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의 무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환도(무기))] == [[한의학]]에서 말하는 [[혈]]자리의 하나 == [[대둔근]] 아래로 [[좌골신경]]이 지나가는 곳 근처. 정확히 측정하려면 [[대퇴골]]의 대전자와, 꼬리뼈와 천골의 연결부위를 잇는 가상의 선에서 외측 3분의 1지점이다. 흔히 환도침 혹은 장침이라고 하는 긴 침을 찌르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위치가 위치인 만큼 좌골신경통, 척추협착증이나 디스크로 인해 유발되는 하지 통증 및 무력감에 효과가 좋다. 그런데 의외로 일상생활 속에 녹아있는 단어인데, 특히 임신 중에 자궁의 회음부 및 골반 압박으로 인해 엉치와 서혜부(사타구니) 쪽이 아프고 당기는 것을 '환도 선다'라고 표현한다. 또 할머니들이 좌골신경통 등에서 엉덩이부터 하지로 쩌릿하게 내려가는 통증도 '환도 선다'라고 표현한다. '환도 시리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개화기에 번역된 성경에서도 볼 수 있는 표현이다. 창세기 32장, 환도뼈가 부러지는 야곱의 이야기 같은 경우. 한자로 쓰면 위의 1의 한자를 쓰는데 환도뼈는 말 그대로 환도를 찼을 때 환도가 닿는 [[넙다리뼈]] 부분을 말하기 때문이다. == 還都 == 환도(還都)는 전쟁이나 반역 등으로 피란 갔던 임금이나 정부가 다시 기존의 [[수도(행정구역)|수도]]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것. [[천도]]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환도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 [[동로마 제국]] - [[1204년]] [[4차 십자군]]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자 [[테오도로스 1세]]가 [[니케아 제국|니케아로 천도했고]], [[요안니스 3세]] 시대에 님페온으로 옮겼다가, [[1261년]] [[미하일 8세]]가 [[제1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복하고]] 환도했다. * [[고려]] - 몽골 침입때문에 강화도 [[고려궁지]]로 40년간 수도를 옮겼고 몽골이 물러나자 개성 [[만월대]]로 환도했다. 그리고 우왕과 공양왕 시기 5개월간 남경(서울)로 천도한 후 못 버티고 다시 개경으로 환도했다. * [[리투아니아]] - 1923년 [[폴란드 제2공화국]]이 [[빌뉴스]]를 점거하면서 카우나스를 임시수도로 삼았다가, 1939년 9월 폴란드 붕괴로 환도했다. * [[대한민국]] - [[6.25 전쟁]]이 끝나고 [[임시수도]] [[부산광역시|부산시]]에서 [[서울특별시]]로 환도했다. * [[독일]] - 통일 이후 [[서독]]의 임시수도격이던 [[본(독일)|본]]에 일부 정부 부처만 남기고 [[베를린]]으로 수도 이전 * [[중화민국]] - [[중일전쟁]]이 끝나고 임시수도이던 [[충칭]]에서 [[난징]]으로 환도.[* 4년 뒤에 [[국공내전]]의 패배로 대륙을 잃고, [[국부천대|대만 타이베이로 천도]]] * [[부룬디]] - [[부줌부라]]에서 구 왕도인 [[기테가]]로 옮겼다. * [[미얀마]] - [[양곤]]에서 구 왕도인 [[만달레이]]에 속했던 만달레이 관구의 [[네피도]]로 옮긴 것을 들 수 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수도]][[분류:행정구역 개편]][[분류:한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