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5> {{{+1 [[대통령비서실|[[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height=40]]]] [[대통령비서실|{{{#ffc224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ffc224 '''외교안보수석비서관'''}}}]]}}} || ||<-5> [[국민의 정부|{{{#ffffff '''국민의 정부'''}}}]] || || 초대[br][[임동원]] || → || ''' 2대[br]황원탁 ''' || → || 3대[br][[김하중]]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fff {{{+1 황원탁}}}[br]Hwang Wontak}}}'''}}} || ||<-2> [[파일:황원탁.jpg|width=100%]] || ||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 '''{{{#fff 기간}}}''' ||[[1962년]] ~ [[1995년]] || || '''{{{#fff 임관}}}''' ||[[육군사관학교]] 18기 || || '''{{{#fff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 || '''{{{#fff 최종 보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한미연합사령부]]는 모든 보직이 정·부로 나뉘며 정 보직에는 [[미군]]이, 부 보직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보직된다.] 겸 [br]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 || '''{{{#fff 주요 보직}}}'''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br]한미 야전군사령부 작전참모[br] 한미연합사 참모장[br]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 수석대표[br]외무부 본부대사 [br]주파나마 대사[br]청와대 외교안보수석[br]2000년 남북정상회담 수행단 공식수행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 생애 ==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에서 태어났으며, 평창중학교, [[평창고등학교]]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22500209203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02-25&officeId=00020&pageNo=3&printNo=12378&publishType=00020|졸업하고]] 1958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5.16 군사정변]] 당시 4학년 생도대표였다고 하며, 18기 대표화랑을 맡았다. 엘리트로 인정받았던 그가 [[12.12 군사반란]] 이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의 수석부관을 지냈다는 이유로 [[하나회]]의 대대적인 견제를 받았다. 이후 5공화국에서 고의적인 진급 누락을 당하다가 노태우 정부가 출범하고 비교적 늦게 별을 달아[* 사실 정승화 라인이라 강제전역당할 뻔했지만 나중에 참모총장이 되는 하나회 [[이진삼]] (당시)준장이 그를 좋게 봐준 덕에 좌천되는 선에서 끝났다고 한다. 황원탁은 18기 대표화랑이었으니 하나회만 아닐 뿐 엘리트 라인을 밟아오기도 했고.] 소장으로 진급한다. 그리고 한국군 최초의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 수석대표로 임명되었으며, 지금까지도 수석대표직은 황원탁 소장 이후로 한국군 장성이 그 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소장 예편 이후, 1996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파나마대사직을 수행하다가, 1999년 5월부터 [[임동원]] 수석의 후임으로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맡아 2000년 남북정상회담 수행단에 참여했고 2000년 8월 말에 물러났다. 이후 2000년 10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주 독일대사를 지냈으며, 이후 [[경남대학교]] 석좌교수를 맡았다. == 여담 == * 18기 대표화랑으로 임명받았을 만큼 육사 엘리트 출신이며, 군사영어에 매우 능통하여 한미연합사 근무 당시 주한미군사령관의 총애를 받았다고 한다. * 대령 시절부터 소장 시절까지 대부분 외국군과 교류가 많은 한미연합사 및 유엔사에서 근무하였다. * 선친이 [[황호현]][[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32100209214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3-21&officeId=00020&pageNo=14&printNo=21772&publishType=00020|이다]]. * 2004년 제17대 총선 때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출마 예정이었으나 민주당 내의 내분에 힘입어(....) 무산되었다. * 정치 성향은 민주당계 정당에 가까운 인물이다. 그럴 만한 것이 12.12 군사반란 당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을 맡은 이력 때문에 하나회와 9-9 라인에게 핍박을 받았던 사람이었으며, 이 들이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의 주류로 자리했기 때문이다. 또한 국민의 정부에서 기용된 이력도 있는 사람이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1938년 출생]][[분류:평창군 출신 인물]][[분류:평창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외교안보수석비서관]][[분류:주독대사]][[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