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악마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WallofIllusion-DM3-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환상의 벽'''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幻影, ruby=げんえい)]の[ruby(壁, ruby=かべ)]'''||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Wall of Illusion'''||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6.] || 환상마족 || 악마족 || 1000 || 1850 || ||<-5>상대에게 환영을 보여 공격이 맞지 않게 해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악마족 / 환상마족이라는 드문 조합의 몬스터.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allofIllusion-E-JP-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환상의 벽, 일어판 명칭=幻影(げんえい)(かべ), 영어판 명칭=Wall of Illusion,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000, 수비력=1850, 효과1=이 카드를 공격한 몬스터는 주인의 패로 되돌아간다. 데미지 계산은 적용된다.)] [[스타터 덱]] 유희편에 첫 등장한 하급 효과 몬스터. 자신을 공격한 몬스터를 [[바운스]]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졌다. 바운스 계열에서는 최초라 할 수 있는 효과 몬스터다. 이 카드와 같은 효과를 지닌 카드로는 [[켈벡]]이, 비슷한 효과를 지닌 카드로는 [[전설의 유술가]]가 있다. 둘 다 공격력은 이쪽보다 더 높고, 거기다 유술가의 경우 패가 아니라 덱 맨 위로 보내버리는 만큼 효과 자체만 따져도 불리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수비력은 이 카드가 가장 높고, 속성과 종족 면에서도 혜택을 많이 받는다는 이점이 있다.[* [[어둠의 유혹]]에 써먹거나, [[다크 네크로피어]]의 소환에 써먹는 것도 가능.] 거기다 이 카드는 유술가와 달리 효과 발동에 '''표시 형식의 제한이 없다.''' 때문에 리크루트를 통해 공격표시로 소환되거나 해도 효과 발동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만약 [[이차원의 전사]]와 맞붙을 경우, 둘 다 강제효과이기 때문에 우선권이 있는 턴 플레이어의 순서대로 체인을 쌓는다. 무슨 소리냐 하면 '''먼저 전사의 효과가 발동되고 여기에 벽의 효과로 체인을 걸 경우 전사는 패로 돌려보내고 벽은 제외된다.'''는 얘기. 초기에는 높은 수비력과 강력한 바운스 효과를 겸비했다는 이유로 '''이름 그대로''' 벽 몬스터로 많이 애용된 카드다. 다만 현재 기준에서는 수비력이 다소 미묘한 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4화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편]] 직전에 [[카이바 세토]]가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테스트를 위해 실시한 듀얼에서 상대인 듀얼로보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사이버 포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바로 다음 턴에 [[물의 조종자]]와 함께 [[푸른 눈의 백룡]]의 [[어드밴스 소환|제물 소환]]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인 100화에서는 [[빅5(유희왕)|빅5]]의 일원인 [[오오시타 코노스케]]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 [[정령왕 루크람바]]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으며, 유우기가 이 카드의 효과를 의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효과가 직접 사용되지는 않고 [[무지개뱀 에인가나]]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결국 실제로는 릴리스 용도로 쓰느라 효과가 제대로 사용된 적은 없지만, 공격 견제로서의 역할은 해냈다고 볼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1999-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E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0-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34 | EX-R [ 二人対戦用構築済みデッキセッ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8-0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J2-045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城之内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P06-JP007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8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0-0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8-JP007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トリシューラの鼓動!!」]]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Y-034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YE-016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11-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7-EN014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83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84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1-01-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4-EN057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WGRT-EN002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REINFORCEME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4-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W2-EN002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ROUND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113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Y-K034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4-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YE-KR013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에볼루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09-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P06-KR007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