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항성]][[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include(틀:주계열성 이후)] [목차] === 개요 === {{{+1 [[黃]][[色]][[超]][[巨]][[星]] / yellow supergiant}}} 황색초거성은 보통 분광형이 F, G인 초거성이다. 황색초거성은 [[적색초거성]] 보다 작다. === 특징 === 분광형은 F, G, K이고 표면온도는 4000~7000k의 분포를 보여준다. 밝기는 어두운 것도 태양의 1000배이고 밝을 경우에는 태양의 10만 배에 도달한다. 지름에 경우에는 작은것은 태양의 30배부터 큰것은 태양에 수백배에 도달한다. 황색초거성은 별의 진화 과정중 여러번 나타난다. 무거운 별들은 준거성 가지를 지날때 황색초거성이 되고 지속시간은 매우 짧다. 태양질량 2배 이상의 별들은 적색거성가지를 지난 이후 청색고리에 도달하게 되는데 태양질량 5배 이상의 별들은 이때 밝기가 태양의 1000배 이상에 도달하게 되어 황색초거성이 되고 청색고리는 1000만년 정도 지속되니 가장 보기 쉬운 유형의 황색초거성이다. 점근거성가지 단계에서도 열맥동이 청색고리로 항성을 이끄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첫번째 경우보다 밝지만 수명은 짧다. 후 점근거성이 죽어가면서 [[H-R도]]를 왼쪽으로 가로질러 가면서 F, G형을 지나가는데 이 경우의 황색초거성은 가장 밝고 수명이 짧다. === 나무위키에 등록된 황색초거성 === * [[폴라리스#s-1]] * [[사달멜리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