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4>|| ||<-4><:>{{{#black,#ddd {{{+1 '''황해청년선''' }}}[br]Hwanghae Chŏngnyŏn Line[br]黃海靑年線}}}|| ||<-4><:>[[파일:attachment/황해청년선.jpg|width=100%]]|| ||<-4><:>'''노선 정보'''|| ||<:>'''분류'''||<-3>본선철도|| ||<:>'''기점'''||<-3>[[사리원청년역]]|| ||<:>'''종점'''||<-3>해주항역 || ||<:>'''역 수'''||<-3>14개|| ||<:>'''통행 방향'''||<-3>좌측통행|| ||<:>'''운영자'''||<-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사용차량'''||<-3>|| ||<-4> '''노선 제원''' || ||<:>'''노선연장'''||<-3>73.3km|| ||<:>'''궤간'''||<-3>1,435mm|| ||<:>'''선로구성'''||<-3>[[단선]]|| ||<:>'''사용전류'''||<-3>직류 3,000V [[가공전차선]] || ||<:>'''표정속도'''||<-3>||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리원청년역]]과 [[해주항역]]을 잇는 철도, 북한에서는 황해도의 다른 철도를 달고 있는 간선 철도로 분류되어 있다. 많이들 오해하는 사실인데 이 노선의 종점은 [[해주청년역]]이 아니다. [[경의선]]이 처음에 부설될 때 [[해주시]]를 거쳐 돌아가려는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쪽 방향으로 철도를 부설할 경우 험준한 지형이나 고지대가 있는 지역이 사리원과 해주사이 구간의 일부에 국한되며, 험난한 수준도 낮아서 충분히 채산성이 있었다. 하지만 [[예성강]]을 건너는 철교를 짓기 곤란하여 무산되었다. 예성강의 경우 상류보다 하류가 엄청나게 강폭이 넓어지는 경향이 있고, 조석간만의 차가 크며, 갯벌까지 존재하므로 교량을 건설하기가 더욱 어려웠다.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88005|#]] 그래서 [[평부선]] [[한포역]]부근에서 예성강을 건너는 표준궤 철교보다 [[토해선]]의 [[예성강철교]]가 훨씬 길며, 그나마 수십년 후에 만들어진 물건인데다가 협궤철교다. 당연하게 1900년대 당시의 기술로 표준궤로 교량을 짓는 것은 무리였다. 하지만 해주는 황해도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철도가 지나가지 않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해주의 주변지역이 비옥한 농토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이 빈약한 수상교통이나 육상교통으로만 운반되는 것도, 공업이 발전한 해주시의 공산품과 [[해주항]]의 물자가 철도로 수송되지 못하는 것도 큰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철도를 연결하려는 계획이 수립된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철도]]는 [[황해도]]지역의 [[경의선]]([[평부선]])의 연선지역과 떨어져 있는 지역에 협궤철도를 까는 계획을 수립하게 되면서 지금과 약간 다른 노선으로 사리원과 해주를 잇는 철도가 건설되게 된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사리원청년역]]에서 서쪽으로 분기하는 장연선의 삼강역에서 분기하여 해주에 이르는 철도를 [[1936년]] 완공했다. 하지만 협궤에다가 장연선과 공용하는 구간이 있었기 때문에 수송력에 한계가 있었다. 결국 표준궤로 1944년 사리원에서 하성까지 [[은파역]]을 경유하는 철도가 개통하였다. [[해주시|해주]]까지 표준궤로 [[개궤]]할 계획이 짜여져 있었지만 일제의 패망과 어수선한 환경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북한에 의해 개궤되었다. 개궤된 사유는 당연하게도 황해도의 농산물을 평양에 수월하게 공급하고 해주항으로 수출입할 화물을 철도로 이송하기 위해서이다. [[백두산청년선]]처럼 본선보다 더 긴 지선철도인 [[은률선]]을 달고 있는 노선이기도 하다. 북한에서 [[평부선]]과 [[만포선]]을 잇는 여객열차는 해주-만포, 장연-만포로 운영되지 개성-만포로는 운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개성과 만포사이를 평양을 거치는것은 우회이고 사리원에서 개성 사이는 시골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자료로는 사리원-해주 구간이 73.3km인데 북한 조선지리전서에서는 사리원-해주항이 무려 100.3km로 기재되어 있다. ~~어떻게 30km가 늘어나지?~~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황해청년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사리원청년역|사리원청년]] || 沙里院靑年 || 기점 || 0.0 || 73.3 || [[평부선]] || ||<#ffe0e0><:> {{{#fff,#000 황북 사리원시}}} || || [[송산역(황해청년선)|송 산]] || 松 山 || || || || || ||<:> 황북 봉산군 || || [[은파역|은 파]] || 銀 波 || || || || [[은률선]] || ||<#ffe0e0><|3><:> {{{#fff,#000 황북 은파군}}} || || [[묵천역|묵 천]] || 墨 川 || || || || || || || || [[어사역|어 사]] || 御 史 || || || || || || || || [[운양역(황해청년선)|운 양]] || 雲 陽 || || 31.4 || || || ||<|6><:> 황남 신원군 || || [[하성역|하 성]] || 下 聖 || 5.6 || 37.0 || || || || || || [[신원역(황해청년선)|신 원]] || 新 院 || 5.6 || 42.6 || || || || || || [[칠만산역|칠만산]] || 七萬山 || || || || || || || || [[염탄역|염 탄]] || 鹽 灘 || || 49.5 || 23.8 || || || || || [[신주막역|신주막]] || 新酒幕 || 8.3 || 57.8 || 15.5 || || || || || [[학현역|학 현]] || 鶴 峴 || || 64.6 || 8.7 || || ||<#ffffc0><|4><:> {{{#fff,#000 황남 해주시}}} || || [[매화역(황해청년선)|매 화]] || 梅 花 || || || || || || || || [[장방역|장 방]] || 長 芳 || || 71.0 || 2.3 || [[배천선]] || || || || [[해주청년역|해주청년]] || 海州靑年 || 2.3 || 73.3 || 0.0 || [[옹진선]] || || || [각주] [[분류:북한의 철도 노선]][[분류:황해청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