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 {{{+1 '''홍해 위기'''}}}[br]'''Red Sea Crisis''' || ||<-2>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여파 || ||<-2>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2> {{{#fff '''기간'''}}} || ||<-2> [[2023년]] [[10월 19일]] ~ {{{#red '''진행 중'''}}}[br](개전일로부터 '''[dday(2023-10-19)]일''') || ||<-2> {{{#fff '''장소'''}}} || ||<-2> '''[[홍해]], [[아덴만]],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 ||<-2> '''{{{#fff 원인}}}''' || ||<-2>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미국-이란 관계]] 악화 || ||<-2> {{{#fff '''교전 국가 및 세력'''}}} || ||<^|1>'''[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 {{{#!folding [번영의 수호자 작전]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바레인,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크기=27)]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크기=27)]}}} ||<^|1>[include(틀:국기, 국명=예멘)] ([[최고정치위원회]]) * [[후티]]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 ||<-2> {{{#fff '''지원 및 지지 의사 표명 국가 및 단체'''}}} || ||<^|1> ||<^|1>[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크기=27)][* 후티로 향하는 물품을 압수해 조사하던 중에 이란의 무기에 [[한글]]이 적혀있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를 토대로 [[북한]]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헤즈볼라]] \ [[이라크 이슬람 저항군]] || ||<-2> {{{#fff '''지휘관'''}}} ||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 수뇌부'''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 [[이츠하크 헤르초그]][* 이스라엘 대통령]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 요엘 스트릭[* [[이스라엘 육군]] 사령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조 바이든]]'''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로이드 오스틴]]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 '''[[리시 수낙]]'''}}}}}}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 수뇌부''' '''[[압둘 말리크 알후티]]'''[* 후티 지도자] [[모하메드 알아티피]] [[마흐디 알마샤트]] [[압델아지즈 빈 합투르]]}}}}}} || ||<-2> {{{#fff '''병력'''}}} || ||<^|1>[[이스라엘군]][br][[미군]][br][[영국군]] ||<^|1>[[후티]] || ||<-2> {{{#fff '''피해 상황'''}}} || ||<-2> {{{#fff '''인명 및 장비 손실'''}}} || ||<^|1>[[네이비 씰]] 사망자 2명[br][[MQ-9]] 파괴 ||<^|1>사망자 125명 이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10월 19일]]부터 친[[이란]]인 [[후티]]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감행했고 [[홍해]]를 지나는 선박을 향해 공격을 하면서 시작된 위기. == 전개 == === [[2023년]] === [[10월 19일]], [[미합중국 해군]]이 [[예멘]]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이스라엘로 향해 이를 격추시켰다고 전했다. [[11월 8일]], 예멘 해안 지역에서 [[후티]]가 [[MQ-9]] 드론을 격추시켰다. [[11월 19일]], 후티가 [[일본우선]]의 선박을 [[하이재킹]]했다. [[11월 24일]], [[말타]] 국적기를 단 선박이 [[이란]] 드론에 의해 공격을 당했다. [[11월 26일]], [[아덴만]]에서 [[라이베리아]] 국적기를 단 선박이 후티의 공격을 받고 나포되었다. [[12월 3일]], 후티가 [[노르웨이]] 선박 ''Strinda''에 [[대함 미사일]]을 발사했다. 프랑스 국방부와 [[미국 국방부]]는 선박을 향해 날라온 드론을 요격했다고 발표했다. [[12월 10일]], [[프랑스 해군]]의 [[아키텐급 호위함]]이 [[호데이다]]에서 출격한 드론을 격추시켰다. [[12월 16일]], [[이집트]] [[다합]] 상공에서 있던 드론을 [[이집트 공군]]이 격추시켰다. [[12월 30일]], 후티가 [[MAERSK]]의 선박을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공격]]했다. === [[2024년]] === [[1월 11일]], [[네이비 씰]]이 [[소말리아]] 인근 해안에서 후티로 향하는 선박을 습격했다. 해당 선박에는 [[이란]]에서 제작한 미사일과 무기 등이 발견되었고 14명의 선원이 구금되었다. 습격 당시 파도로 인해 네이비 씰 대원 1명이 바다로 빠지자 그를 구출하기 위해 다른 대원 1명이 따라 들어갔으나 10간의 수색 작전에도 그들을 찾지 못해 공식적으로 사망 처리되었다. 한편, 후티는 아덴만 근처에 대함미사일을 발사해 인근에 위치한 선박 옆에 떨어졌다. [[1월 16일]], [[베트남]]발 이스라엘행 [[그리스]] 선박에 후티가 대함 미사일 공격을 했다. [[1월 18일]], 후티가 [[제다|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쿠웨이트]]로 향하는 선박에 공격을 실시했다. [[1월 29일]], [[덴마크]]에서 후티 공격에 대응하는 연합군에 [[이베르 휘트펠트급 호위함]]을 지원했다. [[1월 31일]], 주제프 보렐 [[유럽연합]]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상선 보호를 위한 [[아스피데스 작전]]을 3주 내에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월 2일]], 후티가 [[에일라트]]를 향해 미사일 공격을 했다. [[분류:2023년 전투]][[분류:2024년 전투]][[분류:예멘의 사건 사고]][[분류:후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