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回歴する追憶の数え唄 / Vagrant Counting Song of Retrospection'''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의 타이틀 곡이자, 스토리 모드 최종 보스인 [[별의 꿈]] 3차전 및 진 보스와 정면 승부의 최종 보스인 [[별의 꿈.Soul OS]] 4차전에서 사용되는 BGM. 초기 영문권에서는 P-R-O-G-R-A-M[* 그래서 이 문서는 PROGRAM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별의 커비 Wii의 [[CROWNED]]에 이어 트리플 디럭스에서 [[광화수월]]의 공식 곡명이 밝혀지기 전까지 FLOWERED라고 부른 것에서 이어진다. 부르는 방식은 두 곡과 같이 [[세로드립|월드의 첫 글자를 모은 것]]] 혹은 Super Nova[* 3차전에서 드러나는 최종보스의 [[갤럭틱 노바|모습]]을 반영한 듯하다.]라고 불렀는데 이는 팬 명칭이었고, 9월 7일에 [[https://miiverse.nintendo.net/replies/AYMHAAADAAB2V0e7luXqEw|Miiverse]]에서 쿠마자키 신야가 공식 명칭을 공개했다. 원래 제대로 번역하면 '회력하는 추억의 숫자풀이 노래'가 되는데, 숫자풀이 노래(数え唄)란 일본에 전래되는 전통 가요의 일종으로, 숫자를 세면서 각 숫자들과 첫 음운이 동일한 단어들을 열거하는 식의 언어유희로 노래를 엮어낸다. 다시 말해 이 곡의 제목은 노래 자체가 추억의 대상이라는 의미와 숫자를 세면서 추억을 회상한다는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마침 이 곡이 흘러나오는 별의 꿈 3차전에서 별의 꿈은 카운트다운, 즉 숫자를 세는 패턴을 주로 사용한다. 의미심장한 부분. ==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 ==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전작]]의 [[이 별을 건 영혼의 싸움|선례]]처럼, 스토리 모드와 진 보스와 정면 승부의 곡 구성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 스토리 모드 === [youtube(6PbhgBrfWf8)] 작곡은 [[안도 히로카즈]]. [[별의 꿈]]의 3차전 BGM으로,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 사운드룸 음악 중 95번. 타이틀 화면 BGM을 리믹스했으며,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SDX]]의 [[갤럭틱 노바]]전의 브금이 약간 섞여있는 기계적인 곡이다.[* 도입부 리듬이 [[스카이 타워]]의 도입부와 완전히 같다.] 유일하게 별의 커비의 메인 테마인 [[그린 그린]] 테마가 섞여있지 않다.[* 다른 [[별의 커비 Wii]] 이후의 최종보스들과 다르게 1차전에 섞여있다.] 그렇긴 해도 이 곡은 고장나가는 별의 꿈의 테마로서 좋은 곡. === 진 보스와 정면 승부 === || [youtube(g3fqwkM3kbs)] || || '''회력하는 추약의 조개 껍데기 한 짝[br](回歴スル追約ノ忘レ貝)[* 잘 보면 기존의 히라가나로 되어있던 부분까지 가타가나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する > スル) 이는 캐릭터가 뭔가 제정신이 아니거나 할 경우에 쓰이는 방식. 이 곡이 나오는 시점의 [[별의 꿈.Soul OS]] 보스 설명문에서도 '''마음이 사라진, 고장난 기계'''라고 언급된다.] / Vagrant Keepsake of Oblivion''' ||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 사운드룸 음악 중 155번. [[별의 꿈.Soul OS]] 최종전 후반부에서 사용되는 BGM으로, 3차전 BGM과 도입부만 다른데, 3차전 BGM의 클라이맥스부터 시작한다. 이후의 멜로디는 거의 동일하다. 초반에는 갤럭틱 노바의 멜로디가 나오다가, 중앙 코어 주위에 있는 기둥들을 전부 부수면 이 BGM으로 굉장히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참고로 추약(追約)이란 하나의 계약에 동반해 성립되는 부계약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본계약에 따라 질, 저당, 보증 등을 설정하는 계약이 여기에 해당된다. 또 忘レ貝는 한 쪽만 떨어져 나온 조개 껍데기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일본에는 이 한 쪽 뿐인 조개 껍데기를 줍는 사람은 '''[[수지(별의 커비 시리즈)|자신이 그리워하는 사람]]을 잊을 수 있다'''는 미신이 있다고 한다. 이를 별의 꿈의 행적과 연결지으면, 이 BGM의 제목은 컴퍼니의 번영만을 우선시하는 별의 꿈에 의해 지워져버린, 할트만의 딸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기억을 표현한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할트만 본인에게는 딸과 다시 만나는 것이 훨씬 더 절실한 소원이었겠지만, 별의 꿈은 본래 소원이자 '본계약'인 컴퍼니의 번영을 이루는 데에 있어 이 소원이 방해된다고 판단하여 수지에 대한 기억과 함께 지운다는 '추약'을 실행한 셈이다. == [[별의 커비 스타 얼라이즈]] == || [youtube(RwtBsdulNlU)] || || '''어린 날에 본 [[데우스 엑스 마키나]][br](幼き日に視たデウス・エクス・マキナ / Deus Ex Machina at a Young Age)''' || 본작에서는 [[수지(별의 커비 시리즈)|비서 수지]]로 [[몰포 나이트]]를 상대할 시 나오는 별의 꿈 전투 메들리의 곡 중 하나로 나왔다. == 관련 문서 == *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음악]] * [[별의 꿈]] [[분류:별의 커비 시리즈/음악]][[분류: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분류:안도 히로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