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엑조디아(유희왕/카드군), top2=봉인된)]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융합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include(틀:유희왕/OCG/12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파일:ThePhantomExodiaIncarnate-INFO-JP-OP.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환상의 소환신 엑조디아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まぼろし)召喚神(しょうかんしん)エクゾディア, 영어판명칭=The Phantom Exodia Incarnat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레벨=10, 공격력=?, 수비력=0, 소재="봉인된" 몬스터 × 5,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LP의 수치만큼 올린다., 효과3=③: 1턴에 1번\,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효과4=④: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엑조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효과5=⑤: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LP를 상실한다.)] 부스터 팩 [[인피니트 포비든]]의 커버 카드로 엑조디아 카드군 최초의 융합 몬스터. 소재 조건은 "[[봉인된]]" 몬스터 5장. 전원 제한이라 패/필드 융합은 매우 어려우며, 정석적으로 융합 소재를 모으다 보면 소환할 틈도 없이 엑조디아의 효과로 특수 승리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매지컬라이즈 퓨전]]으로 묘지 융합이 가능하긴 하지만 묘지에 5장을 모으는 것도 힘들고, 후술할 효과로 서치할 수 있는 "엑조드" 마법/함정을 활용하기 어려운 게 문제. 같이 나온 [[천년(유희왕)#천년의 십자|천년의 십자]]를 이용하여 덱 융합으로 꺼낼 수 있게 설계되었으므로 그 쪽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편하다. 굳이 따지자면 미래융합을 사용할 수는 있으며, 이 경우 퀸텟 매지션도 같은 조건으로 소환 가능하다. ①의 효과는 효과 파괴 내성을 가지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같이 서술할 만한 효과로 ③의 효과, 즉 마법/함정 퍼미션 효과가 있는데, 이 덕분에 마법/함정을 통한 제거가 상당히 껄끄럽다. 몬스터 효과에 의한 제거에는 약하며, 천년의 십자로 소환한 이 카드가 제거당하면 [[소생 제한 룰]] 때문에 다시 꺼내기도 껄끄러워지므로 몬스터 효과에 대한 준비도 해야 될 것이다. 엑조디아가 합쳐진 몬스터들은 다들 강력한 내성을 보유했다는 것을 재현한 듯 하다. ②의 효과는 전투시 자신의 LP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아무 데미지도 입지 않았다면 공격력이 8000이다. 그리고 이 증가량은 턴이 끝나도 사라지지 않으므로 계속해서 공격력을 매우 늘릴 수 있다. 후술할 ⑤의 효과로 턴마다 LP가 1000씩 깎이지만 애초에 증가량은 중첩이므로 공격력이 내려갈 일은 없다. 공격력을 이론상 무한대로 올릴 수 있는데 이건 첫 등장시의 엑조디아가 무한대의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엑조드 브레이즈에 궁합이 잘 어울리는 효과로 1만 이상의 고타점의 관통 대미지가 들어가면 듀얼을 쉽게 끝낼 수 있다.엑조드 브레이즈 외에 [[확산하는 파동]]범위에 정확히 들어가는데, 어차피 천년의 십자 효과로 소환하면 다른 몬스터로 공격 불가 디메리트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서 상당히 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 ④의 효과는 덱에서 엑조드 마법 / 함정을 세트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당연하지만 [[엑조디아(유희왕/카드군)#엑조드 프레임|엑조드 프레임]] 등으로 효과 몬스터를 바운스 시켜버릴 수 있다. 혹은 전체 파괴기인 [[엑조디아(유희왕/카드군)#분노의 업화 에크조드 플레임|분노의 업화 에크조드 플레임]]을 세트하는 것도 좋다. 효과 몬스터의 견제에 약한 이 카드를 보완할 수 있다. ⑤의 효과는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LP를 삭감하는 강제 발동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이 효과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 [[시몬 무란]]이 [[대사신 조크 네크로파데스|조크]]에 대적하고자 [[소환신 엑조디아|왕궁의 마신]]을 불러낸 상황을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LP가 줄어드는 효과는 작중에서 시간이 흐를 수록 시몬의 몸에 무리가 간 것을 모티브로 삼은 듯 하다. 이는 조크와의 전투 당시 시몬의 생명력을 계속 소비했기 때문으로 ①의 효과의 자신의 LP분 공격력이 올라가는 것도 조크를 상대로 당하더라도 시몬의 생명력으로 재생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 카드의 출시로 인해 엑조드 마법/함정 카드들 또한 엑조디아의 하위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전반적으로 합쳐지면 완전 승리를 보장하던 매직&위저드의 엑조디아가 아닌, [[시몬 무란]]이 고대편에서 다뤘던 [[엑조디아]]를 모티브로 한 카드로, 단일로는 강력한 몬스터지만 플레이어의 라이프를 기준점으로 움직이기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이 재현되었다. 일러스트의 모티브는 원작 DEATH-T편([[유희왕 듀얼몬스터즈]] 1화)의 최종전인 [[어둠의 유우기]] vs [[카이바 세토]]와의 2차전 듀얼 중 [[엑조디아]]가 소환되어 일격을 날리는 씬으로 보인다. '환상의 소환신(幻の召喚神)'이라는 수식어는 원작에서 엑조디아가 첫 등장했을 때 언급된 수식어와 동일하며 엑조디아가 최초로 수록된 부스터 팩[* 정규 부스터 팩이 아닌 1기 카드를 일부 복각한 팩이며 TCG권과 한국에서는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에 통합되었다. 명칭과는 달리 공식 커버 카드는 [[붉은 눈의 흑룡]]이다.]의 이름과도 같다. 원본에 비해 디테일한 생김새와 몸 여기저기에 달린 뿔이 강조된 디자인은 [[Figure-rise]]로 발매된 프라모델의 리파인된 디자인과 흡사하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4-04-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INFO-JP033 | '''[[인피니트 포비든|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QCSE)] || == 관련 카드 == === [[천년의 십자]] === === [[소환신 엑조디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