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화성-11라}}}'''[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 [[화성 미사일|{{{#fff 화성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11라의 모습.png|width=100%]]}}}|| ||<-2> 시험발사되는 화성-11라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근거리형 전술유도탄 || || {{{#024fa2 '''북한 명칭'''}}} ||《화성포-11라》형 || || [[KN 코드|{{{#024fa2 '''KN 코드'''}}}]] ||미상 || || {{{#024fa2 '''이명'''}}} ||북한판 [[KTSSM]] || || {{{#024fa2 '''최대사거리'''}}} ||110km[* 1차 시험 발사 당시 사거리가 109km였고 2022년 6월 5일 미공보 발사 당시 사거리가 110km였다.][* 강원도 평강군에서 쏜다고 가정할 경우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은 물론 강원도 [[춘천시|춘천]], [[고성군(강원도)|고성]], [[속초시|속초]], [[홍천군|홍천]]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대한민국 수도권 타격용 미사일'''인 셈이다.] 이상||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4월 16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처음에 북한은 '신형전술유도무기(new-type tactical guided weapon)'라고 밝혔는데[* 이 표현은 [[KN-23]] 등 다른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도 붙은 보통명사이다.], 이후 제식 명칭이 공개되었다. 국내외 매체 및 전문가들이 [[대한민국]]의 [[KTSSM]](전술지대지유도무기)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마찬가지로 ATACMS와 유사한 '[[화성-11나]]'와도 비슷해 보인다. 공식 명칭은 불명이나, 화성포병부대가 운용한다고 밝혀[* 2023년 3월 9일 시험발사에서의 조선중앙통신 보도] [[화성 미사일]]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2023년 2월 공개된 '2022년 [[국방백서]]'에서 '근거리형 전술유도탄'이라는 명칭으로 명명되었다. == 정보 == * 3축 6륜형 TEL에 두 발을 탑재한다. [[KN-09]]용 TEL을 개조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 미사일의 사정거리, 형태는 물론이고 발사관의 형태마저 KTSSM을 빼닮았다. [[https://twitter.com/nktpnd/status/1515472657793302537|안킷 판다가 게시한 비교 사진]] 참조. * 북한은 [[전술핵]] 탑재 미사일이라고 주장하였다. * 사거리는 109km로, 정확히 대한민국 타격용이다. [[화성-11]](독사)의 대체형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KODEF는 노즐핀의 형상으로 보아 KN-23의 소형화 개량형이라는 평가를 내놓았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17_0001836274&cID=10301&pID=10300|#]],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2/04/341213/|#]]) * [[KN-23]], [[화성-11나]], [[KN-25]]의 장점을 고루 섞어 만든 나름의 최신판 미사일이라는 평가도 있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31001039930114001|#]] 위 분석과 노버트 브리게의 분석까지 합치면 나오는 결론일 것이다. 제식 명칭이 [[가나다순]]에서 '라'로 공개되면서 '화성-11 시리즈'중 하나가 되었다. === 2023년 핵탄두 및 제식명칭 공개 === 2023년 3월 28일, 화산-31 공개와 함께 제식 명칭이 밝혀졌다. 퍼즐 조각 맞추듯이 정보를 추합하면 알 수 있는 결과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화성포-11라형 제식명칭 확정.png|width=100%]] }}} || || '''《화성포-11라》형''' || 2022년 [[국방백서]]가 발표되면서 '북한판 KTSSM'이라는 가명을 떼고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근거리형 전술유도탄'이라는 나름의 명칭을 부여해 줬는데, 한 달 만에 북한이 제식 명칭을 공개해 버렸다. == 시험 발사 == === 1차 시험 발사 === 2022년 4월 16일 [[함흥시]] [[마전해수욕장]]에서 발사하였다. 109km를 날아갔다. === 2차 시험 발사 === 2022년 6월 5일 8발을 발사한 가운데, 그 중 두 발이 본 미사일이었다고 한다. 함흥, 개천비행장, 순안구역, 동창리 네 곳 중 한곳. 북한의 사진 공개가 없었기에 추정할 뿐이다. UN 대북제재위 패널보고서 S/2022/668에 따르면 이 날 발사한 8발의 미사일 중 2발이 짧은 거리를 극단적으로 낮은 고도로 비행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8발 미사일 중에 가장 짧게 비행한 미사일이 110km에 정점 고도 25km였다고 하니 이 미사일에 대한 설명으로 보인다. 바로 두달 전에 함흥에서 109km를 날려보냈다고도 했으니. === 3차 시험 발사 === [[2022년 11월 2일 북한 미사일 도발]] 중 아침에 [[정주시]]에서 2발을 발사했다. === 4차 시험 발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년 3월 근거리형 유도탄 시험발사.jpg|width=100%]]}}} || || 2023년 3월 9일 남포시에서의 근거리형 유도탄 4차 시험발사 || 2023년 3월 9일 [[남포시]] [[강서구역]]에서 6발을 동시에 발사하였다. 구체적인 발사장소는 [[https://www.google.com/maps/place/38%C2%B054'26.1%22N+125%C2%B026'23.6%22E/@38.8874581,125.4852351,13.21z/data=!4m4!3m3!8m2!3d38.90725!4d125.4399|38.90725°N, 125.43990°E]]이다. == 이후 등장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한판 KTSSM 2022년 열병식 모습.png|width=100%]]}}} || || 4월 25일 열병식에서의 북한판 KTSSM || 2022년 4월 25일 열병식에서 옆 각도의 사진이 공개되었다. == 기타 == * 2022년 김정은이 주최한 당중앙 군사회의에서 동해안 지도를 걸어 놓고 작계 수정을 논의했는데, 전방의 방사포 부대를 이 무기로 교체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623011351504?input=1195m|#]] * [[2023년 2월 8일 북한 열병식]]에 대해 보도하면서 대한민국 언론이 'KTSSM급 미사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바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48092?rc=N&ntype=RANKING|#]] * 독일의 미사일 기고가 노버트 브리게는 KN-25의 단축형이라면서 미사일이 아니라 [[다연장로켓]]에 가깝다는 분석을 내 놓았다. [[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Pukguksong_MLRS/index.htm|#]][* 다만 노버트 브리게의 북한 미사일 분석은 사실과 다른 경우가 많아 신뢰성 문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2022년 공개 SLBM을 분석할때 'ㅅ'이 [[사일로]]의 'ㅅ'이라는 본인의 추측을 더욱 쎄게 밀고 나가, 이 미사일이 사일로 발사 고체 ICBM이라고 주장했지만[[http://www.b14643.de/Spacerockets/Specials/Pukguksong-6_GLBM/index.htm|#]] [[리춘히]]가 공식적으로 '수중전략탄도탄'이라 하여 사일로 발사형을 부정한바 있다. 더욱이 다연장로켓과 전술미사일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기에 어느 하나만을 주장하기도 뭣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핵·WMD 위협과 대한민국의 대응)] [[분류:조선인민군/장비]][[분류:2022년 공개]][[분류:전술 탄도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