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서)] [include(틀:역대 한 황후)] [include(틀:역대 한 황태후)] [include(틀:역대 한 태황태후)] 孝元皇后 王氏 본초 3(기원전 71)년 ~ 왕망 시건국 5(13)년 [목차] == 개요 == [[전한]] 제11대 [[원제(전한)|원제]] 유석의 황후이자 제12대 [[성제(전한)|성제]] 유오의 어머니이다. 이름은 왕정군(王政君)으로 [[효선황후 왕씨]]의 조카이자 후에 전한의 제위를 찬탈하여 신나라를 건국한 [[왕망]]의 고모였다. == 황후로의 길 == 위군(魏郡) 원성현(元城縣) 사람으로, 조상은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왕실이었던 규성 전씨의 후손이었는데 전한 건국 이후 나라를 상실한 이들을 제나라 사람들이 '''왕가'''(王家)라 지칭한 데서 성을 '''왕'''이라 했다고 한다. 왕정군의 아버지는 왕금(王禁)인데 자가 치군(稚君)으로 젊은 시절에 수도 장안(長安)에서 법률을 배워 정위사(廷尉史: 정위의 부관 또는 차관)을 지냈다. [[선제(전한)|선제]] 치세때 황태자였던 [[원제(전한)|유석]]에게는 총애했던 양제(良娣: 황태자의 후궁) 사마씨(司馬氏)가 있었는데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제가 죽는 것은 다른 첩들이 저를 죽이고자 저주했기 때문입니다."라고 했다. 유석은 이를 매우 슬퍼했고, 또한 그녀의 유언을 옳다고 여겼다. 하여 화로 인해 병이 나서 다른 첩들을 가까이 하지 않은 것이 오래되었는데, 부황인 [[선제(전한)|선제]]가 이를 걱정하며 태자를 위해 여인을 뽑도록 했는데 왕정군도 그 후보자들 중 한 사람이었다. 유석이 문안에 들자 어머니인 황후가 왕정군 등 다섯 여인을 보였지만 시큰둥했는데, 어머니 때문에 한 사람을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이때 왕정군은 원제 가까이에 자리하고 있었고, 또한 홀로 눈에 띄는 붉은색 옷을 입고 있었기에 태자 유석의 눈에 드는 것으로 주변 사람이 판단했다. 이에 왕정군이 태자를 모시게 되었는데, 곧 임신했다. 이미 태자의 후궁이 십수 명이었지만 여러 해가 지나도록 자식이 없었는데, 감로(甘露) 3년에 왕정군이 훗날의 [[성제(전한)|성제 유오]]를 낳으니 시아버지인 선제가 매우 기뻐하며 세적황손(世適皇孫)으로 삼고 대단히 아끼고는, 몸소 이름을 '오'(驁), 자를 '태손'(太孫)이라 하며 항상 자기 곁에 두었다. 이후 선제 사후 유석이 원제로 즉위하자 왕정군은 첩여(婕妤)가 되었다가 3일 뒤에 황후로 격상되어 책봉되었다. == 고난의 황후 == 그녀는 '''모이자귀'''[* 母以子貴: 어머니는 자식의 지위로 인해 함께 고귀하게 된다는 뜻. 《춘추》 대의에 따른 것이다.]에 따라 아들 유오가 황태자가 되고, 그 어머니의 자격으로서 황후가 되었기에, 남편인 원제의 총애를 받지는 못했던 듯 하다. 다만 한나라 황실의 법도 및 전통에 따라 황후 왕씨의 일족을 높은 관작에 봉하여 예우했다. 당시 총애를 받았던 이는 [[효원소의 부씨|소의 부씨]]였는데, 그녀의 아들 정도공왕(定陶共王) 유강은 재주가 많아 원제의 사랑을 받아서 항상 그 옆자리에 앉히고 연(輦)도 탈 정도였다. 그래서 원제는 항상 태자였던 유오를 폐위하고 정도공왕 유강을 그 자리에 세우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 이에 효원황후 왕정군과 태자 유오는 두려워하며 원제의 신임을 받았던 시중(侍中) 사단(史丹)에게 크게 의지하여 도움을 받았다. 또한 효원황후의 성정이 조심스럽고, 태자의 조부인 선제가 유오를 세적황손으로 삼고 아꼈었기에 원제가 폐위할 수 없었다. == 영욕의 모의천하 == 원제가 붕어하고 태자 유오가 성제가 즉위하자, 왕정군은 황태후가 되었다. 그녀의 동생인 '''왕봉'''(王鳳)은 대사마(大司馬) 대장군(大將軍) 영상서사(領尙書事)[* [[한무제|한 무제]] 사후 [[곽광]]을 이러한 직임에 임명하여 차기 황제를 보정하도록 한 것이 시초이다. 이후 [[후한]] 말기까지도 이러한 외척 우대는 성행하여 [[외척보정]]의 단초가 되었다.]가 되었고, 5,000호의 봉지가 더해졌다. 또한 왕봉의 다른 동생들인 왕담(王譚), '''왕상'''(王商), 왕립(王立), '''왕근'''(王根), 왕봉시(王逢時) 등도 관직과 봉작을 받아서, 외척 왕씨 일족의 번영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황태후 왕정군의 조카이자 왕만의 아들이었던 '''[[왕망]]''' 또한 이때를 전후하여 백부 왕봉의 추천을 받아 등장했다. 그러나 성제는 20여 년을 통치했지만 소생의 황자가 없었고, 이에 태자 시절 성제의 지위를 위협했었던 정도공왕 유강의 아들을 영립하게 되니 바로 [[애제(전한)|애제]]였다. 애제는 즉위 초기에는 이미 외척으로서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던 왕씨 일족과 그 중심인 태황태후 왕정군를 의식했으나 이내 할머니인 [[효원소의 부씨|부씨]]와 어머니인 정씨(丁氏)를 불러들이고 그 일족들인 부씨와 정씨를 새로운 외척으로서 조정에 포진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왕씨 일족을 대부분 제거하여 낙향시켰는데, 태황태후 왕정군의 조카 왕망은 천하의 신망을 얻고 있었기에 오래지않아 다시 외척보정으로서 복직시켰다. 부씨는 원제의 정후(正后)로서 애제 즉위 이후 [[태황태후]]가 된 왕정군을 무시하며 그 권위를 질투했기에 손자인 애제를 움직여 자신은 '''제태태후'''(帝太太后), 며느리인 정씨는 '''제태후'''(帝太后)가 되도록 했다. 하여 당시 장안 궁중에는 2명의 태황태후, 2명의 황태후[* 효성황후 조비연이 황태후로 있었다.]가 있는 셈이 되는 이상한 정국이 나타나게 되었다. 궁중 연회에서 태황태후 왕정군과 제태태후 부씨가 자리로 인해 다툼이 벌어지고 왕망이 이를 중재하면서 제태태후가 원제의 정실이 아니라 일개 첩이었다고 애둘러 모욕한 일화는 이때의 일이다. 약 6년 가량 재위한 동성애자 애제가 황자를 남기지 않은 채로 갑작스럽게 붕어하자 태황태후 왕정군은 당장 옥새부터 챙기고 왕씨 일족 중에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왕망을 불러 나이 9세의 [[평제]]를 옹립했다. 평제의 나이가 어렸기에 태황태후 왕정군이 섭정에 나섰고, 그녀의 조카였던 왕망은 이를 바탕으로 더욱 세력을 강화하게 되었다. 또한 전 황제의 외척이었던 부씨와 정씨 일족을 숙청하고, 부씨와 정씨의 존호를 삭탈시켰다. 이때 제태태후 부씨와 제태후 정씨는 이미 수년 전에 붕어했는데, 왕정군과 왕망은 그야말로 장수한 덕에 모욕을 갚을 수 있었던 셈이다. == 나라 잃은 국모 == 왕망은 점차 자신이 권력을 쥐게 된 배경인 태황태후 왕정군마저도 무시하기 시작했고, 자신의 딸을 평제의 황후로 들여보내 국구로서의 지위를 점했다. 이후 평제가 장성하자 독살하고, 젖먹이였던 [[유자영]]을 옹립하며 스스로 가황제, 섭황제라 칭했다가 끝내 도참설을 인용하여 선양을 가장한 찬탈을 감행, 신나라를 건국했다. 이때 태황태후 왕정군은 [[전국옥새]]를 감추고 있었는데 이를 끝내 내어주게 될 상황이 되자 매우 꾸짖으며 집어던져서 전국옥새의 모퉁이가 깨졌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배신하는 딸]] 클리셰에서도 설명되지만, 황후에겐 친정(아버지)과 시가(남편)가 싸우면 친정이 이기는 게 정치적으로 불리해 남편 편을 드는 경우가 잦았다.] 이후 왕망에 의해 '신실문모태황태후'(新室文母太皇太后)란 존호를 받았으나 조카 왕망을 원망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왕망이 칭제 이후에 태황태후 왕정군의 남편인 원제의 종묘를 없애고 궁전으로 바꾼 후, 고모인 왕정군을 불러 연회를 베풀었는데, 이를 알고 왕망에게 대노했다. 하여 왕망이 한나라의 제도를 고쳤지만, 자신의 궁정에서는 이를 일체 고치지 못하게 하는 등 저항했다. 파란만장한 삶을 살며, 전한 멸망의 단초를 제공한 한 황실의 마지막 여인 왕정군은 조카 왕망의 치세인 신나라 시건국 5년에 84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 대중매체에서 == 2008년 드라마 [[모의천하]]에서 주인공을 맡았다. [[분류:전한의 황후]][[분류:기원전 71년 출생]][[분류:1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