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치|[[파일:logo_white.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홍치 H9.png|width=100%]]}}} || || {{{#fff '''H9'''}}} || '''Hongqi H9''' [목차] == 개요 == [[2020년]]부터 [[중국]] [[디이자동차]](FAW) 산하의 [[홍치]]에서 생산하고 있는 대형 세단이다. == 역사 == === 1세대(2020~현재) === [[파일:홍치 H9 후면부.png|width=700]] 차량의 후면부 [youtube(jOmtAYq6zvU)] 15초 광고 [[2020년]] 4월에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8월부터 [[중국]] 시장에 판매되었다. 롱바디 사양인 +(플러스)는 [[2020년]] 내로 출시될 예정이다. [[후륜구동]] 형태의 차량으로 [[폭스바겐 피데온]]이 사용하는 세로배치 전륜구동 [[폭스바겐 그룹 MLB 플랫폼|폭스바겐 MLB 플랫폼]]을 후륜구동으로 개조하여 사용한다.[* [[폭스바겐]]이 중국에 진출할 때 [[디이자동차]]와 합작을 통해 기술제휴를 했기에 플랫폼 사용이 가능했다. ] [[파워트레인]]은 252마력의 2.0L 터보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283마력의 3.0L 가솔린 V6 엔진이 탑재되었다.[* 참고로 [[현대 아반떼 N]]에 장착되는 2.0 터보 직렬4기통 세타 엔진의 최고 출력은 280 마력이고, 5세대 그랜저에 장착되었던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인 V6 3.0 람다2(2011) 엔진의 최고출력은 270 마력이다. 2010년대 후반에 개발된 3,000cc 가솔린 엔진이 슈퍼차저까지 넣고 283 마력은 낸다는 것은 10년 전 기술력만도 못하다는 얘기이다. 게다가 H9는 '''명색이 고급세단'''임에도 플래그십 라인업이라는 물건의 출력이 매우 구린 것.][* 완성차 회사의 슈퍼차저가 장착된 엔진은 엔진을 조율할 때 대개 최대출력은 건들지 않고 저/중속 역에서 높은 토크가 자연흡기처럼 자연스럽고 즉각적이게 나오도록 설계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이는 기계적인 슈퍼차저의 튜닝 난이도가 매우 높아서 손쉽게 건드릴 수 없기 때문이며 다른 고급차 브랜드도 슈퍼차저를 '''진작에 전동화한 지 오래이다.''' 이 차의 급에 따른 주행조건이 딱히 나쁜 구성은 아니라고 할 수 있는 건 어디까지나 E세그먼트 차량의 롱바디 버전과 경쟁하는 중국 시장에서나 적합한 얘기지, 그 외의 시장에서는 중국 시장에 특화된 크기 때문에 플래그십 세단하고 경쟁해야 하는 처지라서 메리트가 없다.] 이와 함께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가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5,120mm, 전폭은 1,904mm, 전고는 1,493mm, 휠베이스는 3,060mm, 공차중량은 1,875kg~1,995kg이다. 한국 판매를 타진하고 있으며, 은색과 검은색의 인증용 차량 2대가 현재 한국에 도입되어 있는 상황이다.[* 은색 차량은 서울의 한강공원 주차장에 방치되어있다고 한다.] 홍치 공식 SNS에도 영상이 업로드되었고, 일부 유튜버가 이 차량을 살펴보거나 시승하기도 했는데, 홍보용을 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일본 시장에도 판매할 것을 자사 웨이보를 통해 공식 발표하며 홍치 차종 중 가장 다양한 국가에 판매되는 차종이 되었다. [[파일:한강 방치차.jpg]] 한강공원 주차장에 방치 중인 모습. [[우크라이나]] 시장에서는 [[ZAZ]]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어 [[2022년]]부터 판매될 예정이었다. 다만 2022년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상황이 녹록치 않아]] 무기한 연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 제원 ==== ||<#800000><-3> {{{#ffffff 홍치 H9}}} || || 엔진 || 2.0L I4 터보 || 3.0L V6 슈퍼차저 || || 엔진 코드 || 2.0T CA4GC20TD-31 || 3.0T CA6GV30TD-03 || || 연료 ||<-2> 휘발유 || || 배기량 (cc) || 1,989 || 2,951 || || 구동방식 ||<-2> [[FR(자동차)|FR]] || || 출력 (ps) || 252 || 283 || || 전장 (mm) ||<-4> 5,120 || || 전폭 (mm) ||<-4> 1,904 || || 전고 (mm) ||<-4> 1,493 || || 축거 (mm) ||<-4> 3,060 || || 공차중량 (kg) ||<-2> 1,875 ~ 1,995 || || 변속기 ||<-2>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 || == 경쟁 차량 ==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E클래스]][*중국시장 중국시장 한정. 중국에서는 전용 롱바디 차량이 판매된다.] * [[아우디]] - [[아우디 A6|A6]][*중국시장] [[아우디 A8|A8]] [* 숏바디 기준] * [[BMW]] - [[BMW 5시리즈|5시리즈]][*중국시장] [[분류:FAW/생산차량]][[분류:홍치/생산차량]][[분류:2020년 출시]][[분류:대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