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모바일게임 크립트랙트 - [[환수계약 크립트랙트]] * [[북양군벌]]의 한 파벌인 [[안휘군벌]] * [[디시인사이드]]의 [[네임드]] [[환계(디시인사이드)]] [include(틀:위서)] [[桓]][[階]]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과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의 인물이며 자는 백서(伯緖)로 [[환가]]의 아버지, [[환이]]의 형. 형주 장사군 임상현 사람. == [[삼국지(정사)|정사]] == 아버지 환승은 남중에서 유명한 자로 상서를 지냈으며, [[손견]]이 환계를 효렴으로 천거하자 상서랑으로 임명된다. 아버지가 죽자 고향으로 돌아가는데, 뒤에 손견이 [[유표]]를 공격하다 전사하자 환계는 자신을 추천해 준 사람이 손견이기에 죽음을 무릅쓰고 유표를 찾아가 손견의 시신을 찾아온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아예 초기 손견군 세력으로 나오기에 환계가 어떻게 장선에게 넘어가는 지에 대한 내막이 설명되지 않으나, 정사에서는 환계는 손견에게 추천받은 사람일 뿐이다.] 그 후에 장사태수 [[장선(장사태수)|장선]]을 섬기다가 관도전투 때 유표가 [[원소(삼국지)|원소]]에게 호응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장선에게 [[조조]] 편을 들 것을 권해서 조조에게 사절로 갔으나, 도와줄 여력이 없던 조조는 장선을 돕지 못하고 때마침 장선이 병들어 죽자 그의 아들인 장역이 이어받아 다스리던 장사와 그에 호응한 계양 및 영릉은 유표군에 함락되었다.[* 이 내용은 삼국지 위지 환이진서위노전에만 등장하는 내용이다. 같은 내용을 담은 후한서 유표열전이나 위지의 동이원유전에서는 장선의 반역 사건을 유표의 형주 평정 시기로 보고 있으며 위서에 기록된 조조의 발언을 보면 유표에 대해 '''여포나 원소와 싸울 때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 자수지적(스스로를 지키기만 하는 도적)이다'''고 묘사한 바가 있다.] 유표는 환계에게 종사괘주와 채씨의 동생을 부인으로 주겠다고 유혹했지만 환계는 자신은 이미 결혼했다고 핑계를 대고 은둔 생활에 들어간다. 후에 조조가 형주를 제압하자 환계를 등용하여 환계는 승상연주부 조군태수로 임명되었다가, [[위(삼국시대)|위]]가 처음 세워졌을 때 호분중랑, 시랑이 되었으며, [[조비]]를 태자로 삼을 것을 건의했다. 친구가 없는 [[모개]], [[서혁]]을 [[정의(삼국지)|정의]]가 모함하자 환계는 그들을 지켜주었으며, 그 후 승진해 상서가 된다. [[조인]]이 [[관우]]한테 포위당했을 때 호들갑을 떠는 조조에게 [[서황]]과 조인을 믿으라면서 침착하게 행동하도록 충고해 옳은 판단을 이끌어내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조비가 제위에 오르자 상서령 고향정후 시중이 되지만 병이 들어 쓰러진다. 조비가 태자의 후견인을 환계로 삼으려고 해 환계에게 빨리 나으라고 했지만 환계가 위독하게 되자 태상으로 임명되었다가 죽는다. == [[삼국지연의|연의]] == 손견이 죽었을 때 자신이 유표와 친분이 있다면서 [[황조#s-3]]와 손견의 시신을 바꾸자고 제안하는 손견 측의 사자로 처음 등장한다. 그러다가 [[손책]]이 거병할 때도 출연이 없고 그 후로 전혀 안 보인다. 그러다가 조비가 선위에 오를 때 [[왕랑]], [[화흠]]과 함께 [[헌제]]에게 선양을 강요하는 인물 중 환계가 나오는데, 그 환계가 바로 이 환계다. 후대의 일이지만 243년 조조의 20명 배향공신으로 추가로 배향되었다. [[오자양장]] 등 네임드들이 배향된 목록 가운데서는 말석이나마 성공한 셈.[* 하후연, 조홍, 서황, 장료, 장합, 악진, 조진, 조휴, 하후상, 종요, 왕랑, 화흠, '''환계,''' 진군, 주령, 문빙, 장패, 이전, 방덕, 전위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kongming.net/289-Huan-Jie.jpg]] || || 삼국지 10,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0.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2]]와 [[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0]]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전형적인 문관형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작일수록 능력치는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 초반에는 [[손견]]의 세력에 중반에는 재야로 있다가 나중에 조조의 세력에 있는 것이 일반적.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2/무력 25/지력 67/정치력 79/매력 68에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 문관인데 농업, 상업은 없으면서 기술 특기만 있는지라 조금 활용도가 미묘하다. 전체적으로 특기는 기술, 반목, 항변, 명사 총 4개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10/무력 26/지력 67/정치력 78/매력 69로, 지력이 낮아서 참모로는 낙제점인 데다 특기도 없고 정치력도 그냥 그런 C급 문관으로 등장한다. 그래도 나름대로 네임드인데 쓰임새가 별 볼 일 없다. PK에서는 특기를 연구해 내정형 특기를 달아주는 걸 추천한다.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26/지력 68/정치력 78로 통솔력이 전작에 비해 올랐고 지력도 1 올랐다. 명사, 인맥이 있고 뜬금없는 공성 특기도 있다. 전법은 전군원사로 좋은 편.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친 채 소리치면서 유표와 이야기를 하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1,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궁속약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0, 무력 25, 지력 67, 정치 78, 매력 68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15,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선동, 논객,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업화, 구축, 친애무장은 [[맹달]], [[하후상]], 혐오무장은 없다. 그런데 본인의 전법에 혼란이 없어서 탐색을 통해 혼란의 서를 발견할 경우 즉시 추가해주자. === [[삼국전투기]] === [[좋은사람]]의 기타노 유지로 나온다. 번성 전투 (7)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며 선행 등장. 계략과 암투를 싫어하고 정론만을 펼치기에 공적은 미미하지만 주변인들에게 존경을 받았다고 소개됐다. 번성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손권이 합류하며 주도권을 잡았다는 촉이 온 조조가 장료를 번성으로 보낸 뒤 본인까지 직접 출진하려 하자 조인이나 서황이 못 미더운 거냐고 물었고, 이에 조조가 아니라고 답하자 그럼 왜 친정하려 하는 거냐고 반문한 뒤 조조가 서황이 군사가 모자랄까봐 그런다고 답하자 그럼 대왕께서 최전방으로 나가는 게 우리에게 있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거냐고 웃는 얼굴로 계속 압박을 줘 조조가 직접 출진하려는 걸 그만두게 했다. 타이틀 컷에서의 소개와는 달리 엄청 음험해 보이게 나오는 연출이 압권.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조위의 인물]][[분류:후난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