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白龍 / White Dragon. }}} 서양의 환상의 생물인 [[드래곤]] 중 하나. 보통 이름처럼 백색의 드래곤으로 묘사되며, 입에서 냉기 속성의 [[브레스]]를 쓸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화이트 드래곤(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설정]] 때문인지 보통 [[놈은 사천왕 최약체지|드래곤 최약체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특이한 점은 비슷하게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서 약체 드래곤으로 묘사되는 블랙 드래곤이나 그린 드래곤등은 던전 앤 드래곤 설정과 달리 강한 드래곤으로 묘사하는 창작물 또한 많지만[* 예를 들어 블랙 드래곤의 경우 [[실마릴리온]]의 [[앙칼라곤]], [[얼음과 불의 노래]]의 [[발레리온]],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데스윙]],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알두인]] 같이 강한 드래곤으로 설정된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화이트 드래곤은 D&D와 관련없는 다른 창작물에서도 대부분 최약체로 묘사된다. 다만 이는 서양권에서 주로 '''냉기 속성'''의 드래곤으로 취급할 때나 그런 것이고, 대체로 동양권 서브컬처에서의 '''[[백룡]]'''으로 들어가면 얘기가 달라진다. 왜냐하면 블랙 드래곤의 어둠 속성과 반대되는 '''신성한 빛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취급하기 때문. 이렇게 되면 다른 색깔의 드래곤들과 격을 달리하는 최강의 드래곤으로 대접받는다. 가장 대표적인 게 바로 [[푸른 눈의 백룡]]. 즉 동양권에서의 화이트 드래곤은 D&D의 '''[[골드 드래곤(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골드 드래곤]]'''과 같은 대우를 받는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던전 앤 드래곤에서는 백룡 포지션은 [[실버 드래곤]]이다.] 특히 [[고대신룡]]의 경우는 세계관 내의 신과 같은 존재 중 하나. == 화이트 드래곤인 캐릭터 ==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화이트 드래곤(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칸나 카무이]] -- * [[다크 메이지]] - 카트로이 * [[드래곤 길들이기 3]] - [[라이트 퓨리]] * [[드래곤 라자]] - [[캇셀프라임]] * [[드래곤 크라이시스!]] - [[마르가 리테]] * [[드래곤빌리지]] 시리즈 - '''[[고대신룡]]''' 화이트 드래곤 이라고 직접적으로 언급된 바는 아니지만 일단 컨셉부터가 백색의 드래곤임으로 서술. * [[리니지]] 시리즈 - [[린드비오르]] * [[마비노기]] - [[랑그히리스]] * [[오버로드(소설)|오버로드]] - 서리용<프로스트 드래곤> 일족 * [[용이산다]] - [[셀린느 포어 포메른]] * [[유희왕]] - [[푸른 눈의 백룡]][* 특이하게 화이트 드래곤이 강력하게 나오는 예시.]과 그 진화형 및 파생형,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그 진화형 및 파생형, * [[카르세아린]] - [[그라테우스]]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 [[바이슬로기아]] * [[포켓몬스터]] - [[레시라무]] * [[피스메이커(드라마)|피스메이커]] - [[화이트 드래곤(DC 확장 유니버스)|화이트 드래곤]] * [[하이스쿨 D×D]] - [[배니싱 드래곤 알비온|하얀 용<배니싱 드래곤> 알비온]], 빙설룡<블리자드 드래곤> 일족들 [[분류:드래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