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러시 듀얼/야수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몬스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환상수)]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GazelletheKingofMythicalBeasts-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환수왕 가젤''' (원작 코믹스)[br]'''환상수왕 가젤'''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일어판 명칭 ||<-4>'''[ruby(幻獣王, ruby=げんじゅうおう)]ガゼル'''|| || 영어판 명칭 ||<-4>'''Gazelle the King of Mythical Beasts'''||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숲마족 || 야수족 || 1500 || 1200 ||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 [[레어 헌터]]와의 듀얼 중 사용되어 [[유익환상수 키메라]]의 융합 소재가 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레어 헌터]]의 덱에 몇 장 들어가있는 것으로도 확인된다.] 이후로도 혼자서 그럭저럭 활약하기는 했지만, 후반에 가서는 [[바포메트(유희왕)|바포메트]]에 밀려 잘 등장하지 못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바포메트(유희왕)|바포메트]]가 OCG 사양을 따라 상급 몬스터가 되면서 해당 카드가 소환하는 장면도 이 카드로 대체되는 등 비중이 더 늘었다.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도 선봉으로 빈번히 소환되는 경우가 많다. [[유희왕 R]]에서도 [[어둠의 유우기]]가 [[카드 프로페서|마이코 카토]]와의 듀얼 중 사용. 자신이 숲 속성이라는 점을 살려 마이코의 필드 마법 깊은 숲에 숨은 레프러컨을 돌파했으며, 자신도 숲에 숨어드는 활약을 보였다. 이후 [[암흑 마족 길퍼 데몬]]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유우기 덱 레플리카를 강탈한 [[카구라자카(유희왕)|카구라자카]]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유익환상수 키메라]]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이후 [[죽은 자의 환생]]의 효과로 [[블랙 매지션]]을 코스트삼아 패에 회수되어 소환된 뒤, 다음 턴 [[흑마족 부활의 관]]의 효과로 [[블랙 매지션]]을 소생시킬 제물이 되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GazelletheKingo-DM3-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환상수왕 가젤'''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幻獣王, ruby=げんじゅうおう)]ガゼル'''||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Gazelle the King of Mythical Beasts'''||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환상마족 || 야수족 || 1500 || 1200 || ||<-5>10000을 넘는 환수를 거느리는, 환수계의 왕.||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幻獣王ガゼル(AC03).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환상수왕 가젤, 일어판명칭=幻獣王(げんじゅうおう)ガゼル, 영어판명칭=Gazelle the King of Mythical Beasts, 속성=땅,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200, 종족=야수족, 효과외1=달리는 속력이 너무 빨라\, 그 모습조차 환영처럼 보이는 짐승.)] 하급 땅 속성 야수족 일반 몬스터들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로, 능력치는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창백한 야수|창백한 야수]], [[와이반 전사]]와 완벽히 일치한다. 또한 [[환상수]] 테마의 유일한 일반 몬스터이기도 하다. [[바포메트(유희왕)|바포메트]]는 이 몬스터를 서치하고 바로 [[유익환상수 키메라]]를 융합 소환하도록 서포트해주지만, 능력치가 낮은데다 상급 몬스터라는 것이 걸림돌이다. 따라서 키메라의 융합 소재로 쓰더라도 바포메트를 억지로 채용하기보다는 최소한만 쓰거나 아예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 대체하는 편이 안정적이다. [[환상수]] + [[일반 몬스터]]의 서포트를 모두 받는다는 점은 환상수 덱에서라면 꽤 괜찮은 조건이고, [[환상수기]]를 제외한 하급 환상수 중에서는 공격력이 2번째로 높다. 일반 몬스터라 특수 소환이 쉽기 때문에 록리자드의 릴리스 소재로 삼기 좋고, 이런 카드라도 묘지에 크로스윙이 있으면 괜찮은 하급 어태커가 된다. [[환상수#환상수 크로스윙|환상수 크로스윙]]이 묘지에 3장 다 있는 상태에서 [[레스큐 래빗]]을 지르면 공격력 2400짜리가 덱에서 2장 튀어나오는 무시 못할 화력을 자랑하게 된다. [[키메라 퓨전]]이 발매되면서 활용도가 늘었다. 키메라 퓨전의 2번 효과로 이 카드와 [[바포메트(유희왕)|바포메트]]을 덱/묘지에서 전개해 추가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게 되었기 때문. 패에 잡힌다 해도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 말림패가 될 확률도 적다. 영어판에서 Mythical Beast와 Phantom Beast의 이름 충돌이 일어난 건 이 카드가 기원이다. 이 카드 때문에 TCG에서는 Phantom Beast의 이름을 지정할 때 일일이 "Phantom Beast" 또는 "환상수왕 가젤"이라는 식으로 이 카드의 이름을 적어주고 있다. 원작에서부터 나온 카드라 함부로 이름을 바꾸지도 못하고 있는 모양이다. 그럼 그냥 Mythical Beast로 에라타하면 되지 않나 싶을 텐데, 안타깝게도 [[마도수 케로베로스]]의 영어판 이름이 일본어판의 루비대로인 매직 비스트(Magical Beast)를 따라가지 않고 '''Mythical Beast''' Cerberus로 되어 있다. 결국 [[https://yugioh.fandom.com/wiki/Card_Errata:Gazelle_the_King_of_Mythical_Beasts|에라타]]되긴 했는데 텍스트란에 (This card is always treated as a "Phantom Beast" card.)라는 룰효과를 넣는 것으로 에라타되어 룰효과긴 하지만 효과를 가진 일반 몬스터가 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4-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WJ-03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2 - 遊戯パッ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1-0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E-83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 - METAL RAIDERS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1-06-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U-16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遊戯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4-053 | DUELIST LEGACY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5-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Y2-005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遊戯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071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JP001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055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7-0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Y-JPB10 | [[결투왕의 기억|15周年記念商品 決闘王の記憶 - 決闘都市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MY-JP019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6-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C03-JP031 |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アニメーション クロニクル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6-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124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YE-013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071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3-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D-EN001 | [[스타터 덱|STARTER DECK 200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43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44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2-10-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YW-EN011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5-11-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GLD-ENB10 | [[결투왕의 기억|YUGI'S LEGENDARY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MY-EN017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YUGI MUTO]]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042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EN124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RD-K124 | '''[[강철의 습격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4-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YE-KR013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에볼루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071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9-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MY-KR019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유희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8-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Y-KRB10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배틀 시티 편 - 스페셜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9-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C03-KR031 |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幻獣王ガゼル【ラッシュ】.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환상수왕 가젤, 일어판명칭= 幻獣王(げんじゅうおう)ガゼル, 영어판명칭=Gazelle the King of Mythical Beasts (미발매), 속성=땅,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200, 종족=야수족, 효과외=달리는 속력이 너무 빨라\, 그 모습조차 환영처럼 보이는 짐승.,)] 야수족 최초의 하급 어태커. 또한 공격력 1500의 하급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수비력이 가장 높다. 덕분에야수족 덱 뿐만 아니라 일반 몬스터 주축 덱에서도 그럭저럭 활약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도 능력치는 [[와이반 전사]]와 일치하는데, 해당 카드와는 달리 아직 퓨전 소재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 활용도 면에서는 이 카드가 하위호환에 가깝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구루구루(유희왕)|구루구루]]가 [[아타치 미미]]와의 듀얼 중 사용. 도서관의 렌탈 덱에 있던 카드로, 미미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묘사되기는 했지만 그 후에 필드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파괴된 듯 하다. ||수록 시리즈 || ||<(> 2020-11-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3-JP011 | '''[[환격의 미라지임팩트!!|デッキ改造パック 幻撃のミラージュインパク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04-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B221-JP002 | [[배틀 팩|バトルパック2022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1-05-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3-KR011 | '''[[환격의 미라지임팩트!!|덱 개조 팩 - 환격의 미라지임팩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유익환상수 키메라]] === 환상수왕 가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바포메트(유희왕)|바포메트]] === === [[유익환상수 키메라/서포트 카드#환조의 왕 가젤|환조의 왕 가젤]] === 환상수왕 가젤의 리메이크 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유익환상수 키메라, version=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