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원위 황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3 0%, #DC143C 20%, #DC143C 80%, #9C0013); color: #ece5b6" '''북위 말대 황제[br]{{{+1 효무황제 | 孝武皇帝}}}'''}}} || ||<|2> '''출생''' ||[[510년]] || ||[[북위]] [[허난성|하남군]] [[뤄양시|낙양]][br](現 [[허난성]] [[뤄양시]]) || ||<|2> '''즉위''' ||[[532년]] [[6월 13일]] || ||[[북위]] [[허난성|하남군]] [[뤄양시|낙양]][br](現 [[허난성]] [[뤄양시]]) || ||<|2> '''사망''' ||[[535년]] [[2월 3일]] (향년 25세) || ||[[북위]] [[시안시|장안]][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 '''능묘''' ||운릉(雲陵) || ||<|2> '''재위기간''' ||'''{{{#ece5b6 제14대 황제}}}''' || ||[[532년]] [[6월 13일]] ~ [[535년]] [[2월 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원(성씨)|하남 원씨]] || || '''휘''' ||수(修, 脩) || || '''부모''' ||부황 [[원회(북위)|무목제]][br]모후 황태비 이씨 || || '''형제자매''' ||3남 5녀 중 3남 || || '''배우자''' ||효무황후[* [[고환(남북조시대)|고환]]의 딸] || || '''자녀''' ||4남 || || '''종교''' ||[[불교]] || || '''자''' ||효칙(孝則) || || '''작호''' ||여양현공(汝陽縣公) → 평양왕(平陽王) || || '''시호''' ||'''효무황제(孝武皇帝)''' || || '''제호''' ||출황제(出皇帝) || || '''연호''' ||[[태창]](太昌, [[532년]])[br][[영흥]](永興, [[532년]])[br][[영희]](永熙, [[532년]] ~ [[534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14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휘는 수(修)였다. [[북위]]의 정사인 《[[위서(역사책)|위서]]》(魏書)에는 '''출제'''(出帝)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시호가 아니고 '도망친 황제'라는 뜻이다. 이는 《위서》를 저술한 위수가 발해 고씨가 세운 [[북제]] 사람이라 [[고환(남북조시대)|고환]]이 실권자로 있었던 [[동위]]를 정통으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동위 입장에서는 원수가 관중의 반란 군벌인 선비족 [[우문태]]에게 달아난 황제였기 때문이다. 당연하겠지만 [[당나라]]에서는 동위-북제 라인이 아니라 서위-북주 라인을 정통으로 봤기 때문에 당나라의 [[이연수(당나라)|이연수]]가 편찬한 《[[북사]]》(北史)에서는 동위에서 비하하는 용도로 쓴 '출제'가 아닌 서위에서 올린 시호인 '''효무제'''로 기록했다. == 생애 == 원수는 510년, 제7대 고조 [[효문제]]의 5남인 [[원회(북위)|원회]][* 元懷, 나중에 무목황제(武穆皇帝)로 추존되었다.]의 3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고환(남북조시대)|고환]](高歡)이 숙적인 [[이주조]](권신 [[이주영(북위)|이주영]]의 조카)를 비롯한 이주씨[* 선비화한 [[갈족]]계 글호족 출신] 세력을 물리치고 나서 평양왕 원수가 고환에 의해 제14대 황제로 옹립되었다. 그러나 그는 고환이 국정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불편해했고, 결국 534년 군대를 동원해 고환을 치려고 하다가 패배하여 관중의 중심인 장안에 있었던 [[우문태]]에게로 도망쳤다. 이로 인해 고환이 [[효정제]] 원선견을 새로 세우면서 북위는 효무제 원수를 옹립한 우문태의 [[서위]]와 효정제를 옹립한 고환의 [[동위]]로 분열되었다. 그러나 다음해인 535년, 서위의 효무제와 우문태는 효무제의 난잡한 여자 문제로 사이가 벌어지게 되었다. 당시 효무제는 사촌동생이었던 평원공주(平原公主) 원씨와 근친상간 관계였는데, 이를 언짢아한 우문태가 평원공주를 살해했다. 이후, 이 사건에 격노하여 우문태에게 불만을 표출하게 된 효무제 역시 이를 알게 된 우문태에 의해 독살당했다. 그후 우문태는 효무제의 뒤를 이을 [[문제(서위)|원보거]]를 서위의 초대 황제인 [[문제(서위)|중종 문제]]로 옹립했고, 이로써 북위는 완전히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다. == 둘러보기(계보) == [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효무제,version=40)] [[분류:남북조시대/황제]][[분류:탁발선비]][[분류:독살된 인물]][[분류:510년 출생]][[분류:535년 사망]][[분류:뤄양시 출신 인물]][[분류:망국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