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홍콩의 대중교통)] {{{+1 香港西九龍站 | Hong Kong West Kowloon Station}}} ||<-6> [[중국 국철|[[파일:chinarailways_white.png|height=24&align=left]]]][[중국 국철|{{{#ffffff '''중국 국철'''}}}]]|| ||<-6> [[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홍콩사이까우룽}}}[br]{{{+1 香港西九龍 | Hong Kong West Kowloon}}}}}} || ||<-6> || ||<-6> || ||<-2> [[광저우난역|{{{-1 {{{#585858,#dddddd 광저우난 방면}}}}}}]][br][[푸톈역|푸 톈]][br]← 30.0 km ||<-2> [[광선강고속철도|{{{#ffffff {{{#!html
광선강고속철도
}}}}}}]] ||<-2> {{{#585858,#dddddd 시종착}}} || ||<-6> {{{#007881 ●}}}{{{#ff9900 ●}}} [[까우룽역|MTR 뚱충선, 공항선 이용하기(까우룽역)]][br]{{{#a74c00 ●}}} [[오스틴역|MTR 튄마선 이용하기(오스틴역)]][* 단, 까우룽역과 오스틴역간의 환승은 외부 통로를 이용해야 하는고로 다소 번거로운 편이다.] || ||<-6>[include(틀:지도, 장소=Hong Kong West Kowloon Railway Station, 너비=100%, 높이=225px)]|| ||<-6> {{{#ffffff,#000000 '''주소'''}}} || ||<-6> [[홍콩]] [[구룡반도]] [[야우침몽구]] [[침사추이]][br]3 Austin Road[*한문 香港九龍油尖旺區尖沙咀 柯士甸道西3號][*영문 3 Austin Road, Tsim Sha Tsui, Yau Tsim Mong District, Hong Kong] || ||<-6> {{{#ffffff,#000000 '''개업일'''}}} || ||<-6> [[2018년]] [[9월 23일]] || ||<-6> {{{#ffffff,#000000 '''노선거리표'''}}} || ||<-2> [[베이징시역|{{{#!html
베이징시 방면}}}]][[푸톈역|푸 톈]][br]← 30.0 km ||<-2> '''{{{-3 [[징광선강고속철도]]}}}'''[br]{{{-1 홍콩사이까우룽}}} ||<-2> {{{#gray 종점}}} || ||[[파일:홍콩사이까우룽역.png|width=360]]|| ||<:>{{{#ffffff '''홍콩사이까우룽역 역사 외관.'''}}}|| ||[[파일:20180819_01B.jpg|width=360]]|| ||<:>{{{#ffffff '''홍콩사이까우룽역 승강장 모습.'''}}}||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사이까우룽(香港西九龍/Hong Kong West Kowloon)[* 한국식 한자독음으로는 서구룡이라고 표기한다.]역은 [[홍콩]] [[구룡반도]] [[야우침몽구]]에 위치한 [[MTR(기업)|홍콩철도유한공사]]와 [[중국 국철]] [[징광선강고속철도]]의 역으로, [[2018년]] [[9월 23일]] [[중국 대륙]] [[광둥성]] [[선전시]] [[푸톈역]] - [[홍콩]] [[구룡반도]] 간 구간 개통과 동시에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https://www.highspeed.mtr.com.hk/tc/guide/local-guides.html|시설 안내도를 볼 수 있는 사이트]] 西九龍이라는 역명에서 알 수 있듯이 [[구룡반도]] 서남부 지역에 있다. [[뚱충선]] 및 [[공항선]]의 [[까우룽역]]과는 사실상 같은 역으로 엘리먼트(Element)라는 [[아파트]] 단지 및 ICC 구내에 역이 위치해서 아주 편리하다. [[승강장]]을 포함한 역 시설 대부분이 지하에 있는데 15선 22면이라는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며, 현재는 이 중에서 10선 14면만을 사용한다. 중국에서 홍콩에 진입한 후 이 역에서 바로 옆에 위치한 [[까우룽역]]에 가서 [[홍콩역]]으로 향하는 [[뚱충선]]을 잡아 타면 5~10분만에 [[홍콩 섬]]에 도달하여 아주 편리하다. [[튄마선]] [[오스틴역]]도 근처에 있어 이를 타고 [[침사추이]]나 몽콕 등으로 향할 수 있다. 한국의 고속철도 전용역인 [[수서역]]의 규모가 3면 6선보다 훨씬 크고 일반열차와 고속열차가 같이 사용하는 [[서울역]]이 9면 16선에 맞먹는 규모를 감안하면 국내의 대형 철도역과 비교해도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즈니스 목적 방문객도 많은 역으로 [[중국 대륙]]에서 비즈니스 목적으로 ICC나 바다 건너편 [[홍콩 섬]] 센트럴, 셩완, 완차이 등으로 가는 사람들 혹은 홍콩에서 중국으로 출장가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며 특히 이 역이 개통된 직후부터는 하루짜리 당일치기로 [[광둥성]] 일대나 [[푸젠성]][* 푸젠성 샤먼까지는 4시간 30분, 성도 푸저우까지는 5시간 30분가량 소요된다.] 일대를 다녀오기도 한다. [[광저우난역]]과 이 역을 잇는 [[고속열차]]가 자주 다니며[* MTR 소속 [[CRH380|동감호(動感號. Vibrant Express) 고속열차]]가 이 구간만 운행하고 있다.] 그 외 [[베이징시역]], [[상하이역]], [[상하이훙차오역]], [[창사시|창사]], [[우한시|우한]], [[청두시|청두]], [[시안시|시안]] 등 타 중국 도시들로 가는 수요도 있다. 이 역에서 [[고속열차]]를 탈 경우 [[홍함역]]에서 [[베이징시역]] 및 [[상하이역]]으로 가는 [[침대차]] 직달열차보다 시간이 엄청 절약된다. 지하층부터는 홍콩이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이민관리국이 공동으로 근무하며 홍콩출입경심사-본토출입경심사를 병행하는 일지양검(一地兩檢) 서비스를 실시한다. 홍콩출입경심사 - 노란색 경계선[* 이 선을 기준으로 홍콩 법/중국 대륙법이 각각 적용된다.] - 중국내지출입경심사를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출입경 행정으로는 '홍콩에서 중국 본토로 가는 고속철도'를 타는 것이 아니라 홍콩에서 '''걸어서''' 중국 본토로 넘어간 후 '중국 본토 내를 운행하는 고속철도'를 타는 것으로 처리한다.]. 열차로 왕복이 가능하니까 반대도 마찬가지다. [[국경선]]이라고 [[면세점]]도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선전완 통상구]]에서도 실시 중으로 여기서는 다리 건너서까지 홍콩[[특별행정구]]로 치고[* 중국 내지 땅인데도, 홍콩 법을 적용받는다.], 걸어서 중국 쪽 이민관리국 검문소를 가는 순간 [[중국 본토]]가 된다. 덕분에 [[일국양제]] 위반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2018년]] [[홍콩 입법회]] 여야 간 극렬 대립이 이루어졌을 정도. 다만, 선전 지역에서는 오히려 홍콩이 이득인데다가 비즈니스적으로 편리하였기에 시행 후에는 별다른 이야기가 나오지 않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1월 30일부터 [[중국 대륙]]-[[홍콩]] [[고속철도]] 운행이 중단되면서 역도 폐쇄되었으나, 3년만인 2023년 1월 15일부터 운행재개와 동시에 역도 다시 개방되어 현재는 잘 다니고 있다.[* 2020년 1월 멋대로 중국본토와의 관문을 닫은 [[캐리 람]] 당시 행정장관은 이것 때문에 중국 눈 밖에 나서 행정장관 선거에 재출마할 수 없었으며 [[존 리]]가 단독출마로 당선되어 해외 출입국 정상화와 중국본토 및 마카오와의 관문 무격리 통관을 재개하였다.] == 사이까우룽역 철로통상구 ==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ffff00 '''[[중국|{{{#ffff00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통상구[br]{{{+1 [ruby(西九龍站, ruby=Xījiŭlóngzhàn)][ruby(鐵路, ruby=Tiělù)][ruby(口岸, ruby=Kŏuàn)][br][ruby(高鐵, ruby=Gou1tit3)][ruby(西九龍, ruby=Sai1gau2lung4)][ruby(管制站, ruby=Gun2zai3zaam6)]}}}'''[br] West Kowloon Station Mainland Por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香港西九龍站,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분류}}}''' || 육로(철도) || ||<-2> '''{{{#ffff00 등급}}}''' || 국가급(1류) || ||<-2> '''{{{#ffff00 접경지}}}'''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height=15]] [[홍콩]] || ||<-2> '''{{{#ffff00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파일:1024px-Flag_of_the_Customs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png|height=15]]]]선전해관[br][[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height=15]]]]선전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2> '''{{{#ffff00 운영시간}}}''' || 열차 운행시간 || ||<-2> '''{{{#ffff00 주소}}}''' || {{{-1 광선강고속철도 사이까우룽역 내지통상구}}}[br]{{{-1 廣深港高鐵西九龍站內地口岸區}}} || ||<-2> '''{{{#ffff00 설치년도}}}''' || [[2018년]] [[9월 23일]] || 최초로 일반철도역이 아닌 고속철도역사에 설치된 여객전용 국경 통상구로 같은 중국의 일부이지만 다른 나라로 취급하는 [[홍콩]]의 홍콩사이까우룽역 지하 2,3층에 설치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이민관리국]]과 [[홍콩 입경사무처]]가 공동근무를 통해 홍콩출입경심사-중국출입경심사를 병행하는 일지양검(一地兩檢) 서비스를 실시한다. [[마카오]] 쪽 [[칭마오 통상구]]와 함께 [[특별행정구]] 관내에 설치된 중국본토 관할 통상구이다. 사실 특별행정구는 중국의 일부지만 중국 헌법에 의해 특수지위가 보장되어 다른 나라에 준하게 취급되는 만큼 국경통상구와 비슷하게 운영된다. [clearfix] [[분류:홍콩의 철도역]][[분류:201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중국의 국경통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