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성시의 버스)] [[파일:제부330_NSAC.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33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330번 노선도.png|width=100%]]}}} || ||<-2><:>기점||<:>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장외리(장외리.오리골)||<-2><:>종점||<:>경기도 군포시 금정동(금정역)|| ||<|2><:>종점행||<:>첫차||<:>04:00||<|2><:>기점행||<:>첫차||<:>05:50|| ||<:>막차||<:>21:30||<:>막차||<:>23:30|| ||<-2><:>평일배차||<:>20~30분||<-2><:>주말배차||<:>20~30분|| ||<-2><:>운수사명||<:>[[제부여객]]||<-2><:>인가대수||<:>10대|| ||<-2><:>노선||<-4><:>장외리.오리골(제부여객 차고지) - 제부도입구 - 서신 - 사강 - 마도 - 남양사거리 - 남양뉴타운 - 비봉 - 비봉택지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삼거리 - 군포보건소 - 삼성마을5단지 - 군포국민체육센터 - [[용호고등학교]] - 군포시평생학습원 - [[군포초등학교]] - 당동우체국 - [[군포역]] - G샘병원 - 금정가구거리 - [[금정역]]|| ===# 폐지된 노선 #=== ||<-6> [[파일:화성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33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330-1 노선도.png|width=100%]]}}} || ||<-2><:>기점||<:>경기도 군포시 금정동(금정역)||<-2><:>종점||<:>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쌍송리(마도산업단지)|| ||<|2><:>종점행||<:>첫차||<:>06:30||<|2><:>기점행||<:>첫차||<:>-[*편도 편도로만 운행] || ||<:>막차||<:>07:00||<:>막차||<:> -[*편도 편도로만 운행]|| ||<-2><:>평일배차||<:>30분||<-2><:>주말배차||<:>30분(토요일)/'''미운행(공휴일)'''|| ||<-2><:>운수사명||<:>[[제부여객]]||<-2><:>인가대수||<:>0대[* 330번 차량으로 운행]|| ||<-2><:>노선||<-4><:>금정역 → 군포역 → 대야미삼거리 → 반월역 → 팔곡동 → 구포리 → 비봉 → 남양사거리 → 마도산업단지|| == 개요 ==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왕복 운행거리는 약 93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6007|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일제강점기 때 한국인 자본으로 세운 [[삼성여객(수원)|삼성여객]]에서 '''1917년 6월 13일'''에 개통한 노선이다. 당시 노선은 '마산포 - 사강 - 마도 - 남양 - 비봉 - 야목리 - 반월장 - 대야미 - 당리 - 구군포(구호계사거리)'로, 현재와 거의 유사한 시외완행버스로 개통했다.[* 당시엔 시내버스 개념이 따로 없었다.] 오래된 자료 서적들에는 1930년대 이후로 운행했다고 서술되어 있는데 1915년에 면허를 발급받았다고 한다. * 1986년 3월 30일, 시내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이후 삼성여객 부도로 인해 제부여객이 이 노선을 가져와 운행 중이다. 제부여객 자체가 삼성여객의 후신으로 만들어진 법인이었기 때문. * 2007년 10월 14일, 노선이 셋으로 분리됐다. * 30번 일반시내버스 : 천주교 남양성모성지 - 남양동 - 북양동 - 삼화리 - 비봉 - 야목 - 원리 - 송라리 - 도금단지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역 - 군포역 → 산본시장 → 금정역 → 군포역 → 이후 역순 * 30-1번 일반시내버스 : 화성시청 - 남양동 - 북양동 - 삼화리 - 비봉 - 야목 - 원리 - 송라리 - 도금단지 - 팔곡동 - 반월역 - 대야미역 - 군포역 → 산본시장 → 금정역 → 군포역 → 이후 역순 * 1003번 일반좌석버스 : 제부도입구 - 서신 - 육일리 - 사강 - 마도 - 쌍송리 - 천주교 남양성모성지 - 남양동 - 북양동 - 삼화리 - 비봉 - 야목 - (39번 국도 직통) - 군포역 → 산본시장 → 금정역 → 군포역 → 이후 역순 * 이는 나름 효율적인 개선안이었지만 30번과 30-1번은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고(1~2대로 운행), 있던 승객들마저 다 떨어져 나가게 생겨 1주일도 못 가 다시 330번으로 통합됐다. * 2018년 8월 1일, 330번은 남양도서관, 동광뷰엘, LH4단지를 경유하게 되면서 동수원남양병원을 경유하지 않게 됐다. * 2018년 10월 1일,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됐다. [[http://gall.dcinside.com/transit/86425|관련 게시물]] 노선과 정류장은 기존과 동일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군포 시내 지하차도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 2022년 5월 10일부터 금정역 회차 구간인 군포시청.산본역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금정역 양방향 경유로 회차 경로가 변경됨과 동시에 330-1번이 폐선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transit/489350|관련 게시물]] 동시에 수원 주박 차량이 없어지면서 첫, 막차 시간대도 바뀌었다. == 특징 ==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다.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전 구간 완주 시 빠르면 1시간 30분 소요된다. 시간표 상 소요시간은 2시간 내외. * [[화성 버스 1002|1002번]], [[화성 버스 1004|1004번]]과 함께 수도권에서 제부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몇 안되는 시내버스이다.[* 수도권에서 자가용으로 제부도에 접근하려면 [[평택시흥고속도로]]의 [[송산마도IC]]를 이용하는 것이 그나마 가장 나은 방법이지만, 이 방법도 사강~제부도 구간은 이 노선과 완벽히 같은 경로를 따라가야 한다.] 그래서 얼핏 보면 제부도 관광 셔틀버스로 보기 쉽지만, [[서해선]] 전철이 뚫리기 전까지는 화성시 서부에서 지하철을 타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 지역들과 금정역 사이의 수요가 넘치는 판이다. 또한 [[안산 버스 8-1|8-1번]] 버스 이외에는 자주 다니는 버스 노선이 없는 안산시 반월동 내부의 수요도 많이 있다. 저녁 시간대에는 반월동 구간에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을 하기에 이른다. * 일반좌석버스였던 때에는 군포시내 [[47번 국도]] 상 지하차도 3곳을 모두 경유해, 금정-대야미 간 소요시간이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엇비슷할 정도였다. 과거 급행으로 운행하던 노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었으며,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된 직후에도 지하차도를 경유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모든 정류장 정차로 바뀌었다. * 제부도 입구에서 내려주긴 하지만, 여기서 바닷길 입구까지는 걸어서 5분 거리다. 혹은 [[화성 버스 H50|H50번]]을 타고 섬으로 들어가도 된다.[* 제부도입구 정류장에서 내리면 마을버스 표지판이 있다. 지정된 정류장은 없고, 목적지나 펜션명을 말하면 거기서 내려주는 식.] 약 2.5km의 바닷길을 걸어갈 자신이 있다면 이 노선을 이용해 제부도로 들어가 보는 것도 꽤나 괜찮은 당일치기 관광거리가 된다. * 다만 물때를 잘 맞춰야 한다. 제부도로 들어가는 길은 밀물 때에는 물에 잠기기 때문이다. 통행 가능 시각은 [[https://www.hsuco.or.kr/etc/1035/cal.do|화성도시공사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지 상황에 따라 바닷길 통행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유의할 것. * 전면 LED에서는 제부도가 '''zebudo'''로 표출이 되는데 정작 앞면에 부착된 띠모양 주요 정류소가 써있는 스티킹에는 '''Jebudo'''라고 나와있다. * 제부도로 가는 길이 막힐 경우에는 차고지까지 바로 가서 승객을 모두 내려준 다음 차고지에서 막 나오는 차에 태우기도 한다. * 화성시 면허 노선 중 첫차가 4시 정각으로 가장 빠르다. [* [[화성 버스 11|수원-안산 간 11]]도 첫차가 4시 정각이나, 이 노선은 [[아웃 ○○ 노선|화성시를 경유하지 않는다.]] ] ===# 330-1번(폐선) 노선의 특징 #=== * 평일 한정으로 1일 2회, 금정역에서 오전 6시 반, 7시에 출발했다. * 운행 시 330번 차량에 마도산업단지 행선판을 놓고 운행했다. * 330번과 달리 남양도서관, 동광뷰엘, LH4단지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는 것으로 인가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경유하여 운행했다. === 시간표 === [[https://m.blog.naver.com/wsed1216/222729475510?view=img_6|2022년 2월 기준 임시 시간표]]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군포역]], [[금정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반월역]], [[대야미역]][* 대야미삼거리 하차 후 도보], 금정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야목역]][* 야목리 하차 후 도보] == 둘러보기 == [include(틀:안산-화성간 버스)] [include(틀:남양읍 경유 시내버스)] [[분류:화성시의 시내버스]][[분류:1950년 이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안산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군포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