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개요 == 원작 [[유희왕]]과 애니메이션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에서 [[죠노우치 카츠야]]가 초반부의 에이스로 사용하던 몬스터. 전용 카드인 [[샐러맨드라]]도 있고 [[붉은 눈의 흑룡]]을 얻기 전까진 매 듀얼마다 에이스로서 활약했다. 흑룡을 얻은 후에도 [[미궁 형제]]와의 듀얼에서 죠노우치 쪽의 대표 몬스터로서 블랙 매지션과 함께 미궁을 나아가며 [[던전 웜]]을 불태우는 등의 활약을 했다. 배틀 시티편부터는 사이코 쇼커 등 다른 에이스에 밀려 등장 빈도가 줄었으나 애니메이션 [[유희왕 DM]]에서는 노아 편에서 덱 마스터로 쓰이거나 블랙 매지션과 융합해 [[블랙 플레어 나이트]]가 되거나 [[푸른 화염의 검사]] 같은 아종이 등장하는 등 여전히 죠노우치의 페이버릿 카드로서 활약했다. 듀얼리스트 킹덤 편의 오리지널 에피소드였던 어둠의 유희 vs 바쿠라와의 듀얼에서도 죠노우치 본인을 상징하는 카드로 이 카드를 지목했으며 직접 화염의 검사가 되어 싸우기도 했다. OCG에서도 [[강화염의 검사]] 같은 오리지널 리메이크 카드가 나온 적이 있으며 TCG에서 발매되는 [[Maze of Millennia]]에서는 아예 신규 지원 테마로 발탁되었다. 공개된 일러스트를 보면 도마 편에서 관련이 있었던 블랙 플레어 나이트와 [[미라지 나이트]]도 함께 나오는 것으로 추정. === 원작 === [[파일:FlameSwordsman-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불의 검사''' (원작)[br]'''화염의 검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일어판 명칭 ||<-4>'''[ruby(炎, ruby=ほのお)]の[ruby(剣士, ruby=けんし)]'''|| || 영어판 명칭 ||<-4>'''Flame Swordsman'''||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5.] || 화염 || 전사족 || 1800 || 1600 || ||<-5>화염으로 둘러싼 검을 가진, 굉장한 실력의 검사. 그 검에서 내뿜는 공격은 강력하다!|| 원작에서는 '''레벨 6'''의 일반 몬스터이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의 킹덤 편]]에서 [[죠노우치 카츠야]]의 주력 몬스터로 등장. [[다이나소 류자키]]와의 듀얼에서 죠노우치의 몬스터들이 류자키의 공룡 몬스터들에게 계속 당하던 도중, 죠노우치가 자신의 카드들 중 가장 강한 카드[* 그런데 당시 죠노우치는 이 카드와 공격력이 같은 갈자스와 [[바바리안(유희왕)|바바리안 2호]], 공격력이 50더 높은 [[마법 기사 길티어]]도 보유하고 있었다. 그나마 수비력은 화염의 검사가 해당 카드들보다 100앞서지만, 애니판 한정으로는 수비력도 동일한 루드 카이저도 소유하고 있었다.] 라며 꺼내놓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고, 공룡족의 약점을 찌르는 불속성을 지니고 있었기에 [[붉은 눈의 흑룡]][* 애니판에선 [[이블 나이트 드래곤]]]이 등장하기 전까지 류자키의 몬스터를 양학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결국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부터는 덱에서 빠진 것인지 더는 등장하지 않았다. 배틀시티 편 부터는 상급 몬스터를 소환하는 데 제물을 필요로 하게 되어서, 상급인데도 공격력이 2000에도 못 미치는 이 카드는 빠지게 된 것처럼도 보이지만, 정작 마찬가지로 상급이면서 공격력이 1850밖에 안 되는 [[마법 기사 길티어]]는 배틀 시티 편은 물론, 이후 시간대인 유희왕 R에서 까지 덱에 투입되고 있었다. [[철의 기사 기어프리드]]가 이 카드 대신 1800대의 전사족으로 나온다.[* 거기다 둘의 융합체인 [[강철의 마도 기사-길티기어프리드]]도 나왔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OCG의 스펙을 따라 레벨은 5로 변경되었지만 원작의 전개를 따라가기 위해 카드 프레임은 일반 몬스터로 바뀌었다. 근데 정보칸엔 융합 소재 몬스터들이 적혀있다(…). 다행인 건 원작에 비해 비중이 더 늘어나 오리지널 스토리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죠노우치의 [[덱 마스터]]로 등장했으며, 덱 마스터로써의 효과는 공격력을 100의 배수만큼 내리고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그만큼 올리는 효과[* 나중에 이 효과는 애니판 [[푸른 화염의 검사]]에 적용되었다.]. 인간형 몬스터라서 그런지 말을 할 수 있으며 덱 마스터 효과도 죠노우치의 부탁으로 본인이 설명하면서 밝혀졌다. 성우는 킷카와 히로시/ [[안장혁]]. [[어둠의 유우기]]와 함께 한 [[빅5(유희왕)|빅5]]와의 듀얼에서는 유우기의 덱 마스터인 [[블랙 매지션]]과 융합하여 [[블랙 플레어 나이트]]가 되기도 했으며 블랙 매지션을 지켜내고[* 여기서 유일하게 화염의 검사의 눈이 살짝 드러난다. 덤으로 작화 보정으로 그 모습이 매우 비장하게 나온다.] 파워업 시켜서 빅5를 이기는 데 일조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쿠자크 마이]]와의 듀얼에서 [[푸른 화염의 검사]]의 효과로 몇 번 불려나오기도 했다. 공격명은 '투기염참검(闘気炎斬剣)'[* 한국 더빙판에서는 '투지의 화염검.']. 그리고 장착 마법 [[사라만도라]]를 장착하면 검에 화염의 용이 나타나는 연출이 생긴다. 상급 레벨, 주력 몬스터, 주인공의 에이스와 융합 등 서브 에이스를 연상시키는 요소가 많지만 처참한 스탯과 융합 몬스터라는 점 때문에 밀려난 비운의 카드다. === 반다이판 === [[파일:FlameSwordsman-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화염의 검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炎, ruby=ほのお)]の[ruby(剣士, ruby=けんし)]'''|| || 영어판 명칭 ||<-3>'''Flame Swordsma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전사족 || 2500 || 600 || ||<-5>화염의 투기를 다스리는, 강력한 검사.|| ||<-5>'''~룰 ⑧~'''[br]서로의 덱이 없어질 때까지, 매번 이것을 반복한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FlameSwordsman-DM2-JP-VG.png|width=100%]] || [[파일:FlameSwordsman-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4>'''화염의 검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炎, ruby=ほのお)]の[ruby(剣士, ruby=けんし)]'''|| || 영어판 명칭 ||<-4>'''Flame Swordsman'''|| ||<-5> 일반 몬스터[br]효과 몬스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부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6.] || 화염마족 || 전사족 || 1800 || 1600 || ||<-5>화염의 힘을 겸비한 전사. 화염을 내보내 공격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5>투기염참검으로 상대 필드의 공룡족을 전멸시킨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5>투기염참검으로, 적의 필드의 공룡족을 전멸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DM1에서부터 등장. 전사족과 화염마족 몬스터를 융합하여 소환할 수도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는 원작을 반영해서 상대 필드의 공룡족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기동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공룡족 몬스터와의 전투시 300 포인트 강화되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炎の剣士.jpg|width=100%]]||[[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657_1.jpg|width=1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한글판 명칭=화염의 검사, 일어판 명칭=(ほのお)剣士(けんし), 영어판 명칭=Flame Swordsman, 레벨=5, 속성=화염,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600, 소재="화염의 조종자" + "전설의 검객 마사키")] [[스타터 박스]]에 수록된 최초의 융합 몬스터 중 하나. 메인 덱 몬스터였던 원작과는 달리, 융합 소환으로 불러낼 수 있는 DM 시리즈를 반영했는지 융합 몬스터로 등장하게 되었다. 융합 소재가 모두 [[일반 몬스터]]이기 때문에 [[어둠의 양산공장]], [[범골의 의지]]로 큰 패부담은 없다. 하지만 물론 다른 범골 융합 몬스터들에 비하면 능력치는 실로 빈약하기 짝이 없기에 사용되진 않는다. 같은 화염 속성 전사족 내에서 이 카드보다 공격력이 100 높으면서 레벨은 1 낮은 [[벌키리 나이트]]나 [[에볼텍터 슈발리에]]가 효과까지 지니고 있는 판에 이 카드는 전투면에서는 나설 자리가 없다. 다만 등장 당시에는 가장 강한 융합 몬스터였다. 그렇다고 이 카드가 쓸데가 없는가 하면 그건 아니어서,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가능한 레벨 5, 화염 속성 몬스터라 [[제넥스|서멀 제넥스]]의 싱크로 소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태엽(유희왕)|태엽]] 덱과 조합하면 강력한 랭크 5 엑시즈 몬스터를 빠르게 뽑아낼 수 있다. 사실 같은 화염 속성 레벨 5에 공격력이 100 더 높고 화염 속성에서 메이저한 화염족인 [[주작(유희왕)|주작]]이라는 카드도 있긴 한데 이 카드의 수출 상황이 영 좋지 않고, 싱크로 소재로 화염족을 요구하는 [[고대 신 플레임벨]]이라도 아닌 이상 큰 차이는 없는지라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블랙 매지션]]과 융합하여, [[블랙 플레어 나이트]]가 되기도 한다. 블랙 플레어 나이트를 쓰는 이유인 [[미라지 나이트]]를 소환해보려면 꼭 있어야 하는 카드 같지만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 때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의 7기 리뉴얼판에서는 화염의 검사는 수록됐는데 융합 소재 몬스터 둘이 전부 미수록되어서 융합 소재 몬스터들만 절판 카드가 되었다. 이제 코나미에서도 대놓고 그냥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하라고 하고 있다. === [[유희왕 러시 듀얼|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화염의 검사(유희왕 러시 듀얼))] == 기타 ==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의 소식이 공개된 이후 [[듀얼리스트 팩/명암의 듀얼리스트 편|명암의 듀얼리스트 편]]과 [[듀얼리스트 팩/휘석의 듀얼리스트 편|휘석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보여준 코나미의 노골적인 DM 편애[* 명암의 듀얼리스트 팩은 어둠 속성을 테마로 잡았음에도 메인인 마리크는 신 속성과 물 속성만 지원받았으며 다른 굵직한 악역들을 제치고 단역이었던 [[에스퍼 로바]]가 받아 DM편애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었다. 휘석의 듀얼리스트 팩 조차도 쿠자크 마이가 사용했던 [[아마조네스]]나 원작에선 카드군조차 아니었던 [[이시즈]]의 카드들이 테마로 선정되어 유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이중 이시즈의 테마는 [[티아라멘츠]]등 여러 테마랑 섞이며 환경을 주도하다가 결국 모든 몬스터들이 제한과 금지를 먹으며 이럴거면 대체 왜 낸 거냐는 소리를 듣고 있는 중.]로 인해 이 카드가 신규 지원 테마로 선정되는 게 아니냐는 유저들의 걱정이 있었으나 다행히 정배였던 [[볼캐닉]].[[버닝나쿠라]],[[샐러맨그레이트]]가 지원 받으며 기우로 끝났었다. 대신 이후 TCG에서 발매되는 [[Maze of Millennia]]에서 신규 지원을 받게 되었다.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두 몬스터 모두 굉장히 오래된 탓에 능력치가 심각하게 빈약하여 제대로 된 활용은 거의 불가능하다. 애초에 화염의 검사조차도 이 몬스터들을 쓰지 않고 [[인스턴트 퓨전]]으로 나오는 게 다반사인 판이니... ==== [[화염의 조종자]] ==== ==== [[전설의 검객 마사키]] ==== === 기타 관련 카드 === ==== [[사라만도라]] ==== 원작에서 화염의 검사에게 장착되었던 장착 카드. ==== [[블랙 플레어 나이트]] ==== 화염의 검사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푸른 화염의 검사]] ==== ==== [[강화염의 검사]] ==== ==== [[극화염의 검사]] ==== [[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