인)|신영재]] ,,(초선),, || ||<|2><-2> '''군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4석[* 홍천군 가선거구 (홍천읍, 북방면): 용준식[br]홍천군 나선거구 (화촌면, 영귀미면, 남면, 서면): 김광수[br]홍천군 다선거구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내면): 박영록[br]비례대표: 황경화]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홍천군 가선거구 (홍천읍, 북방면): 이광재, 최이경[br]홍천군 나선거구 (화촌면, 영귀미면, 남면, 서면): 용준순[br]홍천군 다선거구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내면): 나기호] || ||<-2> [[강원도의회|{{{#ffffff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2석[* 홍천군 제1선거구 (홍천읍, 북방면): 이영욱 (초선)[br]홍천군 제2선거구 (화촌면,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영귀미면, 남면, 서면, 내면): [[홍성기(정치인)|홍성기]] (초선)]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상범]][br]{{{#!wiki style="margin: 0 -10px; letter-spacing: -1px; font-size: 12px"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홍천·횡성·영월·평창]] / 초선)}}} || ||<|3> '''상징''' || '''시화''' ||<-2> [[진달래]] || || '''시목''' ||<-2> [[잣나무]] || || '''시조''' ||<-2> [[까치]]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33''' || ||<-2> '''홈페이지''' ||<-2> [[https://www.hongcheon.go.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 ||<-2> '''SNS''' ||<-2> [[https://www.youtube.com/c/hongcheongun/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 [[https://blog.naver.com/hcgnew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30]]]] | [[https://www.instagram.com/hongcheongun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3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ongcheongun, 크기=30)] | [[https://www.facebook.com/hongcheoncount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30]]]] || || [[파일:external/vodfile2.edupia.com/32867_1_3.jpg]] || || '''마스코트 무궁이[* [[무궁화]]를 형상화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6756357.png|width=100%]]}}} || || '''홍천읍내 전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urinowa.co.kr/20110119_9c698e9895527038ee873378851d7b47.jpg|width=100%]]}}} || || '''[[홍천군청|{{{#ffffff 홍천군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e6AqMy_Iys)]}}} || || '''홍천군 공식 홍보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면적은 1,820.58㎢로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넓다.'''[*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에서 가장 넓은 군은 이북 8도 기준으로는 [[양강도]] [[백암군]], [[이북 5도]] 기준으로는 [[함경북도]] [[무산군]]이다.] 이름에도 [[洪|'넓을 홍(洪)']] 자가 들어가 있다. 인구는 약 68,000명 정도로 강원도의 군 지역 중에서는 가장 많다. 다만 면적이 상당히 넓어 [[인구 밀도]]는 희박한 편이다.[* 비교를 하자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기초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 [[양천구]]의 경우 면적 17.41㎢에 불과한 땅에 무려 45만 3천여 명이 산다. 그래서 인구 밀도가 '''26,205명/㎢.''' 홍천과 반대로 시/군 중 가장 면적이 좁은 [[경기도]] [[구리시]](33.33㎢)도 인구는 20만 명이 넘는다. 참고로, 홍천군의 면적(1,820.58㎢)에 [[서울특별시]] [[양천구]]의 인구 밀도를 집어넣으면 47,702,000명이 나와서 대한민국 인구 전체와 맞먹는다.] 다른 대도시에 홍천군의 인구 밀도(38명/㎢)를 대입해보면 [[서울특별시|서울]] 22,998명, [[부산광역시|부산]] 29,260명 등 인구가 극강의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쪽으로는 [[강릉시]]와 [[양양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양평군]]과 [[가평군]], 남쪽으로는 [[횡성군]]과 [[평창군]], 북쪽으로는 [[춘천시]]와 [[인제군]]과 접한다. '''[[백두대간]]과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모두 경계를 접하는 유일한 [[기초자치단체]]다.''' 이게 체감상으로 어느 정도냐면 홍천군의 최서단이라고 할 수 있는 보리산 정상 일대와 서울특별시의 최동단이라고 할 수 있는 강동구 상일동 상일IC와의 직선 거리가 겨우 '''32km'''에 불과하다. 앞서 말했듯, 양양, 강릉과도 접하고 있는 주제에 양평과 가평과도 접하고 있으면서 두 지역(가평, 남양주) 너머가 서울이라는 소리이고, 양양이나 강릉에서 세 지역 너머가 서울이라는 소리. 심벌마크와 [[마스코트]]는 [[대한민국]]의 [[국화(상징)|국화(國花)]]와 같은 [[무궁화]]이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군화는 [[진달래]]이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 무궁화 보급에 앞장섰던 한서 [[남궁억]] 선생이 홍천군 [[서면(홍천)|서면]]에 [[학교]]를 세우고 활동했기 때문이다. 군조(郡鳥)는 [[까치]]이며, 이를 활용한 새 마스코트 홍이와 청이([[https://twitter.com/hongcheongun/status/1414765641387548674|#]])를 선보였다. [[2020년]] [[8월 5일]], [[https://youtu.be/fKAEV6w85fs|홍천군민의 노래]]가 발표되었다. == 역사 == 홍천군은 본래 [[고구려]]의 벌력천현(伐力川縣)이었다. [[통일신라]] 당시에는 [[춘천시|삭주]](朔州, 지금의 춘천)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녹효현(綠驍縣)으로 바꾸었다. ||<-2> [[파일:홍천_1895년(2).png]] || || '''황색: 홍천군(洪川郡)''' || '''녹색: 강릉군(江陵郡)''' || || 1. 감물악면(甘勿岳面)[br]2. 금물산면(今勿山面)[br]3. 군내면(郡內面)[br]4. 북방면(北方面)[br]5. 영귀미면(詠歸美面)[br]6. 화촌면(化村面)[br]7. 두촌면(斗村面)[br]8. 내촌면(柰村面)[br]9. 서석면(瑞石面) || 1. 내일면(內一面)[br]2. 내삼면(內三面) || [[고려시대]]인 [[1018년]](현종 9) [[5도 양계]] 홍천이라 개칭하고 [[교주도]](이후 교주강릉도)에 속하게 된다. [[1413년]](태종 13) [[팔도#s-2.2|8도]] 홍천현이 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23부제]]에 춘천부(春川府) 홍천군이 되었으며, [[1896년]] [[팔도#s-2.3|13도제(道制)]] 실시로 홍천군이 되었다. ||<-2> [[파일:홍천_1914년.png]] || || '''황색: 홍천군(洪川郡)''' || '''녹색: 인제군(麟蹄郡)''' || || 1. 감물악면(甘勿岳面)[br]2. 금물산면(今勿山面)[br]3. 군내면(郡內面)[br]4. 북방면(北方面)[br]5. 영귀미면(詠歸美面)[br]6. 화촌면(化村面)[br]7. 두촌면(斗村面)[br]8. 내촌면(柰村面)[br]9. 서석면(瑞石面) || 1. 내면(內面) || [[1905년]] [[10월 5일]], [[홍천초등학교(강원)|홍천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14년]] 군내면에 금물산면[* 하오안리, 장전평리가 이 때 편입. 삼마치리는 [[1962년]], 상오안리는 [[1983년]]에 편입된다. ]과 화촌면의 일부[* 결운리, 태학리]를 편입했다. [[1917년]] 금물산면을 남면(南面), 군내면을 홍천면, 영귀미면을 동면(東面), 감물악면을 서면(西面)으로 고쳤다. || [[파일:홍천_1983년.png]] || || ''' 황색: 홍천군(洪川郡)''' || || 1. 서면(西面)[br]2. 남면(南面)[br]3. 홍천읍(洪川邑)[br]4. 북방면(北方面)[br]5. 동면(東面)->영귀미면(詠歸美面)[* 2021년 6월 1일 변경][br]6. 화촌면(化村面)[br]7. 두촌면(斗村面)[br]8. 내촌면(乃村面)[br]9. 서석면(瑞石面)[br]10. 내면(內面) || [[8.15 광복]] 후, 국토가 둘로 나뉘면서 [[인제군]] 지역의 [[38선]] 이남에 해당하는 인제군 [[기린면]]의 진동리, 북리 일부 및 舊 인제면(현 [[인제읍]])의 원대리와 [[남면(인제)|남면]]의 어론리, 부평리 등 7개 [[리(행정구역)|리]]를 편입하여 신남면을 만들고[* 인제군 [[상남면(인제)|상남면]]은 [[1983년]]에 신설된 [[면(행정구역)|면]]으로 저 당시에는 남면과 기린면 지역이었다.], 인제군 [[내면(홍천)|내면(內面)]]도 편입하였다. [[1954년]] [[10월]] [[군사분계선|휴전선]] 수복지구 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기린면과 남면을 인제군에 환원하였다. 그러나 내면은 환원되지 않고 현재도 홍천군에 남아있다. [[1956년]] [[2월 28일]], [[홍천여자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73년]] [[3월 11일]], [[홍천고등학교(강원)|홍천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2021년]] [[6월 1일]] 동면을 [[영귀미면]]으로 다시 개칭하였다. == 지리 == === 엄청난 면적 ===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넓은 곳으로, 앞에서도 강조했듯 1,820.58㎢이다. [[서울]]이 약 605㎢이므로 '''홍천에 서울 3개가 들어가는 셈'''이다. 남북보다 동서간이 훨씬 길어서 [[영서]] 지방의 서쪽 끝과 동쪽 끝을 모두 호령할 정도다.[* [[미수복 강원도]]까지 포함하면 [[회양군]]이 1,899.8km²가 되어 더 넓고([[이북 5도]] 기준), 광복 당시 기준으로는 [[인제군]]이 면적 약 2,000km²로 강원도에서 가장 넓었다. 그리고 현재는 교통상 이유로 실현되기는 어렵지만 만일 38선이 그어지면서 인제군에서 홍천군으로 이관된 내면을 인제군에 환원한다면 인제군의 면적이 현재의 홍천군 면적보다 넓어진다.] 또한, 홍천의 최동단과 최서단의 거리는 무려 '''95.7km'''이다. 단순 직선 거리로 놓고 보았을 때, 홍천 최서단에서 직선으로 같은 거리(95.2km)에 있는 것은 '''[[인천국제공항]]이다.''' 홍천의 길이가 이렇게 동서로 비정상적으로 길어진 이유는 [[남북 분단]] 때문이다. 원래 홍천은 분단 전까지는 적당한 비율의 사각형 모양이었으나 [[삼팔선|38선]]을 기준으로 분단이 되면서, [[인제군|인제]]에서 38선 이남 지역이던 [[기린면]], [[남면(인제)|남면]]과 [[내면(홍천)|내면]]을 편입해 현재와 같은 군역이 완성되었다. 기린면과 남면은 [[6.25 전쟁]] 이후 인제로 환원되었으나 내면은 아직까지 홍천 관할이다. 참고로 내면은 면적이 448.92㎢로 대한민국의 [[읍(행정구역)|읍]]/[[면(행정구역)|면]]/[[동(행정구역)|동]] 중 가장 넓은 곳이기도 하다. 홍천 서쪽은 [[경기도]] [[가평군|가평]], [[양평군|양평]]과 맞닿아 있고, 최동단의 내면 명개리는 무려 [[영동]] 지방인 [[강릉시|강릉]], [[양양군|양양]]과 맞닿아 있다. 그래서 같은 홍천이라도 서부와 동부의 기후/생활 양식이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홍천읍]]을 위시로 한 홍천 서부는 전형적인 영서 지방이기 때문에 경기도와 기후/생활 양식이 비슷하고, 우리가 흔히 강원도 방언이라면 알고 있는 [[영동 방언]]이 아니라 [[경기 방언]]과 비슷한 말을 쓴다. 반면 홍천 동부(대표적으로 내면)는 영동 지방과 상당히 흡사한 생활 양식을 띄고 사투리도 영동 방언과 거의 비슷하다([[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contents_id=252|#]]). 하지만 넓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지역을 나누기가 힘든 것이, 홍천은 인제에서 편입된 내면을 제외하고는 역사상 계속 하나의 고을로 존재해 왔으며, 홍천읍을 제외한 면 지역의 [[인구 밀도]]가 독립된 군을 만들기에는 너무 희박하다. 홍천의 인구 중 60%가 홍천읍과 [[남면(홍천)|남면]]에 집중되어 있으며, 면 중에서 인구가 1만 명을 넘는 곳은 없다. 홍천 땅덩어리를 반으로 갈라 동쪽의 [[화촌면]], [[두촌면]], [[내촌면(홍천)|내촌면]], [[서석면]], 내면을 합쳐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을 하나 신설하면 면적이 1,172.05㎢나 되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을 모두 합친 인구는 고작 16,209명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두 번째로 인구가 적은 [[경상북도]] [[영양군]](16,320명)에도 못 미친다.[* 인구가 가장 적은 [[울릉군]]은 한반도 본토와 멀리 떨어진 섬인데다 면적이 다른 지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서 인구 밀도는 그다지 낮지 않으므로 논외.] 홍천 전체의 인구 밀도는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216위이지만 동쪽 지역만 놓고보면 전국에서 압도적으로 최저이고 외국과 비교해 보면 [[핀란드]]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차라리 [[홍천강]] 수계인 홍천의 다른 읍/면과 달리 혼자서 [[소양강]]([[내린천]]) 수계인 내면만이라도 다른 군 관할로 넘길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이마저도 어려운 것이, 내면의 동/남/북쪽이 전부 해발 1,300~1,500m의 산맥으로 막혀 있고 서쪽의 서석면 방향으로만 겨우 숨이 트이는 형국이다. 특히 아예 백두대간 중턱에 위치하는 내면 명개리는 지도상으로는 홍천읍에서 미친듯이 멀면서 강릉, 양양과는 붙어있지만 강릉과의 경계는 사람도 못 지나다니는 [[백두대간]] 분수령[* 신배령이라고 하는 비법정 등산로가 있다.]이라 넘어갈 수 없고 양양 쪽으로는 도로가 있기는 하나 [[대관령]]보다도 험악한 해발 1,013m의 [[구룡령]]을 넘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며 차가 빨리 상한다. 그야말로 엄청난 [[오지(지리)|오지]]이며, 본격 대한민국판 [[그다지 멀지않은 공중상의 거리]]라고도 볼 수 있다. 상술했듯이 38선 분단 시 편입한 지역 중 내면만이 환원되지 않은 데에 다 이유가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홍천군을 분할하자는 이야기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홍천 동쪽 지역에서 교통이 불편하며 군청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다보니 가칭 '서석군'을 신설하여 분군(分郡)을 하자는 주장이 종종 나오기도 한다([[http://www.kwnews.co.kr/nview.asp?aid=221110800117|#]], [[http://www.kwnews.co.kr/nview.asp?aid=222022000023|#]]).[* 내면 최동단이자 홍천 전체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내면 명개리에서 군청까지의 거리가 직선 거리로 64km에 달해, 관할 군/시청 기준으로 남한 최고 수준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이 정도면 어지간한 2~3개 도시 수준의 거리이다. 내면의 다른 지역도 군청까지의 거리가 먼 것은 마찬가지.] 또한 홍천의 인프라가 서쪽에 치우쳐져 동부 홍천의 소외감도 있으며 행정구역의 형태상으로도 몇 개의 지역을 합친 것처럼 지나치게 길쭉한 면적을 한 행정구역으로 두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도 말했듯 홍천이 반듯한 모양으로 1,820.58㎢이면 덜하겠지만 군역이 동서로 매우 길고, 군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홍천읍과 남면이 군 서쪽에 치우친 형태다.] 하지만 위에서 서술했듯이 동서로 분군을 하게 되면 동부 홍천의 인구가 2만 명도 채 되지 않아, 군을 신설하기는 커녕 읍 승격 인구 기준조차도 넘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가 분군을 승인해 줄 리가 만무하다. 여담으로 [[북한]]의 사례, 즉 홍천보다 면적이 넓은 위에서 예시로 든 북한의 군들은 [[1952년]] [[12월]]에 시행된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전부 2개 이상의 군으로 분할되었다. 다만 그 분할된 군들 중에서도 홍천 동쪽 지역보다 인구 밀도가 낮은 곳이 없다. 참고로 동서로 길쭉한 군역, 희박한 인구 밀도, 추운 기후 등 [[러시아]]와 비슷한 점이 있다 보니 한국 속의 러시아라는 별명이 있다. 면적이 매우 넓다 보니 지질도 굉장히 복잡한 편이다([[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C%B2%9C%EA%B5%B0#%EC%A7%80%EC%A7%88|#]]). === 기후 === 혹서, 혹한으로 악명 높은 지역이다. 군역 남북의 높은 [[산]]들로 둘러싸인 중부내륙 지역이고, 동쪽의 경우는 태백산맥의 1000m 이상 고산들 한가운데에 파묻혀있는 고지대 산간 벽지이다.[* 한서 차가 심한 내륙지방의 성격이 강하지만 동쪽 산간지역은 고랭지의 특성도 두드러지는 편이다.]홍천의 역대 공식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 극값은 각각 '''-28.1℃'''와 '''41.0℃'''로, 그 차이는 무려 '''69.1℃'''에 달한다.[* [[냉대기후]]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40℃를 넘은 적이 있다. 그것도 [[대한민국 기상청|기상청]]에서 측정한 '''공식 기록으로.'''] [[1월]]의 평균 기온은 -4.8℃, 1월 평균 최저 기온은 -10.5℃이며[* [[1981년|1981]]~[[2010년]] 기준으로는 1월 평균 기온 -5.5℃, 1월 평균 최저 기온 -11.5℃.] [[8월]] 평균 기온은 24.7℃[* 1981~2010년 기준으로는 8월 평균 기온 24.2℃.]로 연교차는 29.5℃에 달하며 한서 차, 일교차가 굉장히 심해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그래서 [[대한민국|남한]]의 최고/최저 기온 극값이 많이 나오는 지역이다. [[철원군|철원]]은 그나마 북쪽에 있어 [[여름]]에 덜 덥기라도 하지 홍천은 여름에도 매우 더워서, [[2018년]] [[8월 1일]] 최고 기온 '''41.0℃'''를 기록해 [[1942년]] 8월 1일 대구의 최고 기온 기록(40.0℃)을 깨고 '''한반도 역대 공식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http://www.weather.go.kr/weather/climate/past_cal.jsp?stn=212&yy=2018&mm=8&obs=1&x=16&y=16|#]]).[* 다만 동쪽 고지대 지역인 [[서석면]], [[내면(홍천)|내면]] 등은 그나마 시원한 편이었다.][* 비공식적으로는 같은 날 [[경기도]] [[광주시|광주]] [[퇴촌면]]에서 42.1℃를 기록하기도 했고, [[경상북도]] [[경주시|경주]]에서 1942년 [[8월 13일]]에 43.5℃를 기록한 적도 있으며, [[1944년]] 8월 1일에는 경상북도 [[영주시|영주]]에서 '''46.0℃'''를 기록한 적도 있었다. 이 외에도 비공식 기록까지 포함하면 41℃ 이상을 기록한 곳이 많이 있다.]''' 또한 [[겨울]]이 되면 굉장히 추운데, 서쪽은 그래도 낫지만 동쪽의 [[내촌면(홍천)|내촌면]]이나 [[서석면]], [[내면(홍천)|내면]] 일대는 겨울이 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다. 추운 날씨에 서석면과 내면의 최저 기온 극값을 보면 전국 최저 수준이며 그로 인해 심심찮게 겨울 아침 뉴스에 이름을 올린다. 공식 역대 최저 기온은 [[1981년]] [[1월 5일]]의 -28.1℃이며 비공식적으로는 -30℃ 이하가 기록된 적도 몇 번 있었는데, [[2001년]] [[1월 16일]]에는 내면에서 '''-30.8℃'''가 기록되기도 했고 자운리에서 '''-31.0℃'''가 기록된 적도 있었다. 또한 홍천에서 가장 추운 내면의 1월 평균 기온은 -7.5℃에 달하고, 내면에서도 가장 춥기로 알려진 자운리는 1월 평균 기온이 무려 '''-9.3℃'''에 이른다.[* 민가나 마을이 없는 높은 산지에 설치된 기상관측소를 제외하면 남한에서 압도적으로 가장 낮은 기온이다.] 그로 인해 복무 중인 장병들에게는 기억하기 싫은 추억을 많이 남겨준다. 또한 땅이 워낙 넓다 보니 기온 차가 같은 홍천 내부에서도 제각각이며 날씨도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다. === 인구 === || [[파일:홍천군 CI.svg|height=65]] '''{{{#000 홍천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88.0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2,0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81.3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21,975명}}}}}} || || [[1973년]] [[7월 1일]] [br] [[춘성군]] [[동산면]] 북방리 → '''홍천군''' [[북방면]] 편입 [br] 춘성군 동산면 풍천리 → '''홍천군''' [[화촌면]] 편입 [br] [[양양군]] [[서면(양양)|서면]] 명개리 → '''홍천군''' [[내면]] 편입 [br] '''홍천군''' 내면 미산리 → [[인제군]] [[기린면]] 편입 [br] '''홍천군''' [[남면(홍천)|남면]] 상창봉리 → [[횡성군]] [[공근면]]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80.4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20,5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67.3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01,0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60.09%,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90,1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51.8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77,7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50.60%,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75,8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48.81%,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73,2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46.89%,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70,3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46.60%,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69,8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46.8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0,3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46.1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69,2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45.0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67,294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96.271%, #888 0%, #888 100%, #AAA 0%)" {{{#fff 홍천읍 33,6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16.563%, #888 0%, #888 100%, #AAA 0%)" {{{#fff 남면 5,7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12.323%, #888 0%, #888 100%, #AAA 0%)" {{{#fff 화촌면 4,3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11.931%, #888 0%, #888 100%, #AAA 0%)" {{{#fff 영귀미면 4,1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11.914%, #888 0%, #888 100%, #AAA 0%)" {{{#fff 북방면 4,1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10.831%, #888 0%, #888 100%, #AAA 0%)" {{{#fff 서면 3,7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10.449%, #888 0%, #888 100%, #AAA 0%)" {{{#fff 서석면 3,6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8.714%, #888 0%, #888 100%, #AAA 0%)" {{{#fff 내면 3,0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6.954%, #888 0%, #888 100%, #AAA 0%)" {{{#fff 내촌면 2,4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c44 6.917%, #888 0%, #888 100%, #AAA 0%)" {{{#fff 두촌면 2,421명}}}}}} || || {{{-2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 홍천의 인구는 [[강원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중에서 가장 많으며,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인 [[삼척시]], [[태백시]]보다도 많다.[* 다만 태백의 경우 면적이 홍천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아서 홍천과 면적 차이가 매우 크기에, [[인구 밀도]]는 태백 쪽이 훨씬 높다.] [[이촌향도]]의 여파로 1966년 132,065명을 정점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1982년 10만대가 붕괴했고 2009년 10월에는 7만대도 붕괴했다. 그나마 [[서울양양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기업 유치와 [[귀농]] 인구의 증가로 2년만에 다시 7만대를 회복했으나[[https://www.joongang.co.kr/article/6694067#home|#]] 2018년 11월부로 다시 7만 명 선이 무너졌고[[http://www.hcsinmo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119|#]] 여전히 감소 추세에 있다. 이런 상황에서 11사단·신병교육대가 통폐합될 위기에 처하자 홍천의 반발이 컸으나[[https://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87702|#]] 끝내 신병교육대가 폐지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홍천의 [[면(행정구역)|면]]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면은 [[남면(홍천)|남면]]이다. 남면의 인구는 5,749명[* [[2023년]] [[2월]] 기준]으로 홍천의 면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으며, 그 다음으로 많은 면은 [[화촌면]]으로 4,368명이 살고 있다. 물론 이는 면들 중에서 그렇다는 것이고,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유일한 [[읍(행정구역)|읍]]인 [[홍천읍]]이다. 홍천읍에는 홍천 인구의 절반인 33,999명이 거주한다. 추후 [[용문-홍천 광역철도]]가 신설된다면 지금보다 인구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으나 배후 인구가 워낙 부족해서 성사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이다.[[http://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7|#]] == [[홍천군/교통|교통]] == [[춘천시|춘천]] - [[원주시|원주]]축과 [[서울특별시|서울]] - [[속초시|속초]]축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천군/교통)] == 관광 및 특산물 == 유명한 관광지로는 [[서면(홍천)|서면]]에 있는 [[비발디 파크]]([[오션월드]] , '''스키월드''')가 있다. 타지 사람들이 홍천이 어딘지는 몰라도 여기가 어딘지는 알 정도로 홍천 내에서는 그나마 인지도가 높은 관광지이다. 그런데 이곳은 홍천의 다른 지역보다는 오히려 [[경기도]] 쪽에서 접근성이 좋다. 애초에 서면 자체가 홍천의 최서단이기도 하고 경기도와 맞닿아 있으며 또한 [[하이트맥주]] 공장도 있다. 맥주의 원료가 되는 [[홉]]을 재배하는 농장도 있다. 맥주 공장 근처에 홍천온천이 있다. 홍천군 서면의 [[홍천강]]에도 물놀이 관광객들이 많은 편이다. [[청춘불패]]의 촬영지였던 유치리가 남면에 위치한다. 다소 뜬금없어 보이지만 [[화촌면]]에는 [[알파카]]월드가 있다. 공작산에는 '수타사'가 있으며 그 주변 생태길도 나름 알려져 있다. [[내면(홍천)|내면]]의 남동부는 [[오대산]][[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유명한 축제로는 나라꽃 [[무궁화]]축제([[2008년]] 이전에는 한서제), 홍천 [[한우]]축제, 강원[[인삼]]축제, [[찰옥수수]]축제, 홍천강 인삼[[송어]]축제, 홍천강 별빛음악 [[맥주]]축제 등이 있다. 맥주 축제에서는 하이트맥주 공장에서 바로 출하된 신선한 생맥주를 맛볼 수 있다. 홍천강 꽁꽁축제는 겨울에 홍천강이 얼었을 때 열리는데 [[2015년]] 축제는 이상 기후로 인해 홍천강이 얼지 않아서 취소됐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4/0200000000AKR20151224133100062.HTML|#]]).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그런데 2020년에는 홍천강이 얼지 않았지만 취소가 되지 않았다.]][* 행사를 더 연기하지 않는 대신 얼음 낚시를 부교 낚시로 변경하고 실내 콘텐츠 위주로 행사 내용을 변경했다. 이러한 조치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기 이전에 행사를 마쳐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특산물로는 [[쌀]], 한우, 찰옥수수, 6년근 인삼, [[잣]] 등이 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홍천의 찰옥수수, 한우, 잣, 명이가 등록되어 있다. == 체육 == [[2021년]] [[5월 21일]] [[강원일보]]에 따르면([[http://www.kwnews.co.kr/nview.asp?aid=221052000066|#]]), 홍천군은 지난 해 여중부 클럽 [[배구]]팀을 창단했고, [[2022년]] 초에 여고부 클럽 배구팀을 창단할 예정이다([[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088931|#]]). 여자 배구 국가대표 및 현대건설 구단을 지휘했던 홍성진이 여중 - 여고부의 총감독을 담당할 예정이다. 과거 IBK기업은행 구단의 수석 코치를 맡았던 김종문도 가세한다. 창단 2년 만에 제77회 [[전국남녀종별배구선수권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여 [[http://www.kwnews.co.kr/nview.asp?aid=222051000136|화제를 낳았다]]. 2022년 7월 7~10일, 서머매치를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3051100007?input=1195m|홍천에서 개최]]하며 4개 구단이 참가한다. 홍천군민들은 KGC인삼공사, GS칼텍스, 한국도로공사, 흥국생명를 만나볼 수 있었다. 그리고 비주전 선수들은 이 경기를 통해 [[https://v.daum.net/v/20220712070101229|자신의 존재를 입증했다]]. [[역도]] 명문 학교인 [[홍천중학교]], [[홍천고등학교]]가 자리해있는 지역이라[* [[https://www.nongmin.com/plan/PLN/SRS/353749/view|출처 자료]]] [[사재혁]], [[전상균]] 등 역도 메달리스트나 거물급 인사들이 꾸준히 배출되는 중이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사재혁이 설립한 역도 체육관도 자리해있기도 하다. == 교육 ==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의 중학교)]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의 고등학교)] == [[홍천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천군/정치)] == 군사 == [[제11기동사단]], [[제3기갑여단]], [[제20기갑여단]], [[제1수송교육연대]], [[국군홍천병원]]이 위치하고 있어 군사적 요충지 중 하나이다. 특이한 점은 기갑부대들이 유독 많다는 점. 또한 지금은 해체된 [[제76보병사단]]의 사단본부가 있던 곳이다. == 종교 == 특이하게도 예장통합이나 합동이 아니라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의 세가 강한 편인데, 이는 한국 서양음악계와 홍천군에 기여한 바가 많은 [[마두원]] 선교사가 큰 영향을 끼쳤다. == 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홍천군/행정)] == 기타 == [[충청남도]] [[홍성군]]과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바로 아랫 동네인 [[횡성군]]과 헷갈려하는 사람들도 있다. [[용(성씨)|용씨]]의 본관이 홍천이다. 그래서 용씨 성을 가진 사람을 많이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남궁억]] 선생의 고향이 홍천이라 남궁씨도 많이 볼수있다. ==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 * [[고설봉]] * [[금잔디]] - 가수 * [[김규진(정치인)|김규진]] * [[김근배(1921)|김근배]] * [[김기남(1943)|김기남]] * [[김병수(축구인)|김병수]] - 현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감독 * [[김준형(교수)|김준형]] * [[키덜트리포트|남궁아사달]] - 방송인 * [[남궁민(공무원)|남궁민]] - 전 우정사업본부장 * [[노승락]] - 前 홍천군수 * [[노승철]] * [[민경배]] * [[박길선]] * [[박상돈(1962)|박상돈]] - 서울물재생시설공단 이사장 * [[박석윤(1961)|박석윤]] * [[변정권]] * [[배준식]] - 프로게이머 * [[사재혁]] - 역도선수, [[2008 베이징 올림픽]] 역도 금메달리스트. * [[서동현(축구선수)]] * [[신도현(정치인)]] * [[신철균]] - 前 정치인 * [[엄소영]] * [[엄재철]] * [[이교선(1931)|이교선]] - 前 정치인 * [[이도운(언론인)|이도운]] -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前 문화일보 논설위원 * [[이상룡(1934)|이상룡]] - 前 정치인 * [[이승도]] * [[이승우(1952)]] - 前 예금보험공사 사장 * [[이승춘]] - 前 정치인 * [[이애란(가수)|이애란]] - 가수 * [[이영표]] - 前 축구선수 * [[이응선]] - 前 정치인 * [[이재학(1904)|이재학]] - 前 정치인 * [[이철우(1960년 8월)]] * [[장지현]] - 축구 해설위원 * [[전상국]] - 소설가 * [[전성(변호사)]] * [[조일현]] - 前 국회의원 * [[차명화(성우)|차명화]] - 성우 * [[최낙윤]] - 성우 * [[최성진(1950)|최성진]] * [[최영철(군인)]] * [[최원호(공무원)]] * [[최환식]] * [[허인구]] * [[허필홍]] - 前 홍천군수 * [[홍병천]] * [[홍성기(정치인)]] * [[홍성민(배우)]] * [[홍수현]] - 배우 * [[황영철]] - 정치인 * [[한윤지]] - 배우 * [[함희성]] === 가상 인물 === * [[류해나]]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등장인물.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홍천, version=64)] * [[문서 삭제식 이동]](홍천 → 홍천군) [[분류:홍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