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흐마니노프의 전 작품)] ||||[youtube(yhi9SzopnLE)]|||| || 곡명 ||환상적 소품|| || 작곡가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 || 작품번호 ||Op. 3|| || 작곡년도 ||[[1892년]]|| [목차] == 개요 == 환상적 소품(Morceaux de fantaisie) Op.3은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모음곡으로, 작품번호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당한 초기작이다. 1892년에 작곡되어 1893년 출판되었으며, 자신의 음악학교 교수 중 한 명이었던 [[안톤 아렌스키]]에게 헌정되었다. 라흐마니노프 본인은 이 곡집의 초판본을 [[차이코프스키]]에게 주었는데, 매우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특히 2번 전주곡과 3번 멜로디를 높이 평가했다.] 5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2번이 가장 먼저 작곡되고 다른 곡들이 이후에 쓰여져 Op. 3에 지정되었다. 2번이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것 때문인지 5곡 모두가 한번에 연주되는 일이 생각보다 드물다. [[https://imslp.org/wiki/Morceaux_de_fantaisie%2C_Op.3_(Rachmaninoff%2C_Sergei)|IMSLP 링크]] == 구성 == === No. 1: Elégie === [Youtube(ElYS7lyJ3O4)] 엘레지 E플랫단조. 넓은 음역의 왼손 반주가 얹혀진 애상적이고 쓸쓸한 오른손의 멜로디가 특징이다. 중반부인 Più vivo 부분에서 분위기가 계속 고조되다가 fff, appassionato[* ff(아주 세게)보다도 더욱 세게, 열정적으로 연주]가 지시된 클라이맥스 부분에서는 아주 극적인 화성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 No. 2: Prélude === [Youtube(YOx710drHnw)] 전주곡 C샤프단조. 이 곡집에서 뿐만이 아니라 라흐마니노프의 모든 곡들 중 인지도가 높은 편에 속하는 곡 중 하나이다. 1938년 작곡가 자신에 의해 2개의 피아노를 위한 곡으로 편곡된 것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전주곡(라흐마니노프)#s-2|해당 문서]] 참조. 참고로 [[찰리 푸스]]의 [[One Call Away]]의 초반 피아노 반주곡으로 이 곡이 삽입되었다. === No. 3: Mélodie === ||[youtube(haXa4AOytyE)]|| || 1892년 버전과 1940년 버전의 악보와 연주를 비교한 영상([[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작곡가 본인]]의 연주) || 멜로디 E장조. 달콤한 선율을 노래하는 곡으로, 원작인 1892년 버전과 라흐마니노프가 1940년에 개작한 것이 있다. 중심 선율은 두 곡 모두 거의 일치하지만, 1940년 버전은 반주가 더욱 자유롭고 다채로우며 중간에 카덴차 비스무리한 것도 들어가 있어 더 듣는 맛이 있다. === No. 4: Polichinelle === [Youtube(OvWwoLAYzK0)] 폴리쉬넬 F샤프단조. 세도막 형식의 곡이며, 16~18세기 이탈리아에서 유행했다고 전해지는 즉흥극 '콤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의 등장인물 '풀치넬라(Pulcinella[* 이것의 프랑스식 발음이 바로 이 곡의 이름인 Polichinelle이라고 한다.])'을 주제로 하는 성격소품이다. === No. 5: Sérénade === ||[youtube(Ld5jW_dUmo0)]||[youtube(RnECA3cKvlg)]|| || 1892년 버전 || 1940년 버전 || 세레나데 B플랫단조. 왈츠풍의 빠르기로 연주되는 세레나데. 이 곡 역시 3번과 함께 1940년 개작 버전이 있는데, 특히 Tempo di Valse 부분([[https://youtu.be/k4qhgfQNOu0|악보 영상]][* 이건 1940년 버전에서 또 약간의 수정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참고) 이후로 개작 전과 후의 차이가 많이 드러난다. == 여담 == * 곡집의 이름을 비롯한 모든 곡의 제목이 [[프랑스어]]로 되어 있다. [[분류: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작품]][[분류:독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