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후지 디지털 카메라)] [목차] == 개요 == [[후지필름 GFX 시스템]]과 [[후지필름 X 시스템]]의 통합 설명서. == 퀵 메뉴 == [[파일:Q-menu1_zps9381ae7b.jpg]] * 후지필름 메뉴 시스템의 꽃. 바디에 있는 Q 버튼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16가지의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JPG 사용자에겐 필수이다. 퀵 메뉴 편집 및 저장은 2.4.4.2로 == 촬영 메뉴 == === IQ 이미지 품질 설정 === * JPG 전용 설정일 경우 뒤에 [J]가 붙는다. ==== 이미지 크기 ==== * 이미지 크기 L : 최대 화소로 촬영한다. M : 최대 화소의 장축 2/3의 크기로 촬영한다. S : 최대 화소의 장축 1/2의 크기로 촬영한다. * 이미지 비율 : 4:3 3:2 1:1 65:24 5:4 7:6등의 다양한 비율로 촬영이 가능하며, RAW 촬영 후 보정 프로그램 이용시, 가장 큰 비율로 찍힌 후 크롭된 화면으로 나온다. ==== 화질 [J] ==== * SUPER FINE(SF) > FINE(F) > NORMAL(N) 순으로 화질이 좋다. ==== RAW 레코딩 ==== * 무압축을 대부분 사용하며, 무손실 압축은 제조사 언급상 용량은 작아도 화질 차이는 없지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 필름 시뮬레이션 [J] ==== * 필름 시뮬레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 PROVIA(STD), Velvia(V), ASTIA(S), CLASSIC CHROME(C), PRO Neg. Hi(N), PRO Neg. Std(NS), ETERNA(E), ACROS(A), 모노크롬(B), 세피아(SEPIA) ==== 흑백 조정 (웜/쿨) [J] ==== * 흑백 사진에 붉은 빛이나 푸른 빛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 -9부터 +9까지 총 19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숫자가 낮을 수록 파랗게, 높을 수록 빨갛게 된다. ==== 그레인 효과 [J] ==== * 필름 입자를 추가하는 모드로 강, 약을 선택할 수 있다. ==== 컬러 크롬 효과 [J] ==== * 색 계조가 떡지거나 뭉개지지 않게 하는 모드로 강, 약을 선택할 수 있다. ==== 다이내믹 레인지 [J] ==== * 암부를 살려주는 모드로 100% 200% 400% 세가지가 있다. 100% : 최저 감도부터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모드이다. 200% : 최저 감도의 2배수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촬영한 사진의 암부를 1스탑 올려준다. 400% : 최저 감도의 4배수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촬영한 사진의 암부를 2스탑 올려준다. ==== D 레인지 우선 [J] ==== * 명암차를 줄여주는 모드로 강, 약, AUTO를 선택할 수 있다. ==== 화이트 발란스 [J] ==== * 색온도 및 색조를 선택할 수 있다. ==== 하이라이트 톤 / 섀도우 톤 [J] ==== * 하이라이트 톤 : 명부를 -4부터 +2까지 7단계 조절이 가능하다. * 섀도우 톤 : 암부를 -4부터 +2까지 7단계 조절이 가능하다. ==== 색농도 [J] ==== * 채도를 -4부터 +2까지 7단계 조절이 가능하다. ==== 샤프니스 [J] ==== * 부분 대비를 -4부터 +2까지 7단계 조절이 가능하다. ==== 노이즈 리덕션 [J] ==== * 고감도로 촬영된 사진의 노이즈를 -4부터 +2까지 7단계 조절이 가능하다. OFF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4를 추천. ==== 장노출 노이즈 리덕션 [J] ==== * 장노출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여주나 마찬가지로 추천하지 않는다. ==== 렌즈 변조 최적화 / 회절현상 보정 [J] ==== * 촬영 시 발생하는 회절이나 초점을 보정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킨다. ==== 컬러스페이스 ==== * sRGB와 Adobe RGB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sRGB를 쓰면 된다. ==== 픽셀 매핑 ==== * 데드픽셀을 덮어 씌우는 기능이다. ==== 사용자 설정 선택 [J] ==== * JPG 촬영시에 쓸 수 있는 커스텀 세팅을 선택할 수 있으며, 편집은 사용자 설정 편집/저장에서 할 수 있다. ==== 사용자 설정 편집/저장 [J] ==== * 아래와 같이 12항목을 세팅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다이내믹레인지 필름시뮬레이션 그레인효과 컬러크롬효과 화이트발란스 하이라이트톤 섀도우톤 색농도 샤프니스 노이즈리덕션 사용자 지정 이름 변경 === AF/MF 설정 === ==== 초점 영역 ==== ==== AF 모드 ==== * 정점 : 정해진 초점 영역 내에서만 초점을 잡는다. * 영역 : 정해진 영역 내에서만 초점을 잡는다. (거의 안씀) * 광각/추적 : 과초점 혹은 동체 추적에 적합하다. ==== 방향 AF 모드로 저장 ==== ==== 라피드 AF ==== * AF 포커싱 속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도 빨라진다. ==== AF초점 표시 ==== * AF모드 중 광각/추적 사용시 초점이 맞는 부분을 표시한다. ==== 포커스 포인트의 수 ==== * AF 포인트를 적거나 많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자신에게 맞는걸 쓰면 된다. 대부분 적은 쪽을 선호한다. ==== PRF-AF ==== * 반셔터를 누르지 않아도 켜져 있을 때는 계속 초점을 잡는다.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면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 얼굴/눈 감지 설정 ==== * 얼굴 인식만, 얼굴 인식 + 좌안 우선, 우안 우선, 자동인식 5가지 모드가 있다. 사용 시 측광 기능이 비활성화되며, 측광은 중점 인물이 아닌 프레임 전체를 기준으로 맞춰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 요망. * 측광 모드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이 기능이 켜진 경우가 많다. ==== AF+MF ==== ==== MF 어시스트 ==== * MF 모드 사용시 초점이 맞은 부분을 나타내주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스플릿 - 컬러, 포커스 피킹 - 빨간색(고)로 많이 설정한다. ==== 포커스 체크 ==== ==== 인터록 스팟 AE & 초점 영역 ==== ==== 인스턴트 AF 설정 ==== ==== 피사계심도 눈금 ==== ==== 릴리스/초점 우선 ==== * 내가 셔터를 누르는게 우선이면 릴리스, 초점이 맞는게 우선이면 초점 우선을 선택하면 된다. AF-S와 AF-C 별도로 선택 가능. ==== 터치스크린 모드 ==== * 터치 슈팅 : LCD를 터치하면 촬영이 된다. * AF : AF만 잡아준다. * 영역 : AF 모드를 영역으로 선택했을 때 터치하면 그 주변 영역으로 설정된다. ==== 촬영 설정 ==== ==== 셀프타이머 ==== * 2초 : 대체적으로 유무선 릴리즈가 없을 때 사용한다. * 10초 : 단체사진을 찍을 때와 같이 간격이 어느 정도 필요할 때 사용한다. ==== 셀프타이머 설정 저장 ==== ==== 간격타이머 촬영 / 인터벌 타이머 ==== * 얼마 동안 몇 장이나 찍을 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시간동안 6초 간격으로 찍고 싶다면 시간은 1h 00m 00s로 설정하고 횟수는 3600s/6s인 600으로 설정하면 된다. ==== AE BKT 설정 ==== * 노출을 ±n값으로 설정하여 브라케팅할 수 있다. RAW+JPG로 촬영 시엔 RAW도 3장이 저장된다. ==== 필름 시뮬레이션 BKT [J] ==== * 필름 시뮬레이션 3개를 선택하여 브라케팅할 수 있다. RAW+JPG로 촬영 시엔 RAW도 3장이 저장된다. ==== 측광 ==== * 멀티 :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노출을 결정한다. 가장 많이 쓴다. * 중심 무게 : 멀티보다 프레임 중심에 더 가중치를 두어 노출을 결정한다. * 스폿 : 프레임 중앙의 2% 영역만을 기준으로 노출을 결정한다. * 에버러지(평균) : 프레임 전체의 평균을 노출로 결정하며 보통 풍경사진에 많이 이용한다. * 안면 인식을 키면 측광이 비활성화된다. ==== 셔터 타입 ==== * MS 기계 셔터 : 일반적으로 셔터막이 내려오는 모드 * ES 전자 셔터 : 셔터스피드의 속도만큼 센서의 전원을 ON-OFF하여 촬영하는 모드 (비추천) * EFCS 전면 커튼 셔터 : 셔터 버튼을 누르고 나서 노출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줄인다. * MS 기계, EFCS 전면 커튼 + ES 전자 : 기계 셔터로 촬영할 수 있는 셔터스피드보다 빨라질 경우 전자 셔터로 촬영한다. (비추천) ==== 플리커 감소 ==== * 촬영 중 플리커를 감소 시켜준다. ==== 손떨림보정 모드 ==== * 평상시 : 전원을 켜면 항상 손떨림보정 모드가 작동한다. * 촬영시 : 전원을 켜도 반셔터를 누른 순간부터 작동한다. ==== ISO 자동 설정 ==== * 기본 감도, 최대 감도, 최소 셔터 속도가 AUTO로 작동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 AUTO 1, 2, 3 3가지로 설정이 가능하다. ==== 변환 렌즈 ==== * X100 시리즈에 WCL-X100, TCL-X100 혹은 X70에 WCL-X70을 장착할 경우 광각과 망원을 설정해야 왜곡보정이 가능하다. * WCL-X100 II, TCL-X100 II은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된다. ==== 디지털 텔레 컨버전 [J] ==== * X100 시리즈는 4세대인 X100F부터 초점링을 사용하여 환산 35mm, 50mm, 75mm로 사용할 수 있다. * X70은 초점링을 사용하여 환산 28mm, 35mm, 50mm로 사용할 수 있다. ==== ND 필터 ==== * 사용할 경우 ND8의 효과를 느낄 수 있다. ==== 마운트 어댑터 설정 ==== * 접점이 없는 렌즈를 사용할 때 렌즈의 초점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 손떨림방지가 가능한 바디에서는 설정한 초점 거리가 연동된다. ==== 35mm 형식 모드 ==== * GFX에 35mm 판형 렌즈를 사용시에 켜면 35mm 센서 사이즈에 맞게 크롭되어 찍힌다. 약 3050만 화소로 RAW 파일은 65메가 정도. ==== 무선통신 ==== * FUJIFILM REMOTE라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다. === 플래시 설정 === * EF-X500 전용 설정인 경우엔 메뉴 뒤에 [EF-X500]라고 표시한다. ==== 플래시 기능 설정 ==== * 선막동조, 후막동조, TTL, 메뉴얼 모드 등 플래시를 제어할 수 있다. ==== 적목보정 ==== * 발광+제거 : 적목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과 디지털 적목 보정이 결합된다. * 발광 : 플래시를 통한 적목 감소만 실행된다. * 제거 : 디지털 적목 보정만 실행된다. ==== TTL-LOCK 모드 ==== * 최종발광 조건 고정 : 가장 최근 사진에서 측광한 값으로 출력이 고정된다. * 측광발광 조건 고정 : 카메라가 측광한 값으로 출력을 고정시킨다. ==== LED 라이트 설정 [EF-X500] ==== * 사진을 촬영할 때 스트로보를 캐치라이트, AF 보조광으로 사용할 수 있다. ==== MASTER 설정 [EF-X500] ==== * 플래시 그룹을 A, B, C 3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 CH 설정 [EF-X500] ==== * 전파동조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 동영상 설정 === ==== 동영상 모드 ==== * 동영상을 기록할 해상도와 프레임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 동영상 AF 모드 ==== * 오토에리어 : 카메라가 자동으로 초점 포인트를 선택한다. * 에리어선택 : 정해진 초점 영역 내에서만 초점을 맞춘다. ==== HDMI 출력 정보 표시 ==== ==== HDMI 녹화 제어 ==== ==== 마이크 레벨 조정 ==== == 재생 메뉴 == === 재생 메뉴 === ==== 슬롯 전환 ==== * 이미지를 보여줄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 RAW 현상 ==== * 바디 내에서 RAW를 JPG로 현상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JPG 설정을 할 수 있다. 노출, 다이나믹 레인지, 필름 시뮬레이션, 그레인 효과, 화이트 발란스, 하이라이트 톤, 섀도우 톤, 색농도, 샤프니스, 노이즈 리덕션, 회절 현상, 컬러스페이스 ==== 지우기 ==== * 1프레임 : 선택한 1장만 지운다. * 선택한 프레임 : 선택한 사진만 지운다. * 모든 프레임 : 모든 사진이 지워진다. ==== 트리밍 ==== * 바디 내에서 사진의 일부를 잘라낼 수 있다. ==== 크기 변경 ==== * 사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촬영한 사진보다 크게 변경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S로 찍은 사진을 L로 변경은 안된다. ==== 보호 ==== * 보호한 사진은 모든 프레임 지우기를 선택해도 지워지지 않는다. ==== 화상회전 ==== * 선택한 사진을 회전시킬 수 있다. ==== 적목보정 ==== * 눈이 빨갛게 나왔을 때 이를 보정한다. ==== 음성 메모 설정 ==== * 선택한 사진에 30초 이내로 음성 메모를 남길 수 있다. ==== 화상복사 ==== ==== 무선통신 ==== * FUJIFILM REMOTE라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다. ==== 슬라이드 쇼 ==== * 모든 사진이 LCD를 통해 슬라이드 쇼로 보여진다. ==== 포토북 지원 ==== ==== 프린트예약(DPOF) ==== ==== Instax 프린터 인쇄 ==== ==== 폭과 높이 비 ==== == 설정 메뉴 == === 사용자 설정 === ==== 포맷 ==== 원하는 슬롯을 포맷할 수 있으나 복구하기 힘드니 사용시 주의 요망. ==== 시각설정 ==== 년, 월, 일, 시, 분을 바꾸거나 날짜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 세계시계 ==== * 기본 설정은 홈이며 현지 적용시에 시차를 시각설정 기준의 시차를 적용시키면 된다. ==== 言語/LANG. ==== * 한국어로 포함한 27개국 언어로 설정가능. ==== 나의 메뉴 설정 ==== * 내가 자주 쓰는 메뉴를 선택하여 따로 볼 수 있다. 메뉴를 누르면 가장 왼쪽에 나타나는 아이콘 중 맨 밑에 있는 MY에 보여진다. ==== 센서 청소 ==== * 실행 : 누르면 바로 센서를 청소한다. * 전원 ON일 때 실행 : 카메라가 켜질 때마다 센서를 청소한다. * 전원 OFF일 때 실행 : 카메라가 꺼질 때마다 센서를 청소한다. ==== 배터리 수명 ==== 카메라와 세로그립의 배터리 수명, 즉 열화도를 0과 4 사이로 나타낸다. 숫자가 커질수록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 리셋 ==== 촬영, 설정 메뉴의 세팅이 전부 초기화되니 신중히 선택할 것. 시간 설정과는 무관하다. === 사운드 설정 === ==== AF 부저음 볼륨 ==== * 반셔터 소리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 셀프 타이머 부저음 볼륨 ==== * 셀프타이머 소리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 소리조절 ==== * 메뉴 조작 소리의 음량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 헤드폰 음량 ==== * 헤드폰의 음량을 0부터 10까지 11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 셔터 음량 ==== * 셔터 소리의 음량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 셔터음 ==== * 셔터음을 바꿀 수 있다. ==== 재생음량 ==== * 동영상 재생시 발생하는 소리의 음량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 화면 설정 === ==== EVF 밝기 ==== * 전자식 뷰파인더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5부터 +5까지 11단계의 메뉴얼 모드 혹은 AUTO를 선택할 수 있다. ==== EVF 컬러 ==== * 전자식 뷰파인더의 색조를 조절할 수 있으며, -5부터 +5까지 11단계의 메뉴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 LCD 밝기 ==== * LCD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5부터 +5까지 11단계의 메뉴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 LCD 컬러 ==== * LCD의 색조를 조절할 수 있으며, -5부터 +5까지 11단계의 메뉴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 촬영화상표시 ==== * 연속 : 촬영 후 MENU/OK 버튼을 누르거나 반셔터를 누르기 전까지 촬영한 사진이 표시되며, 후면 다이얼을 누르면 초점부분이 확대된다. * 0.5초, 1.5초 : 촬영 후 지정한 시간동안만 표시된다. 시간 내에 반셔터를 누르면 다시 라이브 뷰로 넘어간다. * OFF : 촬영한 사진이 보이지 않고 바로 라이브 뷰로 넘어간다. ==== 자동회전 표시 ==== * ON : 세로 촬영시에 LCD의 상태 정보창도 회전한다. * OFF : 카메라의 방향을 바꿔도 LCD의 상태 정보창이 회전하지 않는다. ==== 수동 모드의 노출 미리보기/화이트발란스 ==== ==== 사진 효과 미리보기 ==== * ON : 필름 시뮬레이션이나 화이트 발란스가 적용된 화면으로 볼 수 있다. * OFF : 설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구도 가이드 ==== * 9분할 : 라이브 뷰에 격자선 3X3을 나타낸다. * 24분할 : 라이브 뷰에 격자선 6X4를 나타낸다. * HD 프레이밍 : 테더촬영 시 컴퓨터의 프레임에 맞춰 나타낸다. ==== 초점 거리 단위 ==== * 미터와 피트를 선택할 수 있다. ==== 사용자 설정 표시 ==== * 라이브 뷰에 어떤 정보를 표시할 지 정할 수 있다. 전자수평계를 많이 설정하는 편. ==== 큰표시모드 (EVF/OVF) ==== * 뷰 파인더로 볼 때 상태정보의 글자가 커진다. ==== 큰표시모드 (LCD) ==== * LCD로 볼 때 상태정보의 글자가 커진다. ==== 서브 모니터 설정 ==== * 상단 정보창을 설정할 수 있다. === 버튼/다이얼 설정 === ==== 포커스 레버 설정 ==== * 잠금 : 초점 스틱을 사용할 수 없다. * ●를 눌러 잠금해제 : 초점 스틱을 누르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 ON : 별도의 설정없이 초점 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 퀵 메뉴 편집/저장 ==== * 바디의 Q버튼을 누르면 들어가지는 퀵 메뉴를 변경할 수 있다. ==== 기능(Fn) 설정 ==== * 바디의 Fn 버튼의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 ISO 다이얼 설정 (H) ==== * 확장 감도를 선택할 수 있다. ==== ISO 다이얼 설정 (A) ==== * 명령으로 설정 시, 전면 다이얼로 다이얼 설정이 가능하다. ==== 셀렉터 버튼 설정 ==== * 바디의 상하좌우 버튼의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 명령 다이얼 설정 ==== * GFX 시리즈의 경우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를 전, 후면 다이얼 중 어디에 배치시킬지 정할 수 있다. * X 시리즈의 경우 "명령"으로 설정하면 조리개를 바디에서 조절할 수 있다. ==== 셔터 AF ==== * 반셔터를 누를 때 카메라가 초점을 맞출 지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 셔터 AE ==== * 반셔터를 누를 때 카메라가 노출이 고정될 지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 렌즈 없이 촬영 ==== * 렌즈가 없을 때도 셔터를 작동시킬 지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 초점 링 ==== * 자사 렌즈를 MF로 사용 시에 초점 거리가 늘어나는 회전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 AE/AF 고정 모드 ==== * AE/AF-L 일시고정 : AE/AF-L이 버튼을 누르는 동안에만 고정된다. * AE/AF-L 전환 : AE/AF-L이 버튼을 다시 누르기 전까지 고정된다. ==== EXPO COMP. 버튼 설정 ==== * (추천) 누르면 켜짐 : 노출보정 버튼을 누른 채 후면 다이얼로 노출을 조절한다. * ON/OFF 스위치 : 노출보정 버튼을 누르고 후면 다이얼로 노출을 조절한 뒤 다시 노출보정 버튼을 눌러 노출 보정을 설정한다. ==== 터치 스크린 설정 ==== *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지 안할 지 선택할 수 있다. ==== 기능 잠금 ==== * MENU/OK 버튼을 길게 눌러 모든 조작을 차단할 수 있다. === 전원 관리 === ==== 자동절전모드 ==== * 전원을 켠 상태로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았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게 할 수 있다. 5분, 2분, 1분, 30초, 15초로 설정 가능 * OFF를 설정할 경우, 카메라는 직접 전원을 꺼야한다. ==== 촬영 대기 모드 ==== * 상단 상태정보창을 제외한 모든 전원이 꺼지며, 대기 모드에서 조작을 가하면 전원이 들어온다. 5분, 2분, 1분, 30초, 15초로 설정 가능 * OFF를 설정할 경우, 카메라는 계속 전원이 켜져 있다. ==== 자동 절전 ==== * 짧은 시간동안 아무런 조작이 없을 경우 전원 절약을 위해 속도가 느려진다. 조작을 가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 데이터 설정 저장 === ==== 프레임넘버 ==== * 연속으로 설정하면 프레임 넘버가 순서대로 이어지고, 신규로 하면 매번 초기화된다. ==== 원본 화상 저장 ==== * ON을 선택하면 적목보정으로 촬영한 사진의 적목보정이 적용되지 않는 사본까지 저장된다. ==== 파일 이름 편집 ==== * sRGB - DSCF0001, Adobe RGB - _DSF0001로 시작하는 사진 파일명의 DSCF, _DSF 부분을 변경할 수 있다. ==== 카드슬롯 설정(스틸사진) ==== ==== 슬롯 전환(순차) ==== * 첫 번째로 저장될 슬롯을 선택한다. ==== 동영상 파일 저장소 ==== * 동영상이 저장될 슬롯을 선택한다. ==== 저작권 정보 ==== * 저작권 정보 표시 : 현재의 저작권 정보를 볼 수 있다. * 저작자 정보 입력 : 저작권자의 이름을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저작권 정보 입력 : 저작권 소유자의 이름을 알파벳으로 입력할 수 있다. * 저작권 정보 삭제 : 현재 저작권 정보를 삭제할 수 있으나, 기존에 촬영된 사진의 저작권 정보는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 연결 설정 === ==== 무선설정 ==== * 일반 설정 : 카메라의 고유한 이름을 확인하거나 무선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 * 전송사진 3M 압축 : 블루투스나 WI-FI로 사진을 전송할 때 이미지를 압축해서 전송한다. ==== PC 연결 설정 ==== * 간단 설정 : WPS 사용시 * 수동 설정 : 네트워크 설정을 수동으로 할 때 ==== 지오태깅 설정 ==== * 스마트폰에서 다운로드한 위치 데이터를 사진과 함께 저장할 지 선택할 수 있다. ==== Instax 프린터 연결 설정 ==== * 자사 폴라로이드 카메라인 Instax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 PC SHOOT 모드 ==== * OFF : PC와 연결 시 자동으로 테더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 USB 자동 : PC와 연결 시 프로그램과 자동으로 페어링된다. * USB 고정 : PC와 연결하지 않아도 테더링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가 동작한다. [[분류:후지필름]]