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 황후)] ---- [include(틀:송태조 황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449 0%, #2e8b57 20%, #2e8b57 80%, #277449); color: #ece5b6" '''북송 황후[br]{{{+1 효장황후 | 孝章皇后}}}'''}}} || || '''[[시호|{{{#ece5b6 시호}}}]]''' ||<(> 효장황후(孝章皇后) || || '''[[아호|{{{#ece5b6 별호}}}]]''' ||<(> 개보황후(開寶皇后) || || '''[[성씨|{{{#ece5b6 성}}}]]''' ||<(> 송(宋) || ||<|2> '''{{{#ece5b6 출생}}}''' ||<(> [[952년]] || ||하남부 낙양현[br](現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뤄양시]]) || ||<|2> '''{{{#ece5b6 사망}}}''' ||<(> [[995년]] [[6월 4일]]^^([[음력]] [[4월 28일]])^^ || ||개봉부 동궁[br](現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카이펑시]]) || || '''{{{#ece5b6 능묘}}}''' ||<(> 영창릉(永昌陵) || ||<|4> '''{{{#ece5b6 재위}}}''' ||<:> '''{{{#ece5b6 북송 황후}}}''' || ||<:>[[968년]] [[3월 2일]] 이후 ~ [[976년]] [[11월 15일]] || ||<:>'''{{{#ece5b6 북송 개보황후}}}''' || ||<:>[[976년]] [[11월 15일]] ~ [[995년]] [[6월 4일]] || || '''{{{#ece5b6 배우자}}}''' ||<(> [[태조(송)|태조]] || || '''{{{#ece5b6 부모}}}''' ||<(> 부친 - [[송악(북송)|송악]](宋偓, {{{-3 926 ~ 989}}})[* 송악의 아버지인 송정호(宋廷浩)는 [[후당]]의 장종 [[이존욱]]의 딸인 의령공주에게 장가를 갔고, 그 사이에서 송악을 낳았다. 즉 효장황후는 이존욱의 외증손이 되는 셈.][br]모친 - 진국장공주 유씨(秦國長公主 劉氏)[* 별칭은 영녕공주(永寧公主)로,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의 초대 황제인 고조 [[유지원|유고]]의 딸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북송]]시대 [[태조(송)|태조 조광윤]]의 황후. == 생애 == 낙양 출신으로 [[송악(북송)|송악]](宋偓)의 딸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오대십국시대]]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의 건국자인 고조 [[유지원]]의 딸인 영녕공주(永寧公主)였다. 건덕 원년(963년)에 태조의 2번째 황후였던 효명황후 왕씨가 세상을 떠나고, 개보 원년(968년)에 황후로 책봉되었다. 976년에 태조가 세상을 떠난 이후, 개보황후라는 존호를 받았다. 이후 태조의 동생인 [[태종(송)|태종 조광의]]가 재위하면서 개보황후는 서궁에 살았다가, 옹희 4년(987년)에 동궁으로 옮겨 살다가 지도 원년(995년)에 4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지도 3년(997년)에 태종은 왕씨를 태조가 안장된 영창릉 북쪽에 안장하였으며 효장황후의 시호를 내렸다. 이후 효장황후가 안장되고 4개월 뒤에 태종도 세상을 떠난다. == 황후의 장례 당시의 일화 == 효장황후의 장례 당시 황제였던 태종은 효장황후의 영구를 연국공주의 집에 옮겼다가 보제불사에서 안치하였으며, 신하들에게 성복할 것을 명하지 않았다. 게다가 송씨의 국상을 황후의 예에 맞지 않게 소홀히 지내기도 하였고 영창릉 북쪽에 안장하여 태조와 합장하지 않았다. 후대 원나라에서 편찬한 송나라의 역사서인 [[송사]]에서도 이러한 점을 들어 태종을 비판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송사)] [[분류:송나라의 황후]][[분류:952년 출생]][[분류:995년 사망]][[분류:뤄양시 출신 인물]][[분류:튀르크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