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목차] == 개요 == [[북한]]에서 운용하거나 개발중인 지대지 탄도미사일의 제식명칭이다. 유래는 [[화성]][* 하단의 여담과 둘러보기 항목에도 있지만 북한은 천체를 미사일 명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으로 [[김정일]]이 직접 붙인 명칭이다.[* [[김길선]]의 증언이다. [[https://youtu.be/K3rv7mO5DmQ?t=590|참조]]] [[조선인민군 전략군]]에서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싸일총국]]도 관여하는 무기 체계이다. 전략군 산하에 하위 부대명으로 '화성포병부대'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 우리나라의 [[현무 미사일]]처럼 북한 미사일 전력의 핵심으로 단거리 미사일부터 [[괌]], [[미국]] 본토를 겨냥한 [[ICBM]]까지 이 이름으로 묶여 있다. 주로 액체 연료를 기반의 미사일들이지만, [[화성-11]] 계열은 고체연료 기반이다. 우리 언론에서는 '화성 계열 미사일'이라고 부르는데 '계열'이라는 표현은 실제 북한에서도 쓰는 말로 '화성 계열 로케트들'이라고 묶어 부른다.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pn=1&num=5198&fbclid=IwAR2UR5JfjwILbSf7iwxR4uJwvxZSZHEojGeYqqdhykQE_xpdxcqkj3gKitc|#동영상 5초 부근]] === 언어별 표기 === ||<-2> 언어별 표기 || || 한국어 || 화성 미사일, 화성포[* 김정은은 [[화성-17]]을 두고 "분명코 우리 인민이 자기의 힘으로 안아온 거대한 창조물이며 전략적 힘의 위대한 실체이고 명실공히 조선인민의 《화성포》"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화성 미사일을 통틀어 '화성포'로 부르는 용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영어 || Hwasong Missile || ||<|2> 일본어 || [ruby(火星, ruby=かせい)] ミサイル[* [[화성-8]]을 '카세 하치'로 발음한 예 [[https://www.youtube.com/watch?v=zJg5rb-1TeY|#]]] || || ファソン ミサイル[* [[화성-12]]를 '화손 쥬니'로 발음한 예 [[https://www.youtube.com/watch?v=AiT7eNB6y6k|#]]] || || 중국어 || 火星彈道飛彈 || || 아랍어 || هواسونغ صاروخ || 이 외의 [[로마자]] 사용 국가는 모두 영어식 표기를 따라 Hwasong으로 표기한다. == 역사 ==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구형 [[스커드]] 미사일 외에는 열병식에 내보내지 않아 추정만 무성했으나, 201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노동 미사일과 [[무수단]] 미사일, 단거리 탄도탄인 [[KN-02]] 독사 미사일이 스커드와 함께 등장하여 그 실체가 서방 세계에 처음 공개되었다. 이어 2012년 4월 15일 열병식에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대형 탄도미사일이 등장하였으며, 크기로 보아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일 가능성이 있어 미국이 우려를 자아내기도 했다. 미국은 이 미사일에 KN-08이라는 코드명을 붙였다. 이후로 열병식마다 과시하듯 새로운 미사일을 선보이더니, 2016년부터는 지속적인 시험 발사를 통해 위협을 고조하고 있다. == 목록 == === 사거리에 따른 목록 === * 화성-11라 : 사거리 110km * 화성-11(독사) : 사거리 120~150km * 화성-11나 : 사거리 240km * 화성-5/6(스커드 계열) : 사거리 300~500km, 800기 * 화성-11ㅅ : 사거리 600km * 화성-7(노동 1호, 2호) : 사거리 500~1000km , 200기 * 화성-8 * 화성-11가 : 800km * 화성-9(?)[*b 2017년 [[평양]] 여행에서 운좋게 [[조선인민군]] 무기 박물관을 견학한 'Хохочущий Овощ'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주장한 내용. [[http://www.neams.ru/real-name/|#해당 글]]](스커드 ER) : 사거리 1000km * 화성-10(무수단) : 사거리 3500km, 50~100기 * 화성-12 * 화성-13 * 화성-14 :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사거리 9,000~10,000㎞ * 화성-15 : ICBM, 사거리 13,000㎞ * 화성-17 : ICBM, 사거리 15,000㎞ * 화성-18 : ICBM, 사거리 15,000㎞ === 호순에 따른 목록 === || 명칭 || 분류 || 한미측 표기 || || ~~화성-1~~[*a 도태되어 취소선 처리] ||<|6> SRBM || Luna, FROG[*b] || || ~~화성-2~~[*a] || FROG || || ~~[[화성-3]]~~[*a] || Luna-7, FROG-M[*b] || || ~~화성-4~~[*a] || FROG || || 화성-5 || SCUD-B || || 화성-6 || SCUD-C || || [[화성-7]] || MRBM || 노동 || || [[화성-8]] || 극초음속 미사일 || - || || 화성-9 || 결번 || [[SCUD-ER]]로 추정[*b] || || [[화성-10]] || IRBM || 무수단 || || [[화성-11]] || SRBM || KN-02, 독사 || || → [[화성-11가]] || SRBM || KN-23, 북한판 이스칸데르 || || → [[화성-11나]] || SRBM || KN-24[* 군당국 표기가 아닌 언론 및 군사전문가의 이표기로 선군 ATACMS라는 별칭도 있다.] || || → [[화성-11라]] || CRBM || 근거리형 전술유도탄[* 군당국 표기가 아닌 언론 및 군사전문가의 이표기로 북한판 KTSSM이라는 별칭도 있다.] || || → [[화성-11ㅅ]] || SLBM || 잠수함 발사형 전술유도탄[* 정확히는 '잠수함 발사형 전술유도탄(북한판 이스칸데르 파생형)'으로 표기되었다.] || || [[화성-12]] || IRBM || KN-17 || || [[화성-13]] || ICBM || KN08, KN-14 || || [[화성-14]] || ICBM || KN-20 || || [[화성-15]] || ICBM || KN-22 || || 화성-16 || 결번 || - || || [[화성-17]] || ICBM || - || || [[화성-18]] || ICBM || - || || '''화성-11계열을 세로축에 배치한 경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파일:화성 미사일 호순.svg|width=800px]] * 연록색 바탕은 화성-11계열임 }}}}}} || 화성 계열 미사일은 개발 혹은 배치된 순서대로 이름이 붙는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2021년에 공개된 [[화성-8]]을 설명하지 못한다. 우선 화성-1~4형은 프로그 로켓 등의 구형 미사일으로 지금은 도태되어 운용하지 않고 있다고 알려졌다. 2016년 경부터 각종 화성 미사일 시리즈가 공개되면서 결번으로 남겨진 '화성-8'의 정체에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어쩌면 도입 혹은 개발 도중 취소되어 결번 상태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2021년 9월, [[로동신문]]을 통해 실제 [[화성-8]]이 공개됨에 따라 다른 미사일임이 5년이 흐른 2021년 9월이 돼서야 밝혀졌다. 그 이전까지 화성-8의 정체에 대한 여러가지 설들은 [[화성-8#s-2.2|해당 항목]] 참조. 화성-9도 정체는 확실하지 않다. 평양 방문 여행가의 증언[*b] 등에 따라 국내외 전문가나 언론 등에서 SCUD-ER을 화성-9로 부르고 있으나, 북한이 SCUD-ER을 화성-9로 외부에 밝힌 적은 없다. 다만 '화성포병부대들'의 훈련이라 했으므로 SCUD-ER 역시 화성 미사일의 일부인 것은 확실하다. 이후 2021년 군사박람회 [[자위-2021|《자위-2021》]]에서 '화성-11나'의 명칭공개도 이루어져 개량형 및 대체형 미사일에 [[가나다순|가나다 순번]]이 부여되는 것도 확인되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세미나에서 고체연료에 화성 미사일이 붙어서 '특이하다'고 평가했다.[* 한국항공대 출신의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이태규(정치인)|이태규]] 의원이 공동 주최한 세미나로 [[https://www.youtube.com/watch?v=dwncUPw6BPc&t=2850s|전체 영상중 47분 30초 부분 내용]](클릭시 자동 이동)] 화성-11도 고체였으므로, '화성-11'에 가나다순을 붙인 고체연료 시리즈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란이 된 '가'와 관련하여 '화성-11가'도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이었다. 이후 2023년에는 KN-23의 SLBM 개량형이 화성-11ㅅ, [[조선인민군 근거리형 전술유도탄|근거리형 전술유도탄]]이 화성-11라임이 확인되었다.[* 각각 안내판의 표기는 《화성포-11ㅅ》형, 《화성포-11라》형, 《화성포-11라》형이었으나, 화성포/화성, 인용표 사용등을 고려함.] 이어서 KN-23이 [[화성-11가]]였음도 밝혀졌다. 이에 [[조선인민군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도 '화성-11▨'이 확실시된다. 이로써 고체 연료 기반 미사일은 화성-11의 가나다순을 따르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자위-2021에서는 '화성-16'일 것으로 추측되던 ICBM급 미사일도 '[[화성-17]]'이란 것이 밝혀져 '화성-16'이 결번이 되었다. 북한이 화성-17과 화성-15 사이에 개발한 미사일은 여럿 있고 화성-12와 화성-15의 개량형도 발사했으니, 그 중 하나가 화성-16 명칭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명칭이 중구난방인 것은 확실하지만 지상 발사 [[탄도 미사일]][* 및 [[극초음속 미사일]] 포함.]이라는 점은 공통이다. 이 외에 해당 박람회에서 공개된 안내판에서 모자이크처리된 [[조선인민군 극초음속 미사일 2형|극초음속 미사일 2형]]도 《두 글자의 미사일 제식명칭-숫자》 형태를 갖는 것이 확실시되는데,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이 미사일의 일부일 것으로 보였다. 한편 백두산, [[은하 로켓|은하]], [[광명성 로켓|광명성]] 등의 로켓은 북한입장에서는 우주 발사체라고 주장하고 있으므로 ICBM 여부 문제를 차치하고, 일단 북한 내부에서는 '화성'이라는 표기법이 붙지 않았다. === 둘러보기 === ||<#ED1C27> {{{+2 {{{#fff '''화성-1'''}}}}}} ||<#ED1C27> [[화성-3|{{{+2 {{{#fff '''화성-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3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5|{{{+2 {{{#fff '''화성-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6|{{{+2 {{{#fff '''화성-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5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6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7|{{{+2 {{{#fff '''화성-7'''}}}}}}]]}}}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8|{{{+2 {{{#fff '''화성-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7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8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SCUD-ER|{{{+2 {{{#fff '''화성-9''' (추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0|{{{+2 {{{#fff '''화성-1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9(추정)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0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1|{{{+2 {{{#fff '''화성-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1가|{{{+2 {{{#fff '''화성-11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1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1가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1나|{{{+2 {{{#fff '''화성-11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1라|{{{+2 {{{#fff '''화성-11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1나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1라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1ㅅ|{{{+2 {{{#fff '''화성-11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2|{{{+2 {{{#fff '''화성-1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N-23 개량형 SLBM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2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2나|{{{+2 {{{#fff '''화성-12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3|{{{#fff {{{+2 '''화성-13 '''}}}{{{+1 (KN-0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2나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3(KN-08)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3|{{{#fff {{{+2 '''화성-13 '''}}}{{{+1 (KN-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4|{{{+2 {{{#fff '''화성-1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3(KN-14)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4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5|{{{+2 {{{#fff '''화성-1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7|{{{+2 {{{#fff '''화성-1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5의 모습.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7의 모습.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화성-18|{{{+2 {{{#fff '''화성-18'''}}}}}}]]}}}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 {{{+2 {{{#fff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성-18의 모습.png|width=100%]]}}} || - || == 표기법 == === 공식 표기법 === * '''[[인용표]]의 사용''' 북한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잘 쓰지 않는 [[겹화살괄호]]를 사용해'''《화성-00》형'''과 같이 표기한다. 북한에서는 [[인용표]]라 부르는 부호이다. 이 부분은 다른 북한 미사일, 발사체에서도 공통으로 나타난다. * '''화성/화성포의 구분''' 이 외에 '화성포'라는 표현도 혼용된다. [[자위-2021|《자위-2021》]]에서는 [[화성-11나]]가 '''《화성포-11나》형'''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2017년 [[화성-12]] 4차 시험 발사 모니터에서 《화성'''포'''-12》형이라는 표현이 식별되었고, 그 즈음 '화성포 불줄기 뿜는다'는 군가 가사를 발표한 것으로 보아 이 때부터 '화성포'라는 표현도 함께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418171100014|#]]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 녹화 방송에서도 [[리춘히]]가 [[화성-17]]을 [화성포 십칠형]으로 읽으며 소개한다. '-포'라는 표기는 다른 장거리 미사일이나 중국의 [[둥펑 미사일]] 같은 여러 미사일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북한 특유의 표기다. 자료를 찾아보면 [[불새 미사일]] 이전의 [[대전차 미사일]] [[9K11 말륫카]]에 '수성포'라는 명칭이 붙었다는 내용이 있다. 화성의 어원은 행성 화성인데, 수성포 역시 '[[수성]]+포(炮)'라면 이런 식의 작명이 북한식 전통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북극성이나, 금성, 번개에는 '-포'의 표현을 찾기 어렵다. 미사일 자체가 포병에서 분화하였고, [[전략로켓군]] 자체가 구 공산권에서는 포병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혹은 넓은 의미의 지대지 미사일에만 '-포'를 붙여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2023년 3월 북한이 공개한 웹 화보집에서 화성-12/14/15는 화성이라고 부르고 유독 화성-17만 '''《화성포-17》형'''으로 표기하였다. [[https://www.fnnews.com/news/202303211037100033|#1]]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0842|#2]]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2 4차 시험 발사 현황도.jpg|width=100%]]}}}|| || '화성-12'가 화성'''포'''로 표기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나 명칭 공개.jpg|width=100%]]}}} || || '화성-11나'가 화성'''포'''로 표기 || === -호, -형의 문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한의 미사일 개발, 앵커=-호/-형 구분)] === 다양한 표기법의 혼선 === 이런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북한식 작명법(공식 제식 명칙), 북한 작명법을 우리식에 맞게 쓴 국방백서의 표기법, [[KN 코드]]명이 뒤섞여 혼란을 유발하기도 한다. '[[화성-14]], [[화성 14형]], 화성 14호, [[KN-20]], 《화성-14》형'은 모두 같은 미사일을 가리킨다고 보면 된다. 반면 같은 숫자 '14'가 사용되지만 [[KN-14]]는 [[화성-13]]에 대응하는 명칭이다. 포털 검색창에서는 '화성 14'라고만 검색할 경우 [[화성시]]의 [[버스]] 노선인 [[화성 버스 14|화성 14번]]도 함께 뜨는 등 애로사항의 향연이다. 영문으로는 [[문화어]]임을 감안해 Hwaseong이 아닌 Hwasong[*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을 따른다. Hwasǒng이 올바른 표기이나 편의상 breve(˘)를 생략한 것. 대만의 경우 중국어를 사용해도 [[차이잉원]]을 'Cài Yīngwén'이 아니라 'Tsai Ing-wen'으로 쓰는 것과 같은 이치다.]을 사용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어원을 살려 '火星'을 그대로 쓴다. == 기술 수출 == [[북한-이란 관계]]의 대표적인 협력이 바로 미사일 교류인데, [[샤하브-3]]은 [[화성-7]], [[호람샤르 미사일|호람샤르]] 미사일은 [[화성-10]]을 기반으로 했다는 의혹이 있다. 이 외에 [[가우리-1]]도 화성-7을 베이스로 했다. == 여담 == * 우리나라의 [[현무 미사일]]에 대응하는 무기 체계이다보니 [[VS놀이]]를 하는 서적도 있다. [[http://item.gmarket.co.kr/Item?goodscode=754772958|#]] 책 제목이 현무 vs. 화성이다. * 현무 미사일은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SLBM을 포괄하는 종합 체계이지만 화성 미사일은 지대지 탄도미사일에 한정된 미사일 시리즈이다. * 표기에 있어서도 현무 미사일은 로마숫자 대문자로 구분하고, 그 뒤에 [[ABC]]순이 추가로 붙는 반면 화성 미사일은 상기했듯 '-형'과 [[가나다순]]을 사용한다. * 예시) 현무-ⅡC , 《화성포-11나》형 * 현무 미사일과 화성 미사일 모두 공격체계의 일부이므로 서로가 상대 미사일을 맞닥뜨리는 것은 아니다. 현무 미사일을 요격할 체계는 [[번개 미사일]]이고, 화성 미사일을 요격할 체계는 [[천궁 대공미사일]], [[THAAD]],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이다. * 1998년에는 화성 미사일이 지대공 미사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북한의 지대공 미사일은 [[번개 미사일]]이다. 하단 탈북자 인용 보도의 '토성 미사일'이 본래의 화성 미사일에 가깝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 미사일 명칭 관련 MBC 보도글.png|width=100%]]}}} || || 1998년 [[MBC]]에서 [[탈북자]]를 인용해 보도한 북한 미사일 설명 [[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998283_30723.html|#당시 보도]] ||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핵·WMD 위협과 대한민국의 대응)] [include(틀:북한 미사일의 제식 명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조선인민군 전략군, version=233)] [[분류:화성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